• 제목/요약/키워드: Sealing effectivenes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2초

반원형 리브 혹은 그루브가 부착된 림실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a Rim-Seal with a Semicircular Rib or Groove)

  • 이충석;문미애;김광용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9-47
    • /
    • 2013
  • Effect of semicircular rib or groove on the performance of a rim-seal was evaluated using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The turbulence was modeled using the one-equation Spalart-Allmaras turbulence closure model.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axial chord of the turbine blade was 500,000 at the mainstream outlet. The numerical results for a sealing effectiveness was validated in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micircular rib or groove on sealing effectiveness of the rim-seal, location and diameter of the rib or groove were selected as the parameters to be performed. The rim-seals with the semicircular groove showed a higher sealing effectiveness than that with the semicircular rib. The semicircular groove installed on the stator side showed best sealing effectiveness among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노후 콘크리트 포장 절삭 덧씌우기의 침투수에 의한 파손 최소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inimization of Water Damage for the Asphalt Inlay of Old Concrete Pavement)

  • 강원평;염광재;서영찬;이경하;강민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3-63
    • /
    • 2013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integration mechanism of concrete due to the infiltration of the moisture to the milling overlay pavement and to come up with a method to minimize the disintegration as well a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dge sealing and Fogseal method.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ess mechanism due to the infiltrated moisture remaining in the milling overlay pavement through chloride freezing test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sealing of the milling edge and fog seal methods, which have been devised to minimize the moisture infiltration, through laboratory water permeability test. Additionally, long-term pavement performance was compared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under loading test, and field water permeability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RESUL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nfirmed that chloride deteriorates the concrete surface through disintegration and lowers its strength and that the laboratory moisture infiltration tes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milling edge sealing and fog seal methods in the deterrence of moisture infiltration to the overlay pavement with excellent long-term performance of the pavement treated with the proposed method. Although the field water permeability test revealed some deterrence of moisture infiltration of the milling edge sealing and fog seal methods to a certain extent, the difference was a little. CONCLUSIONS: The milling edge sealing and fog seal methods are limited in their effectiveness for the cases of improvident compaction management or mixture with large void, and it is believed that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is more effective in these cases.

가스터빈 회전부 림 씰 두께 증가에 따른 씰링 효율 변화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Sealing Effectiveness Changes with Increased Turbine Rotor Rim Seal Thickness)

  • 윤태두;최승영;김태현;박희승;조형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46
    • /
    • 2022
  • 가스터빈 림 씰 연구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고온의 주 유동 유입을 차단하여 디스크 내부의 열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림 씰의 형상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또한, 실제 터빈에 림 씰 형상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빈 작동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회전부 림 씰 위치의 두께가 변화하는 상황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는 반지름 방향으로 로터 림 씰이 상향된 경우와 림 씰 내부 방향으로 로터 디스크가 확장된 상황을 모사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입되는 이차유동의 양에 따라 각 경우에서 서로 다른 내부 압력과 씰링 성능 및 유동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임시 가봉재가 상아질과 레진 인레이의 미세인장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inlay bonded to dentin treated with various temporary filling materials)

  • 김태우;이빈나;최영중;양소영;장훈상;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5호
    • /
    • pp.419-424
    • /
    • 2011
  • 연구목적: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가봉재가 레진 코팅된 상아질과 레진 인레이간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지연 상아질 봉쇄법과 즉시 상아질 봉쇄법의 접착에 대한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ZOE로 임시 가봉한 후 상아질 접착제로 지연 상아질 봉쇄법을 이용한 군을 1군, 즉시 상아질 봉쇄법을 이용하고 ZOE로 가봉한 군을 2군, 즉시 상아질 봉쇄법을 이용하고 Dycal로 가봉한 군을 3군, 즉시 상아질 봉쇄법을 이용하고 레진계열의 임시 가봉재로 가봉한 군을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그룹에서 가봉재를 제거하고 미리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와동에 합착한 후 근원심으로 절단하여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군에서 가장 낮은 결합력, 4군에서 가장 큰 결합력 나타내었다(p < 0.01). ZOE로 임시 가봉을 한 경우 즉시 상아질 봉쇄법이 지연 상아질 봉쇄법에 비해 결합력이 컸다(p < 0.01). 결론: 레진 인레이의 상아질 접착시 지연 상아질 봉쇄법보다 즉시 상아질 봉쇄법이 권고되며, 레진 계열의 임시 가봉재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인접면 초기 우식 병소의 깊이에 따른 therapeutic sealing의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SEALING ACCORDING TO THE LESION DEPTHS OF PROXIMAL EARLY CARIES)

  • 이금랑;안명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94-403
    • /
    • 2009
  • 인접면 초기 우식병소에 대하여 레진 접착제를 도포하는 최소 침습적 개념의 therapeutic sealing은 치질 삭제가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술식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이 방법이 초기 우식병소의 법랑질 내 침투 깊이와 무관하게 여전히 유효할 것인지에 대해 의문이 들어 이번 연구는 그 유효성을 평가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인접면에 초기 우식병소를 보이는 발거된 소구치 21개를 대상으로 하고, micro-CT 촬영을 통해 병소의 깊이에 따라 분류하였다. 전체 시편을 병소가 법랑질 외층에 국한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1군과 하지 않은 2군, 병소가 법랑질 내층까지 진행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3군과 하지 않은 4군, 비와동성 초기 병소가 법랑-상아 경계까지 진행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5군과 하지 않은 6군으로 분류하였다. 열순환 후 2주간 인공 우식을 유발하고 분류과정과 동일한 평면을 찾아 micro-CT를 촬영하고 병소의 방사선 밀도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접면 초기 우식병소의 침투 깊이가 증가할수록 병소 본체의 방사선 밀도는 낮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2. 병소의 깊이에 무관하게, 레진 접착제를 도포한 모든 실험군에서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인공 우식 처리 전후의 방사선 밀도 변화 가 작게 나타났다(p<0.05). 3. 병소가 법랑-상아 경계에 도달한 5군에서도 레진 접착제를 도포하고 인공 우식 처리시, 실험 전후의 유의한 방사선 밀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 PDF

On the Contact Behavior Analysis and New Design of High Pressure Piston Seals

  • Kim, Chung-Kyun;Cho, Seung-Hyun;Kim, Sung-Won;Ko, Young-Jin;Kim, Jong-Soo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 /
    • pp.117-119
    • /
    • 2002
  • In this paper, the geometry effectiveness and contact modes as functions of real contact length on a cap ring have been analyzed for high pressure sealing mechanism in reciprocating actuator. The reaction force and elastic strain energy density are very important parameters for analyzing the sealing performance of an ACGT ring seal. For the high pressure of 800bar and the maximum speed of 3m/s, the main piston is reciprocating along the linear line against the cylinder wall. The computed results indicate that the length ratio of a cap ring is more influential design parameter compared to that of the tribological contact mode. Thus, this paper recommends the discrete contact area rather than a conventional flat contact model. Especially, the sealing capacity is more improved when the length ratio of a cap ring is below 0.625.

  • PDF

반사균열 저감을 위한 Saw and Seal 공법의 줄눈재 평가 및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lant Evaluation and Effectiveness of Saw and Seal Method for Reducing Reflection Cracking)

  • 서용환;서영찬;배종오;전범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73-81
    • /
    • 2012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proper sealing method and to see the performance of the saw and seal method for concrete rehabilitation based on accelerated pavement testings and lab tests. METHODS : Two accelerated pavement testings were conducted. One is to select proper sealing method of the asphalt joints and the other is to see the performance of the saw and seal method. Lab tests were conducted to select proper sealing method and a test section was constructed to see the field performance. RESULTS : The result of the first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indicated that the adhesive preformed sealants showed good performance when asphalt layer was rutted and in terms preventing from water infiltration. The second acceleration test indicated that the saw and seal method using the adhesive preformed sealant showed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In the lab test bitumen, rubber and epoxy showed good performance as the adhesive. CONCLUSIONS : Saw and Seal method using the adhesive preformed sealant would markedly reduce the joint damage on the asphalt overlay.

공조공간에서 수평토출형 에어커튼의 차단 성능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Single-Sided air Curtain in Air-Conditioned Space)

  • 성순경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806-812
    • /
    • 2012
  • Air curtains are widely used in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to replace solid doors where traffic of people is predicted. At doorways where the solid door is open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an air curtain may be installed in order to reduce the flow of heat and moisture from the enclosed space to the outsid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single-sided air curtain when the wind is blowing. For the study, a numerical simulation is used to find the influence of various jet velocities on the efficiency of the single-sided air curtain device which is mounted at the side of the doorway. The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single-sided air curtain is evaluated by sealing efficiency which provides the assessment of the infiltration air ratio.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ingle-sided air curtain has lower sealing efficiency than downward-blowing air curtain. Therefore, for energy conservation in heating space, the single-sided air curtain is not recommended because of its low effectiveness.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를 위한 머신비전 알고리즘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achine Vision Algorithm for Automation of Pavement Crack Sealing)

  • 유현석;이정호;김영석;김정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90-105
    • /
    • 2004
  •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는 도로면에 존재하는 크랙 네트워크의 위치를 정확히 탐지 및 맵핑(mapping)하고 이를 모델링(modeling)한 후 경로 계획(path planning) 과정을 통해 크랙 네트워크의 중앙(spine)을 따라 실런트(sealant)를 분사하여 크랙을 효과적으로 실링할수 있도록 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실링될 크랙 네트워크의 정확한 위치를 모델링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처리 알고리즘 및 최적 경로계획 알고리즘의 개발은 품질 및 생산성, 경제성 측면에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성공적 개발을 위한 핵심 연구 주제로 인식되어 왔다. 기존 국외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에 적용된 디지털 영상처리 알고리즘은 크랙을 탐지하고 모델링하는 일련의 과정을 전적으로 컴퓨터에 의존하는 완전자동화 방식과 인간과 컴퓨터 간의 협업체제를 이용한 반자동화 방식으로 양분되어 개발되었다. 그러나 도로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노이즈 및 그림자 등을 포함한 작업영역 내에서의 열악한 영상처리 여건 등으로 인해 만족할 만한 성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완전자동화 방식과 그래피컬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반자동화 방식이 지닐 수 있는 강점만을 혼용하여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크랙 네트워크를 모델링하고 최적 경로계획을 바탕으로 크랙실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머신비전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경망 학습 기법을 이용한 도로면 크랙 인식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vement Crack Recogni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유현석;이정호;김영석;성낙원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1-564
    • /
    • 2004
  • 국내외에서는 크랙실링 공법의 이점 및 도로면 유지보수 공사의 위험 요소를 인식하여 90년대 초반부터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기존 문헌 고찰과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Automated Pavement Crack Sealer; APCS)의 실험실 및 현장 실험 결과, 도로면에 존재하는 크랙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모델링하는 과정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개발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실용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CCD 카메라를 통해 습득된 도로면 영상에서 크랙 네트워크를 완전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영상 인식 분야에서 보다 외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낮은 인식률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개발된 APCS 머신비전 알고리즘의 경우 도로면 영상의 환경 요인에 의해 발생된 문제점들을 많이 해결하였으나 실용화 단계에서 요구되는 크랙 인식률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APCS 머신 비전 알고리즘의 완전 자동화 방식 크랙 탐지 및 모델링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신경망 학습 기법을 이용한 크랙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