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tching adhesiv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on the Dentin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

  • Bae, Ji-Hyun;Choi, Yong-Hoon;Jung, Moon-Kyung;Cho, Byeong-Hoo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2권2호
    • /
    • pp.5-11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the dentin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s (SEAs) may be improved by applying a coat of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resin in addition to SEA. Method and Materials : The bond strengths of two SEAs - Experimental SEA (EX) and Adper Prompt (AP) - were measured with three bonding protocols. The D/E resin of All-Bond 2 was applied as the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Clearfil SE Bond (SE, self-etching primer system) and All-Bond 2 (AB, total etching system) were used as references. The following protocols were used: (1) EX1 (EX 1 coat); (2) EX2 (EX 2 coats); (3) EX+ (EX 1 coat + D/E resin); (4) AP1 (AP 1 coat); (5) AP2 (AP 2 coats); (6) AP+ (AP 1 coat + D/E resin); (7) SE (SE primer + SE bond); (8) SE+ (SE primer + D/E resin); (9) AB (etching + AB primer + D/E resin). Filtek Z250 composite resin was built up an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 values of the specimens were compared. The fractured surfaces were observed using SEM. Results : When SEA was used as self-etching primer and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was applied as well, MTB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hen either one coat or two coats of SEA only were used (p < 0.05). Conclusion : The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improved the integrity of the bonded interface obtained with SEA.

  • PDF

Self-etching Primer를 이용한 교정용 브라켓 부착시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in bracket bonding with self-etching primer)

  • 김유경;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5-33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부식과 전처리 과정을 결합하여 접착 단계를 단순화시킨 self-etching primer의 임상적인 유용성 을 판단하고자, self-etching primer로 브라켓을 접착하는 방법과 기존의 $37\%$ 인산으로 부식하여 접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광중합시 사용되는 광원 및 브라켓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에 관하여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을 부식 및 전처리 방법에 따라 각각 $37\%$ 인산으로 산부식 후 Transbond XT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Transbond Plus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광원 종류에 따라 가시광선과 plasma arc light을 이용하여 중합한 군으로 나누었고, 브라켓 종류에 따라 금속브라켓과 세라믹 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간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원과 브라켓 종류가 동일한 조건일 때,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XT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간의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2. 금속브라켓을 접착한 경우, 광원과 부식 및 전처리 방법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3. Self-etching primer와 XT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 모두에서 세라믹 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의 전단결합 강도는 금속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p<0.001). 4. 접착제 잔류지수는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XT primer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세라믹 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에서 금속브라켓을 사용하여 접착한 군보다 유의하게 커서, 법랑질-레진 접착 계면 부위의 파절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Transbond Plus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하는 것은 적절한 결합강도를 얻으면서도 사용이 간편하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Self-etching adhesive system에서 수분 조절이 레진의 치질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isture control on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reated with self-etching adhesive system)

  • 진명욱;김영경;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363-369
    • /
    • 2002
  • 최근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치과용 접착제는 산 부식 후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적용하는 wet-bonding 술식을 많이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self-etching primer의 경우 산부식과 priming 과정이 동시에 시행되고, 제조자들은 건조된 치아표면에 적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된 정도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추천사항이 없으며.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질 삭제 후 남아있는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의 레진 접착 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한 대구치 96개를 이용하여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600 사포로 표면을 연마하고, 법랑질 면을 노출시킨 군과 상아질을 노출시킨 군으로 분류 후, 30분 공기 중 방치 군 (1군), 5초 공기 건조 군 (2군), 1초 공기 건조 군 (3군), 솜으로 약간의 물기를 제거한 군(blot dry) (4군) 등 총 8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인 Clearfil SE Bond primer를 20초간 적용하고, bonding제 도포 후 10초간 광중합 시행하였다. 접착제 처리한 치아면에 몰드를 고정한 후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2mm 충전하고, 40초간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전단 응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법랑질과 상아질 모두에서, 30분 건조군과 5초 공기건조군이 1초와 blot drying 군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을 사용함에 있어서 법랑질과 상아질군 공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수분의 존재시 치아와의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에서 접착제의 적용시 수분의 조절에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moisture and drying time on the bond strength of the one-step self-etching adhesive system

  • Lee, Yoon;Park, Jeong-W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3호
    • /
    • pp.155-159
    • /
    • 2012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in moisture degree and air-drying time on dentin-bond strength of two different one-step self-etching adhesive system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human third molars were used fo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ing of G-Bond and Clearfil $S^3$ Bond. The dentin surface was either blot-dried or air-dried before applying these adhesive agents. After application of the adhesive agent, three different air drying times were evaluated: 1, 5, and 10 sec. Composite resin was build up to 4 mm thickness and light cured for 40 sec with 2 separate layers. Then the tooth was sectioned and trimmed to measure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measured bond strengths were analyzed with thre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p = 0.05). Results: All three factors, materials, dentin wetness and air drying tim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Clearfil $S^3$ Bond, dry dentin surface and 10 sec air drying time showed higher bond strength.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experiment, air drying tim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one-step self-etching adhesive agen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bond strength, followed by the material difference and dentin moisture before applying the adhesive agent.

Self 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부착된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의 비교 (Shear bond strength of brackets bonded with different self etching primers)

  • 양진영;김민지;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3-292
    • /
    • 2007
  • 새로운 접착 시스템의 개발로 브라켓의 접착 과정이 단순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상적인 산 부식 방법과 더불어 수종의 교정용 및 수복용 self etching primer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파절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self etching primer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한 상, 하악 소구치 75개를 레진 블록에 매몰하여 시편을 제작하였고, 산 부식이 필요한 Transbond XT primer와, 4종의 self etching primer (Transbond Plus Self Etching Primer, Unifill Bond, Clearfil SE bond, Adhese)를 각각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한 후, 만능시험기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 기저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접착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접착제 잔류지수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인산 처리군이 self etching primer 처리군에서 보다 낮은 값을 보여, self etching primer 처리군이 인산 처리군 보다 법랑질-레진 접착계면 부위에서의 파절이 많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Self etching primer 처리군에서의 전단결합강도는 37% 인산 처리군의 전단결합강도보다 낮았지만(p < 0.05), 임상적으로 유용한 수준 이상이었으며, self etching primer 처리군 내에서 각각의 전단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따라서 self etching primer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산 부식법에 비하여 다소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이지만 임상적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Influence of application time of self-etching primer on bonding to dentin

  • Song, Ki-Gang;Lee, Young-Gon;Cho, Young-Gon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25-625
    • /
    • 2003
  • I. Objectives Self-etching primer adhesive system is affected to dentin surface conditioning and priming. Especially application time of self-etching primer is very important factor of clinical procedure which has direct influence on smear layer, etching reaction and primer penetration to dentin.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application time of self-etching primer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mu}{\;}TBS$) to dentin using three self-etching primer adhesive systems.(omitted)

  • PDF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silorane-based composite specific adhesive system using different bonding strategies

  • Bastos, Laura Alves;Sousa, Ana Beatriz Silva;Drubi-Filho, Brahim;Pires-de-Souza, Fernanda de Carvalho Panzeri;Garcia, Lucas da Fonseca Robert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1호
    • /
    • pp.23-29
    • /
    • 2015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etching on the bond strength of silorane-based composite specific adhesive system to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human 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bonding strategies. For teeth restored with silorane-based composite (Filtek Silorane, 3M ESPE), the specific self-etching adhesive system (Adhesive System P90, 3M ESPE) was used with and without pre-etching (Pre-etching/Silorane and Silorane groups). Teeth restored with methacrylate based-composite (Filtek Z250, 3M ESPE) were hybridized with the two-step self-etching system (Clearfil SE Bond, Kuraray), with and without pre-etching (Pre-etching/Methacrylate and Methacrylate groups), or three-step adhesive system (Adper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Three-step/Methacrylate group) (n = 6). The restored teeth were sectioned into stick-shaped test specimens ($1.0{\times}1.0mm$), and coupled to a universal test machine (0.5 mm/min) to perform microtensile testing. Results: Pre-etching/Methacrylate group presented the highest bond strength valu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from Silorane and Three-step/Methacrylate groups (p < 0.05).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e-etching/Silorane and Methacrylate groups. Conclusions: Pre-etching increased bond strength of silorane-based composite specific adhesive system to dentin.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접착제와 타액오염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변화 (Change i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self-etching primer according to adhesive types and saliva contamination)

  • 남은혜;윤영아;김일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33-44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켓 접착 시 산부식과 전처리 과정을 결합하여 접착 단계를 단순화시킨 self-etching primer (SEP)를 차용하는 경우 접착제 종류와 타액의 존재 유무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에 관하여 비교 연구 하는 것이다. 소의 하악 영구 전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을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를 이용한 군으로 나누었고 각각 37% 인산으로 산부식 후 기존의 본딩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분류하고, 타액 오염 유무에 따라 다시 각 군을 분류하여 전단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레진 접착제로 브라켓을 부착한 경우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인산 처리군에 비해 낮은데 비해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경우, 전처리법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타액 오염이 존재 시에는 SEP를 사용한 군이 인산처리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EP를 사용 시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 모두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특히 타액에 오염된 치면에서도 SEP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하는 것은 적절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가부식 접착제의 레진 Tag 형성 (RESIN TAG FORMATION OF SELF-ETCHING ADHESIVES)

  • 김영재;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3-152
    • /
    • 2003
  • 본 연구는 자가부식 접착제의 치질로의 침투와 레진 tag 형성을 알아보고 부가적인 산부식이 레진 tag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3종의 자가부식 접착제(SE bond, AQ bond and L Pop)와 one bottle adhesive(Single bond)를 사용하였고 발거한 구치로 교합면 법랑질과 상아질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 군당 5개씩 네 개의 군으로 나눈 총 20개의 시편을 양분하여 각각 접착제를 적용하기 전 35% 인산으로 산부식하거나 산부식처리하지 않았으며 이후 레진을 적용시키고 중합하였다. 시편은 Silverstone microtome으로 절단한 후 HCl 용액과 NaOCl 용액으로 처리하고 건조시킨 후 이온으로 피복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부가적 산부식 처리한 상아질은 모든 자가부식 접착제군에서 산부식하지 않은 상아질보다 resin tag의 길이와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2. 법랑질에서는 L Pop을 제외하고 부가적 산부식한 군에서 레진 tag의 두께가 산부식하지 않은 군보다 컸고 보다 명확한 부식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L Pop에서는 부식법랑질과 비부식법랑질간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가부식형 접착제가 법랑질을 부식시키지 않고 상아세관으로 침투하는 정도가 산부식군에 미치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접착강도와 미세누출 및 레진 tag 형태에 대한 부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의 미세누출 평가 (THE EVALUATION OF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BY USAGE OF SELF-ETCHING ADHESIVE SYSTEM)

  • 김현진;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6-224
    • /
    • 2008
  • 자가 산부식 접착제는 산부식 과정 후 수세없이 와동을 충전할 수 있다. 움직임이 많고 행동 조절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 시술의 절차를 줄일 수 있는 자가 산부식 접착제가 치면열구전색제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법랑질에 대한 산부식 능력이 인산에 비해 낮아서 충분한 부식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약한 산부식능을 감안하여 열구성형술과 acidic primer의 도포 시간을 증가시키는 등의 임상 술식을 시행하고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단점이 보완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5% 인산으로 산부식 후 전색술을 시행한 경우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포한 경우의 미세 누출도를 염색액의 침투도를 비교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산부식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열구 성형술을 시행 후 자가산부식접착제를 도포한 군은 인산 부식 20초를 시행한 군과 자가산부식접착제를 20초, 40초 도포한 군보다 미세누출도가 더 낮았다. 2. 자가산부식접착제를 제조 회사의 지시에 따라 20초간 도포한 군과 40초로 늘려 도포한 군 간에 미세누출도의 유의차가 없었다.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시 전형적인 산부식 양상은 인산부식 20초군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열구성형술을 시행하고 자가산부식접착제를 도포한 군이 자가산부식접착제만 20, 40초 도포한 군보다는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