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construal level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Choice of Overseas Travel Product Type

  • KIM, Young-Doo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1호
    • /
    • pp.29-38
    • /
    • 2020
  • Purpose: Understanding which product types of overseas travel (free independent travel vs. package travel) consumers will choose is one of the key issues of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in travel agency management. Prior studies on overseas travel type preferences mainly focused on comparing regional differences (e.g., Asian vs. Westerner, or Korean vs. Australian, or Korean vs. Japanese, or American, French, Italian vs. Japanese) influencing the choice of overseas travel type. Another researchers focused on comparing cultural differences (e.g., 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or individualistic culture vs. collectivistic culture), subcultural difference (e.g., acculturation; Koreans living in Republic of Korea vs. Koreans living in Australia), travel lifestyle, and socio-demographics (e.g., age, gender,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occupation etc.).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identify individual psychological differences (i.e., individual psychological differences within the same culture) influencing the choice of overseas travel type. Self-construal is a psychological factors that greatly influences choic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elf-construal as an antecedent variable influencing choice of overseas travel product typ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Self-construal items composed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items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tems. Product types of overseas travel were free independent travel (FIT) type versus package travel type.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nonsignificant. It me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orthogonal.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eparatel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gender and age)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metho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ronger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more preference for the free independent travel type rather than package travel, and the strong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e more preference for the package travel type rather than free independent travel. Conclusions: Self-construal is an antecedent variable influencing the choice of travel type. Travel agencies must consider the consumer's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rual v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before planning and designing overseas travel products.

부러움의 유형과 자아해석의 고저수준에 따른 탐닉적 소비성향의 차이 (The Effects of Types of Envy and Self Construal Level on Indulgence)

  • 최낙환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5호
    • /
    • pp.73-81
    • /
    • 2018
  • Purpose - When indulging in hedonic items is construed as wasteful and evokes anticipated regret or guilt,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seek reasons to justify their indulgence. Justification requirement for spending on indulgences over necessities could lead to the places of their finding the ways that mitigate the anticipated regret and guilt.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consumers' own great effort leading to positive outcomes has not given much attention to other's outcomes induced from his or her little or no efforts, by which consumers could feel envy. The guilt associated with consumers' indulgence could vary according to envy type felt according to their evaluation about other's outcomes and their self construal level. Current research explored the envy type's effects on consumers' spending on hedonic products, and moderation effects of self construal level on the envy type's effe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2(envy type: benign versus malicious) × 2(self construal level: high versus low) between-subjects design was employed. Data for empirical analysis were from 173 undergraduate participants. ANOVA was used to verify hypotheses. Results - The tendency of choosing utilitarian product versus hedonic product was moderated by the envy type. The participants who felt benign envy were more likely to choose utilitarian product versus hedonic product than those who felt malicious envy were. And the tendency of benign envy-felt participants' choosing hedonic versus utilitarian product was more weakened to those with lower-level self construal than to those with higher-level self construal. However the tendency of malicious envy-felt participants' choosing hedonic versus utilitarian product was not moderated by the self construal level. Conclusions - This research could advance the theory related to indulgent hedonic consumption by exploring the effects of self construal level and envy type on hedonic indulgence. In view of the results from current study, marketers should make efforts of communicating and selling utilitarian products to persuade consumers with lower-level construal when they feel benign envy to others. And they should conduct marketing acts for hedonic products to persuade consumers when they feel malicious envy to others.

The Effect of Message Construal Level, Temporal Distance and Consumer's SNS Self-efficacy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SNS Fashion Advertisements

  • Cho, Hyojung;Lee, Mi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11-2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strual level and temporal distance of a message and consumer's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lf-efficacy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SNS fashion advertising. This study employed a 2 (message configuration: high construal level/low construal level) ${\times}$ 2 (temporal distance: distant future/near future) ${\times}$ 2 (SNS self-efficacy: high/low)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Facebook users in their twenties (N=21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toward SNS fashion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when the message construal level was lower and when the temporal distance was closer. Second, no interactions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message construal level for attitude toward SNS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were found in this study. However, interactions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SNS self-efficacy for attitude toward SNS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were found. When the SNS self-efficacy was high, message with the low construal level reacted significantly positive in terms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 for apparel makers or retailers to use SNS as a new advertising media for fashion marketing.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게임이용자의 자기통제와 해석수준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Construal Level on Game Addiction)

  • 장예빛;이혜림;김민규;정의준;유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31-142
    • /
    • 2013
  • 게임중독은 자기통제 상실의 현대적 지표로서 동료관계 및 교우관계와 같은 사회적 관계맺음을 포함한 개인의 일상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이용자들의 자기통제수준과 해석수준에 따라 게임중독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자기통제수준과 해석수준의 상호작용이 게임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고, 총 918의 응답자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낮은 자기통제수준과 낮은 해석수준을 가진 이용자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통제수준 및 높은 해석수준을 가지는 경우에 비해, 더욱 높은 수준의 게임중독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통제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해석수준에 관계없이 게임중독수준이 낮았으나, 자기통제수준이 낮은 경우, 해석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일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석수준이 하나의 조절변수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결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의 자기통제와 해석수준의 변화를 통해 자율적인 규제를 통한 게임중독완화의 가능성을 논의해 볼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특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성별과 자기해석 수준차이를 중심으로 (Effects of Online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Customer Reaction - Based on the Differences of Customer's Gender and Self-Construal Level)

  • 신종국;문민경;김재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261-273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징이 자기 해석 수준 및 성별 차이에 따라 고객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징으로 상호작용성, 목적성, 정보제공, 활동보상으로 나누어 실증연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활동보상은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목적성과 정보제공의 효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가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이 강할수록 구전효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의존적 자기 해석 수준을 갖고 있는 소비자는 독립적 자기 해석 수준을 갖고 있는 소비자에 비해 보다 더 높은 브랜드 커뮤니티의 몰입을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높은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해석이라는 내재적 동기를 알아봄으로써, 기업들에게 브랜드커뮤니티를 통한 효율적인 마케팅 접근법을 제시한다.

광고모델의 미소와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이 고가 제품군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The Negative Effect of the Advertising Endorser's Smile and Consumer's Self-construal Level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Brand in the Expensive Product Category)

  • 김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78-686
    • /
    • 2021
  • 미소 짓는 얼굴은 친근하고 따뜻한 인상을 전달하여 대인 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 그러나 고정관념내용모델과 따뜻함과 유능함 인상의 보상효과에 따르면 미소를 짓는 표정은 타인에게 따뜻한 인상을 전해주지만, 반대 차원의 인상인 유능함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는 따뜻함과 유능함 인상평가의 상호 보상효과를 고가 제품군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광고에 응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미소를 띠는 광고모델로 인해 브랜드의 따뜻함 인상이 증가하고 이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미소를 띠는 모델이 사용된 광고에 노출될 때, 독립적 자기해석을 하는 소비자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소비자보다 낮은 구매의도를 보여준 반면, 미소를 띠지 않은 모델이 사용된 광고에 대해서는 의존적 자기해석을 하는 소비자가 독립적 자기해석 소비자보다 낮은 구매의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고가 제품군 브랜드 광고에 기용된 모델의 미소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이 조절변수로 작용함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고가 제품군 브랜드 광고의 효과적인 광고모델 전략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Benefit Appeals, Brand Types, and Construal Level on Ad-brand Congruency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essages -Aspirational vs. Accessible Brands

  • Yoo-Won Min;Kyu-Hye L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760-777
    • /
    • 2023
  • Fashion brands seek guidelines for effective green advertising messages, considering benefit appeals, brand types, and construal level. However,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ir simultaneous interplay. Thu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a 2X2X2 between-subjects design to investigate how brand type and construal level moderate the mediating role of ad-brand congruency between benefit appeals and purchase intention. A total of 245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participa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was revealed. Low-construal-level messages with concrete content showed disparities between aspirational and accessible brands concerning other-benefit appeals: Accessible brands utilizing other-benefit appeals demonstrated higher ad-brand congruency, while aspirational brands had lower ad-brand congruency. Furthermore, within aspirational brands, self-benefit appeals resulted in higher ad-brand congruency than other-benefit appeals. Finally,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discovered, indicating that brand types and construal level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d-brand congruency between benefit appeals and purchase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was prominent in the context of self-benefit appeals, aspirational brands, and low-construal-level messag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ntricate dynamics of the three factors in green advertising,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crafting more targeted green advertisements.

한국 대학생의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상호독립적 자기관 결핍에 따른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ollege students' Self-Construal and Alexithymia: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 권소영;곽자랑;김비아;이동훈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2호
    • /
    • pp.101-118
    • /
    • 2019
  • 감정표현불능증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증상을 의미한다. 동양인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은 서양인들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한 조사연구는 동양인의 높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이 집단주의 문화에서 발달하는 상호협조적 자기관의 영향이라고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상호독립적 및 상호협조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 수준 및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은 상호협조적 자기관과 상관이 없었으며, 오히려 상호독립적 자기관과 뚜렷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게다가 상호독립적 자기관은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와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상호독립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 수준의 부적 관계에 대한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이중 매개모형을 설정하고, Hayes와 Preacher (2014)의 Process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상호독립적 자기관의 결핍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을 높이는 직접효과도 유의하고,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추가적으로 간접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정서표현양가성의 단일 매개효과와 정서표현양가성을 경유한 정서억제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고, 정서억제에 의한 단일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상호독립적 자기관 수준이 낮을수록,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아져서, 혹은 높아진 정서표현양가성이 정서억제 수준을 높여 감정표현불능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한국대학생들이 겪는 감정표현의 어려움이 전통적인 집단주의 문화의 상호협조적 자기관에서 기인한다기 보다, 상호독립적 자기관의 결핍에서 유발되며, 높은 정서표현갈등과 과도한 정서억제로 이어져 감정표현불능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Cultural Aspect of Conflict Behaviour in Construction -A Case Study from Turkey

  • Babaoglu, F.Fusun Ertan;Giritli, Heyecan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7권2호
    • /
    • pp.45-53
    • /
    • 2017
  •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ulture on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behaviours in organizational settings, no study has been done ye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particularly in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level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values. Despite the key role of self-construal in explaining or predicting behaviour in interpersonal conflict, it has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construction management. Reflecting this necessity, the objectiv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establish,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ahim Organizational Inventory (ROC II) instrument, how the cultural values of professionals of construction businesses relate to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conflict-handling styles through self-construal.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surveys from construction professionals working in contracting firms. The findings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self-construal type as an individual-level cultural variable in explaining the differences in the style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in the contex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자아조절자원 및 해석수준이 공짜대안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regulatory Resources and Construal Levels on the Choices of Zero-cost Products)

  • 이진용;임승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55-76
    • /
    • 2012
  • 사람들이 돈을 지불하지 않고 무료로 얻을 수 있는 공짜제품을 과다하게 선호하는 현상을 '공짜효과'라 한다.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공짜제품에 주어지는 특별한 가치 때문에 이와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공짜효과가 항상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변수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자아조절자원과 해석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면 통제의 힘이 약해져서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직관적이고 노력을 별로 기울이지 않는 정보처리과정을 통해 의사결정을 수행한다. 또한, 주어진 정보를 어떤 해석수준에서 처리하는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고차원 해석수준에서 중심기능을 바탕으로 대안의 바람직성에 따라서 선택하는 반면, 저차원 해석수준에서 부가기능을 바탕으로 대안의 실행가능성에 초점을 두어 선택한다. 이와 같은 특성이 공짜효과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자아조절자원과 해석수준에 의해서 공짜효과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기 위해 2개의 실험설계를 채용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재(키세스와 페레로로쉐 초콜릿)를 이용했다. 실험 1은 자아조절자원 고갈 여부가 공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자아조절자원 고갈과 비고갈 집단으로 나누어 공짜대안이 있는 선택과업과 그렇지 않은 과업에 할당했다.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지 않은 집단에서 공짜효과가 확실하지만,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된 집단에서 공짜효과가 약해진다는 것을 밝혔다. 실험 2는 해석수준이 공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실험 2는 '왜(why)'와 '어떻게(how)'를 이용해 해석수준을 조작했으며, 실험 1과 유사하게 공짜대안이 존재하는 의사결정과업과 존재하지 않는 과업에 할당한 뒤 공짜대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고차원 해석수준의 집단은 저차원 해석수준의 집단에 비하여 공짜제품 선택비율이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