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Controlled Happines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웰빙지향행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ell-being-oriented activities on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Attended Physical Education)

  • 서수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537-544
    • /
    • 2018
  • 본 연구는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웰빙지향행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2018년 3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C시의 대학생 총 305명을 대상으로 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PSS Ver20.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웰빙지향행동 중 친환경 행동, 웰빙식생활, 취미지향, 운동지향에서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웰빙상품구매, 정신건강에서는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은 외적행복, 자기조절 행복, 내적행복에서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웰빙지향행동에서는 남, 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에서는 외적 행복에서 1학년보다 2학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내적 행복에서는 1학년보다 2학년, 3학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양체육수업 참가횟수에서는 웰빙지향행동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행복감에서는 3회 참가한 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웰빙지향행동 중 취미지향, 정신지향, 운동지향은 외적행복에, 정신지향, 운동지향은 자기조절행복에, 웰빙식생활, 취미지향, 정신지향, 운동지향은 내적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영향 변인 : 자녀의 연령, 자녀수 및 어머니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 (The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Happines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A Child's Age, the Numbers of Children, and Maternal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 정계숙;박수홍;유미숙;최은실
    • 아동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12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hild's demographic variables and maternal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on their happiness for mot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d 916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 child's age and the numbers of children influenced maternal happiness when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In addition, mothers who exhibited high degree of ne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regarding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were more likely to be happy than mothers who exhibited low degree of needs. Finally, the expectations regarding growth, which refers to the pursuit of self-accomplishment and meaning,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maternal happines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비만아동을 위한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혼합방법론의 적용 (An Emotional Self-Regul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Pilot Study Using Mixed Methods)

  • 김희순;마유미;박지영;김승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87-197
    • /
    • 2013
  • 목적 비만아동을 위한 이론기반의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 방법 본 연구는 혼합방법 중 실험연구를 위한 끼워넣기 모형을 활용함. 즉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우울, 식습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추가적으로 질적 자료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함. 결과 본 연구결과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은 비만아동의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대상자는 '자신감 고취', '충동 조절', '또래와의 친밀감', '행복감', '체중감소를 위한 노력 및 경험' 등을 표현함. 결론 본 연구결과 정서적 자기조절 능력의 강화는 비만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전략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대상자와 지역을 확대한 반복연구와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제언하는 바임.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위해 혼합방법을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평가에 있어 실무와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