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instruc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A Self-Guided Approach을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생성 쓰기 보조 기법의 향상 방법 (A Self-Guided Approach to Enhance Korean Text Generation in Writing Assistants)

  • 장동현;김진수;이민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541-544
    • /
    • 2023
  • LLM(Largescale Language Model)의 성능 향상을 위한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ChatGPT, GPT-4와 같은 초거대 모델의 output에 대해 SLM(Small Language Model)을 finetune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주로 범용적인 지시사항 모델을 위한 학습 방법으로 사용되며, 제한된 특정 도메인에서는 추가적인 성능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특정 도메인(Writing Assistant)에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인 Self-Guided Approach를 제안한다. Self-Guided Approach는 (1) LLM을 활용해 시드 데이터에 대해 도메인 특화된 metric(유용성, 관련성, 정확성, 세부사항의 수준별) 점수를 매기고, (2) 점수가 매겨진 데이터와 점수가 매겨지지 않은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여 supervised 방식으로 SLM을 미세 조정한다. Vicuna에서 제안된 평가 방법인, GPT-4를 활용한 자동평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Self-Guided Approach로 학습된 SLM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Self-Guided Approach가 Self-instruct, alpaca와 같이, 생성된 instruction 데이터에 튜닝하는 기존의 훈련 방법에 비해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다양한 스케일의 한국어 오픈 소스 LLM(Polyglot1.3B, PolyGlot3.8B, PolyGlot5.8B)에 대해서 Self-Guided Approach를 활용한 성능 개선을 확인했다. 평가는 GPT-4를 활용한 자동 평가를 진행했으며, Korean Novel Generation 도메인의 경우, 테스트 셋에서 4.547점에서 6.286점의 성능 향상이 발생했으며, Korean scenario Genration 도메인의 경우, 테스트 셋에서 4.038점에서 5.795 점의 성능 향상이 발생했으며, 다른 유사 도메인들에서도 비슷한 점수 향상을 확인했다. Self-Guided Approach의 활용을 통해 특정 도메인(Writing Assistant)에서의 SLM의 성능 개선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이는 LLM에 비용부담을 크게 줄이면서도 제한된 도메인에서 성능을 유지하며, LLM을 활용한 응용 서비스에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학업흥미도 향상을 위한 패션전공교육 프로그램 (The education program majored in fashion for improving interest in schoolwork)

  • 김효은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1호
    • /
    • pp.184-19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s to 323 undergraduate students in fashion related department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ask total 23 questions including possibility of halfway dropouts, establishment of goals, self-improvement, entrance motives, satisfaction ratings of academic subjects, job prospects and path planning, amelioration of ways to instruct, desires for the integrated lessons and intense academic courses, wishes of field project education carrying out tasks, desired lecturers, and others. Results in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To begin with, it was appeared that respondents with possibility of halfway dropouts showed considerable percentage (25.4%) and the reasons left out were various including joining the army, the poor economic conditions in family, a major not corresponding with one's aptitude. Secondly, in the extent of establishing goals and improving oneself, there was the difference between people with possibility of halfway dropouts and people without that, and it was judged that the extent of establishing goals and improving oneself as good parameters could explain halfway omission. Thirdly, the ways to teach for getting classes interesting were to make instruction according to one's capabilities, to progress systematically, and to take lessons with specific goals. Fourth, many respondents answered to want the integrated lessons, intense academic courses, and field project education carrying out tasks. Fifth, an overwhelming majority of respondents hoped instructors with a outstanding ability in business. For improvement of the ways to instruct and the role of professors, it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students are given intelligible lessons focused on fundamental subjects fitted to their levels and also need gradual intense academic courses classified by their way directions and interests. Second, creative and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s depending on the majors and levels are developed to help students have strong interest in schoolwork. Third, professors are constantly to learn practical techniques and skills related to industries in step with the education goals of college. Fourth, it is desirable to adopt instructors with practical business talents rather than theoretical capabilities.

자원동원성 (Resourcefulness)의 개념 분석 (Resourcefulness : A Concept Analysis)

  • 서순림;박영임;김성재;김인자;구미옥;양영희;이은남;박송자;최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29-340
    • /
    • 1997
  • Resourcefulness was analyzed by Walker and Avant's method to mak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nursing. Also, the appropriate Korean terminology was identified.“Resourcefulness”means the ability to us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to eliminate or to control stress. '자원동원성' is chosen to be the most appropriate term to reflect the concept of resourcefulness. Upon the concept analysis, availability, controllability, confidence, and self-instruction were identified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resourcefulness. Contrary to other work, "availability" means the ability to use the social resources as well as the internal cognitive-behavioral resources. “Controllability” means the ability to delay or control immediate gratification of one's needs or to divert one's own mood in order to solve problem. "Confidence" is the self-efficacy belief in one's control ability. "Self-instruction" is the cognitive ability to instruct oneself positively. Resourcefulness is learned by active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and formal or informal instruction, and it is cued in the presence of a stressful situation or a need for change. As a result of the use of resourcefulness, the target behavior performed immediately and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r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strument including the defining attributes identified in this study. Also,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analyze the related concepts of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self-regulation for appropriate use.

  • PDF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시험을 위한 웹 기반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for Word Processor Qualifying Exams)

  • 양윤정;김창석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3-48
    • /
    • 2006
  • 인터넷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웹은 특성상 구성주의 학습원리를 실현하는데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WBI(Web Based Instruction)는 웹을 매체로 활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학습자를 교육시키는 형태로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학습 자료를 제공하며,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문제은행 방식의 모의시험을 제공하는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통하여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학습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학습 환경을 구축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시험을 위한 웹 기반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은 교수자가 매번 새로운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은행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를 검색하여 재 사용할 수 있고, 단원별로 원하는 문제 수를 지정하여 시험지를 출제한 수 있도록 구현하여 진정한 의미의 문제은행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 웹 기반 학습을 하는 과정에 평가를 한 수 있도록 하였으며 즉각적인 피드백의 제공으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시험 응시 후 단원별로 유사문제 검색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학습자 문제은행 초기화면에서 키워드 검색으로 문제를 검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 효율을 더욱 증대시켰다.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도형 교수.학습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ram Teaching & Learning System for Low-Level Students)

  • 구윤미;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95-404
    • /
    • 2010
  • 수학 교육이 해결해야하는 과제 중 하나는 학습 부진아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 효율적인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해 '도형아 놀자'라는 교수.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도형아 놀자 교수학습 시스템은 학습 부진아의 수준에 맞는 맞춤식 교육을 목표로 도형영역의 내용을 5단계로 재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부진아에게 도형에 대한 흥미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학년 구분 없이 수준에 따라 재구성하고 학습 부진아들이 자기 수준에 맞는 단원을 선택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갈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병원간호사의 당뇨병고위험군 지식, 교육수행과 기대 (Hospital Nurses' Pre-diabetes Knowledge, Performance and Expectation of Patient Education)

  • 김민정;송미순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33-4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describe hospital nurses' pre-diabetes knowledge, performance and expectation of patient. Methods: The total of 204 hospital nurses were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mprises general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ing sex, age, religion, education and career), ten researcher-generated questions regarding knowledge about pre-diabetes, performance of patient education (including how many people encounter in workplace, how often teaching, how many minutes required to teach and course contents) and expectation (including need improvement of teaching, barrier to education and desirable cours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hospital nurses' pre-diabetes knowledge was as low as 0.82 (82% correctness). On comparison of the knowledge levels among ten pre-diabetes knowledge dimensions, the highest score was 0.95 for necessary of medical check-up. The lowest score was 0.57 for complication can rarely happe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for education, career and knowledge regarding pre-diabetes. Moreover, 49.5% of the nurses did not instruct patients about pre-diabetes, 24.5% taught prevention skills to a third of the pre-diabetes patients they encountered, and 61.2% nurses disseminated information under 5 minutes. Improvement was necessary for 78 nurses (75.8%). Conclusion: Pre-diabetes awareness among nurses is necessary.

외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통합을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Integrating Foreign Language Teaching with Culture Education)

  • 김용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069-1078
    • /
    • 2013
  • 이 논문은 언어수업에서 문화를 가르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많은 교사들이 외국어를 가르치면서 동시에 문화를 가르치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며 두려워하기까지 한다. 정치, 경제, 역사, 예술, 문학 등 객관적인 문화를 가르치는 것을 두려워하지는 않지만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문화인 주관적인 문화를 지도하는 것에는 난색을 표명한다. 본고에서는 언어수업에서 문화 지도를 할 수 있는 간단한 3단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Lange, Bennett 그리고 Moran의 방법을 혼합하여 재구성한 방법이다. 첫 번째 단계는 자기중심적 세계를 탈피하고 두 번째 단계는 자신의 문화와 목표 문화를 비교하여 문화에 대한 자각력을 키우고 세 번째 단계는 목표 문화에 적절히 반응하는 것이다. 교재는 영화를 사용한다. 영화 속에 나타난 문화적 양상이 일상과 관련된 주관적 문화이므로 언어수업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문화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영화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장르이므로 이점이 있다. 문화 교육을 위한 이 조그마한 제안이 나와 다른 인종들을 서로 이해하며 존경하는 세상이 오는 데 일익을 담당하기를 기대해 본다.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Teacher Aptitude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Efficacy of Child Car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배문조;박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85-494
    • /
    • 2013
  •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부모와 대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만족 집단과 불만족 집단 간 비교연구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parent conversation on career maturi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satisfaction and non-satisfaction group)

  • 박상문;김기중;김태철;현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49-1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부모와의 대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간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학생과 만족하지 않은 두 집단 간의 비교연구를 통해 학교와 선생님이 학교생활에서 학생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려는 노력과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을 위해 학교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2018년 초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II) 조사 Data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은 부모와 대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대화빈도와 내용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과 부모와 대화 변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집단과 만족하지 않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조절적 작용(Pairwise T-Test -5.439⁎⁎⁎)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체중 여고생들의 체중조절행위와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High School females with Normal Body Weight)

  • 김옥수;윤희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91-401
    • /
    • 2000
  • This descriptiv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273 high school girls with normal body weigh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ⅰ) to evaluate subjective obes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body shape, ⅱ) to describe the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the motivation, ⅲ) to reve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BMI (Body Mass Index), iv)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subjective obes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body shape, and v)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family support. The results showed that 62.6% of the adolescent girls with normal weight perceived that they were fatty and 9.9% thought they were obese. Seventy-five percent of them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Eighty percent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main motivation of weight control was to have an attractive appearance. In this study, self-reported weight control methods included dieting (64.8%, skipping or reducing meals), exercise (36.6%), and special dieting (20.1%) such as eating an increased amount of juice or vegetables. It was shown that the subjects who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and perceived themselves as fatty or obese were active in exercise, diet, and other special diets. Subjects who were on diets and special diets had a higher level of BMI than who were not on diet and special diet. Subjects who exercise had a lower level of BMI than who did not exercised. Family suppor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xercise behavior. The research suggested that there is a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school nurse to instruct on the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through health education and consultation. Also,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proper diet and exercise methods for adolescents girls to maintain their weight and heal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