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paration Device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6초

발사 후 은닉형 배꼽연결기 분리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dden Type Separation Device for Missile Umbilical Connector)

  • 안수홍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98-606
    • /
    • 2013
  • After the missile is launched, the umbilical connector should be separated from it without any physical interference. The umbilical separation device, for this purpose, was developed by means of new concept. Using the investigation of various methods to separate the umbilical connector, a suitable method was selected and a corresponding device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ensur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device, numerical analysis and performance test were conducted and correction was followed. The umbilical separation device was applied to real system operation test and its operation performance was tested. In consequence, several problems were founded, however, good results were generally obtained.

나사잭 메커니즘을 이용한 비폭발식 분리장치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using screw jack mechanism)

  • 박현준;이민수;조재욱;김병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1-32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나사잭의 메커니즘을 이용한 인공위성의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분리장치의 구동기로는 정격토크가 $1.7kgf{\cdot}cm$의 성능을 가진 회전형 피에조 모터를 사용하여 분리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이 이뤄지도록 하였다. 또한 인공위성의 분리장치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반응속도 실험, 준정적 하중실험, 충격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반응속도는 약 1.172초로 측정되었고, 45kgf의 하중에서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대 충격 가속도는 18G가 측정이 되었는데 이것은 폭발식 분리장치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이다. 우리는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분리장치의 신뢰성을 확인하였으며, 인공위성 분리장치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이크로 채널 내에서의 유전영동을 이용한 입자의 연속적인 분리에 대한 연구 (Study on Continuous-Flow Particle Separation in a Microchannel using Dielectrophoresis)

  • 류정은;강관형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6-63
    • /
    • 2010
  • In this work, a dielectrophoresis-based particle-separation device is developed which is to be used to continuously separate particles in microchannels. We fabricated the particle-separation device with combining the benefits of electrode-based DEP and insulator-based DEP. The DEP forces are generated by an array of electrodes located in both sidewalls of a main channel. According to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electrical signals, particles with different dielectric properties experience different DEP forces, and therefore, continuously move along different streamlines in the main flow channel without need of pre-focusing process. Based on this mechanism, we examined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by controlling the trajectory of polystyrene particles. This device is applicable to the investig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of biological cells as well as the continuous separation of biological cells.

소형 위성용 소형직류모터를 이용한 분리장치 (Release Mechanism for small satellite using micro DC motor)

  • 탁원준;조재욱;이민수;김병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767-77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위성 본체에 장착된 탑제체를 위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비폭발식 분리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작동기로서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유성기어가 통합된 소형 직류모터를 채택하였다. 제안된 분리장치는 별도의 지그나 구조물 없이도 재장전이 용이 하도록 하였으며,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수월한 장점이 있다. 완성된 분리장치는 분리반응속도 측정시험, 최대분리가능하중 측정 시험, 최대발생충격 측정 시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고, 진동시험, 열진공 시험을 통하여 우주 환경에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개발된 인공위성용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통하여 그동안 사용되었던 폭발식 분리장치 등의 해외위성용 분리장치를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중펄스 로켓모타 적용 펄스분리장치의 공압시험평가 (Pneumatic Test Assessment of Pulse Separation Device for Multi-Pulse Rocket Motor)

  • 이동원;이원복;강성엽;이종원;장홍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1-104
    • /
    • 2010
  • 다중펄스 로켓모타에 적용하려는 격벽형 펄스분리장치에 대한 설계를 진행하였다. 펄스분리장치의 부품인 파열판의 Slit 형상과 용접조건 및 Seal Disc 적용여부 등 설계인자를 변경하며 설계하였다. 설계 및 제작된 펄스분리장치에 대한 공압 파열시험을 실시하여 Slit 개수 및 용접강도 증가, Seal Disc 적용에 따라 파열압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PDF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소형 위성용 분리장치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separation device activated by shape memory alloy actuator)

  • 최준우;이동규;황국하;이민형;김병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635-64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를 이용한 소형위성용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소개한다. 앞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분리장치의 부품의 교체를 통하여 제안된 분리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사전하중(preload) 하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충격 실험을 통하여 비폭발식분리장치의 장점인 저충격 발생을 확인하였고, 발사환경 및 우주 환경실험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충격실험, 진동실험 및 열진공실험 후 고사전하중에서 저충격을 발생시키며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한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개발하였다.

유도성 시스템으로부터 무선기기 보호를 위한 이격 거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Separation Distance to Protect Radio Service from Inductive System)

  • 이일규;심용섭;민경일;차재상;이경근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03-108
    • /
    • 2011
  • 본 논문은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가정의 일생생활에서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유도성 시스템과 기존의 무선기기에 대한 간섭에 관한 것이다. 자계강도 간섭 신호를 방사하는 유도성 시스템의 간섭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이 모델을 바탕으로, 측정을 통해 구해진 유도성 시스템의 자계강도는 마그네틱 다이폴 모멘트로 변환되고 무선기기의 허용 가능한 간섭 레벨을 고려하여 유도성 시스템으로부터 무선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유도성 시스템으로부터 무선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이격거리를 산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이격 거리 산출 방법은 유도성 시스템과 무선기기의 양립성 확보에 기여할 것이다.

스프링 클램프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비폭발식 분리장치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Harnessing Spring Clamp and Shape Memory Alloy Wire)

  • 최준우;이동규;황국하;이민형;김병규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12
    • /
    • 2015
  • In this paper, we report a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for a small satellite which utilize a shape memory alloy actuator and spring clamp. In order to increase the preload, the proposed device employs spring clamp that can generate high toque when the shape memory alloy actuator makes the cylinder key unlatch a holding ball effectively. Owing to simple design of separation device configuration, we could obtain good repeatability(up to 30 times activation). Conclusively, we could develop a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which can reliably activate within 1.2 sec under high preload(up to 300kgf).

날숨이 혼합된 물을 사용한 압축기없는 용존기체 분리기의 분리 특성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devices using inlet water mixed with exhalation gases without a compressor)

  • 허필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9호
    • /
    • pp.842-846
    • /
    • 2016
  • 물속의 용존산소를 이용하면 물고기가 아가미를 이용하여 호흡하듯이 사람이 수중에서 호흡이 가능하지만, 물속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양이 적기 때문에 필요한 산소량을 확보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우선 물의 유량을 증가시켜 분리되는 산소량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필요한 펌프와 멤브레인 그리고 주변기기의 용량 증가로 분리장치의 부피와 무게 그리고 소요비용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많은 양의 산소를 포함하는 날숨의 특성을 이용하면 필요한 산소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날숨에 포함된 산소량은 공기보다 낮고, 이산화탄소 량은 공기보다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존기체 분리장치의 입력 단에 날숨을 혼합한 후, 용존기체 분리장치에서 산소를 포함하는 용존기체를 재분리하는 과정을 거치며, 이때, 입력단에 설치된 수중펌프의 동작으로 수압이 증가하므로, 이러한 수압을 갖는 물에 날숨을 혼합하기 위해서는 압축기가 요구되므로 분리장치의 무게와 부피 그리고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단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날숨을 물에 혼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실험을 통해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날숨이 입력단의 물에 혼합되는 것이 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날숨이 입력단에 공급된 후 분리장치를 통해 분리된 기체의 분리특성을 제시하였다. 날숨을 사용함으로써 용존기체의 분리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공급되는 날숨의 유량이 증가하면 분리되는 용존 기체의 양도 증가하였다.

탈곡성능(脱糓性能) 향상(向上)을 위(爲)한 요동(搖動)체 선별방법(選別方法)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Oscillating Sieve Separation Method for Improving Threshing Performance)

  • 김상헌;정창주;유수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33-47
    • /
    • 1982
  • To modernize the conventional rice post production technology and reduce grain losses, a transition toward the wet-paddy threshing system has been strongly demanded. The head-feeding type thresher with pneumatic separation has been used dominantly for threshing dried-paddy, but some adverse effects in separation performance for threshing wet-paddy is encounterr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development of thresher with an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to the conventional pneumatic separation has been recommand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 with oscillating sieve which was attached additionally to the conventional auto-thresher equipped with separation system of blower and suction fan. For different feed rates and rice varieties, wet-and dry-material were tested with threshers attached with and without oscillating siev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the feed rates were 480 and 640 kg/h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wer reqirements between the threshers with and without an additional sieve device for both dry-and wet-threshing. However, when the feed rate was 960 kg/hr, power requirements of thresher without sieve were greater for wet-paddy threshing than the thresher with the additional sieve separator by about 20% points. 2. With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device, the ratios of total weights of whole grains including grains with branch let and damaged grains to the total output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feed rates. However, with pneumatic separation the ratio was decreased as the level of feed rate increased. 3. The total amount of grains with branchlet (including broken panicle) increased with the moisture content. For both the wet-and dry-material threshing with the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the percent of grains with branchlet to the total output decreased greatly as the feed rate increased. 4. The output of the damaged grains increased as moisture content decreased. Especially, for the dry-paddy threshing, the additional sieve separating device produced more damaged grains than the pneumatic separation at all feed rates. 5. Generally, for dry paddy threshing, the separating performance of the thresher with the additional sieve device was better at all feed rates, showing greater difference with increasing feed rates. 6. Separating losses were greater with the pneumatic than sieve separation for both the wet-and dry-threshing. 7. The overall comparison of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s tested with and without an additional sieve device showed that the forme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atter for the dry-material threshing. However, for the wet-paddy threshing, the separation performance with a sieve device was better than the pneumatic only when the feed rate was hig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