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quence stratigraph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낙동강 하구 점성토 지층의 층서와 퇴적환경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Sequence Stratigraphy of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김성욱;이승원;이정완;조기영;김윤태;김진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82-887
    • /
    • 2006
  • Sedimentological, geochemical, geophysical and micropaleontological analyses of 10 borehole core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sequence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sedimentation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Holocene Formation in study area is classified into five sedimentary units. Early Holocene freshwater lower pebbly sandy deposit(Unit I), lower muddy deposit(Unit II), middle thin sandy deposit(Unit III), upper muddy deposit(Unit VI), and upper sandy deposit(Unit V), in ascending order contolled by global sea-level change since interglacial period(about 15,000 yrs B.P.). Unit I deposited in erosional environments before marine trangression. Unit II and Unit VI composed of clay were deposited in cold and worm currents for marine trangression., respectively.

  • PDF

Practical Aspects of Seismic Sequence Stratigraphy (Applications to Hydrocarbon Exploration/Production)

  • Baik, H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9년도 특별 심포지엄
    • /
    • pp.27-34
    • /
    • 2009
  • Since the late 1980s, the sequence stratigraphic method has become a critical tool for hydrocarbon exploration/development projects in many frontier and mature sedimentary basins.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is method with high resolution 3D seismic data and well data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frontier and deepwater areas, where exploration risk and capital commitment are high. Many international major and national oil companies have been using sequence stratigraphic approach as one of the main interpretation tools for the evaluation of their high impact projects. Applied correctly, this integrated interpretation method is a powerful tool that can be used to unravel the complex stratigraphy of a given basin and to dramatically increase overall understanding of various depositional models for both siliciclastic and carbonate systems.

  • PDF

남중국해 남서부 지역에서의 지구조 분석 및 순차층서학적 연구 (Structure and Sequence Stratigraphy in the Southwestern Area of the South China Sea)

  • 이응규;이기화
    • 지구물리
    • /
    • 제2권3호
    • /
    • pp.179-190
    • /
    • 1999
  • 남중국해 남서부 남콘손분지 지역에서 광역적인 2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대상지역의 지구조적 분석을 시도하고,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한 지역에 대해 3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탄성파층서 분석을 통한 퇴적층서, 퇴적환경 및 구조적 진화 과정을 규명하였다. 3차원 탄성파 자료 및 2개 시추정자료를 활용하여 제3기 마이오세층에 대한 8개의 연계층을 해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조도, 층후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각 연계층 및 연계층 경계면에 대한 탄성파상(seismic facies) 분석을 시도하였다. 3차원 탄성파지역의 특성은 연계층내 해침환경하의 퇴적층에서 석탄층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연계층 경계부 위에 하도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이다. 마이오세 초기층은 석탄층 및 두꺼운 셰일층으로 대변되는 습지환경의 육해성 점이지대 퇴적층이 주로 분포하다가, 중기 및 후기 마이오세에 이르면서 본격적인 침강 및 해침 작용으로 천해성 대륙붕 환경하의 쇄설성 퇴적물이 두껍게 쌓인 것으로 해석된다. 연계층에 대한 층후도 및 구조적 발달 상태로부터 퇴적물은 서에서 동으로 혹은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중앙소분지의 층서 (Stratigraphy of the Central Sub-basin of the Gunsan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 김경민;유인창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3호
    • /
    • pp.233-248
    • /
    • 2018
  • 통합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중앙소분지의 퇴적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음향 기반암 상부에서부터 시퀀스 I (Cretaceous or older(?)), 시퀀스 II (Late Cretaceous), 시퀀스 III (late Late Cretaceous or younger(?)), 시퀀스 IV (Early Miocene or older(?)), 시퀀스 V (Middle Miocene) 등 5개의 시퀀스로 분대된다. 후기 쥐라기 말부터 탄루 단층대를 따라 주향이동 단층들이 발달하면서 소규모 열개 분지들이 형성되었고 이후 후기 백악기까지 지속된 분지단층들의 좌수향 이동에 의해 대규모의 인장력을 받게 되어 소규모 열개 분지들은 대규모의 인리형 분지로 확장되었다. 하지만 이후 팔레오세 말부터 시작되는 히말라얀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변형이 되기 시작하고, 후기 에오세-전기 마이오세에 동중국에는 남북 주향의 습곡을 수반하는 강한 지구조운동이 나타나 구조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지구조운동이 완화되면서 심한 습곡으로 인해 생긴 요철부를 부분적으로 채우며 퇴적층이 형성되고, 이후 광역적인 침강과 함께 플라이오세 및 제4기에 걸친 해침의 결과로 수평적인 양상의 퇴적층이 만들어졌으며, 현재와 같은 안정된 대륙 연변부 침강분지로 전이되었다.

HIGH-RESOLUTION SEQUENCE STRATIGRAPHY: LATEST PLEISTOCENE-HOLOCENE EXAMPLE FROM THE KOREA STRAIT SHELF

  • Yoo Dong Geun;Park Soo Chul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7년도 제4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5-35
    • /
    • 1997
  • The latest Pleistocene-Holocene deposits on the Korea Strait shelf form a high-frequency sequence which consists of three systems tracts: the lowstand, transgressive and highstand systems tract. The lowstand systems tract is distributed on the shelf margin and trough region, whereas the highstand systems tract is confined only to the inner shelf. Although the transgressive systems tract between the lowstand systems tract and the highstand systems tract was identified over a wide area of the shelf, it is either very thin (a few meters thick) or absent.

  • PDF

경기만 서부 덕적도 사퇴의 탄성파층서 및 퇴적환경 연구 (Seismic Stratigraph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Dukjuk-Do Sand Ridge in Western Gyeonggi Bay, Korea)

  • 이윤오;최상일;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4권1호
    • /
    • pp.9-21
    • /
    • 2014
  • 서해 경기만의 덕적도 서부에 발달하고 있는 사퇴해역에서 획득된 고해상 탄성파탐사자료, 해저면측사탐사자료, 표층퇴적물 및 주상코어시료에 대한 정밀분석과 연구가 실시되었다. 탄성파탐사 자료에 의하면 사퇴의 층서는 3개의 퇴적단위(sequence I, II, III)로 구분되어진다. 최상부 퇴적단위 I은 $^{14}C$ 연대측정 자료에 의하면 5,000~6,000 yr BP경 본 해역이 해침을 받은 후 강한 왕복성 조류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퇴적단위 II는 주상코어 자료에 의하면 니질이 주로 분포하는 고 조간대 니질퇴적층으로 추정된다. 퇴적단위 III은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으로 분포된 음향기반암 상부에 플라이스토세 말기로 추정되는 육성퇴적층인 자갈 내지는 조립질 퇴적물이 부정합으로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해저면측사탐사 자료에 의하면 사퇴 정상의 해저면은 모래파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는 대체로 조류의 방향과 일치하는 $N20^{\circ}W$ 방향이다. 사퇴 정상부에서 멀어지면 모래물결자국이 발달하고, 경사면에서는 균질한 사질로 분포한다. 표층퇴적물과 주상퇴적물(시료 VC-1, 2, 3)은 특정 내부 구조를 갖지 않는 비교적 균질한 중립토 내지 세립토(Mz, 1-$2{\phi}$)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옥천층군(沃川層群)의 지질시대(地質時代)에 관(關)하여"에 대(對)한 회답(回答) (Reply to the Article "On the Geological Age of the Ogcheon Group" by C.M. Son)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3권3호
    • /
    • pp.187-191
    • /
    • 1970
  • There is a discrepancy in opinion regarding geological age of Okchon system among professor C.M. Son and the writer who represent the two school of thought in precambrian stratigraphy in Korea as a whole. This brief article is a reply to the recent paper by C.M. Son titled "On the geological age of the Ogcheon Group" The discrepancy in opinion on the age Okchon system is based mainly on the difference in opinion about the age of Majeonri, Hwachonri and Kounri formations, the age of which professor Son believes as post-ordovician and regards them as a part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and the base of the Ogchon Group. The writer is in a opinion that Okchon system belong to precambrian in age and Majeonri-, Hwachonri-, and Kounri formations are the same formation composing an upper member of Okchon system. The writer's opinion is based on the facts that i) stratigraphical sequence of Okchon system established by the writer was accepted by C.M. Son who used believed the reverse order in sequence and confessed his mistake in his article; and ii) regional stratigraphy and structure strongly support's to writer's opinion. The writer pointed out and discussed in this paper various facts which do not support Son's idea by any means.

  • PDF

Stable Carbon Isotope Stratigraphy of the Cambrian Machari Formation in the Yeongweol Area, Gangweon Province, Korea

  • Chung, Gong-Soo;Lee, Jeong-Gu;Lee, Kwang-Si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7-452
    • /
    • 2011
  • The Steptoean Positive Carbon Isotope Excursion (SPICE) is found in the Machari Formation which wa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on the middle to outer carbonate ramp environment. The Machari Formation is the Middle to Late Cambrian in age and distributed in the Yeongweol area, Gangweon Province, Korea. The SPICE event in the Machari Formation begins with the first appearance datum of trilobite Glyptagnostus reticulatus and ends with the first appearance of datum of trilobite Irvingella. The SPICE is found in approximately 120 m thick sequence and ${\delta}^{13}C$ values in the SPICE interval range from 0.6 to 4.4‰. The SPICE in the Machari Formation is interpreted to be caused by burial of organic matter in the sea floor and subsequent increase of $^{13}C$ isotope of the Late Cambrian ocean. The SPICE interval in the Machari 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ighstand to transgressive systems 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