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discovery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2초

지능형 협업환경에서 서비스 발견을 위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적용 방법 (Multi-agent-based approach for service discovery in smart meeting spaces)

  • 배창혁;한상우;김종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69-673
    • /
    • 2008
  • 지능형 협업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협업기능 요구사항에 따라 협업환경 내 서비스들을 적절히 발견하는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 기술이다. 일반적인 서비스 발견과 관련하여, UPnP(universal plug & play) 의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서비스 발견 기술이 존재하나, 지능형 협업환경이 요구하는 서비스 발견 특정을 만족시키기에는 일부 제약 사항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협업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 발견 기술의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이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multi-agent system,, MAS)을 적용한 실용적인 서비스 발견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지능형 협업환경의 일부 서비스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본 접근방법의 타당성을 구현 결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 PDF

An Autonomic -Interleaving Registry Overlay Network for Efficient Ubiquities Web Services Discovery Service

  • Ragab, Khaled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4권2호
    • /
    • pp.53-60
    • /
    • 2008
  • The Web Services infrastructure is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for service-sharing. Mechanisms for Web services Discovery proposed so far have assumed a centralized and peer-to-peer (P2P) registry. A discovery service with centralized architecture, such as UDDI, restricts the scalability of this environment, induces performance bottleneck and may result in single points of failure. A discovery service with P2P architecture enables a scalable and an efficient ubiquities web service discovery service that needs to be run in self-organized fash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nomic -interleaving Registry Overlay Network (RgON) that enables web-services' providers/consumers to publish/discover services' advertisements, WSDL documents. The RgON, doubtless empowers consumers to discover web services associated with these advertisements within constant D logical hops over constant K physical hops with reasonable storage and bandwidth utilization as shown through simulation.

An Efficient Cluster Based Service Discovery Model for Mobile Ad hoc Network

  • Buvana, M.;Suganthi, M.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2호
    • /
    • pp.680-699
    • /
    • 2015
  • The use of web service has been increased rapidly,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vailable services, finding the exact service is the challenging task. Service discovery is the most significant job to complete the service discoverers needs. In order to achieve the efficient service discovery, we focus on designing a cluster based service discovery model for service registering and service provisioning among all mobile nodes in a mobile ad hoc network (MANETs). A dynamic backbone of nodes (i.e. cluster heads) that forms a service repository to which MANET nodes can publish their services and/or send their service queries. The designed model is based on storing services with their service description on cluster head nodes that are found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ed cluster head election model. In addition to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system parameters for finding the effectiveness of our model, this paper studies the stability analysis of the network, overhead of the cluster, and bandwidth utilization and network traffic is evaluated using analytic derivations and experimental evaluation has been done.

CLAM 에이전트 기반 Directory Facilitator를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구현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Service Discovery Protocol for Directory Facilitator Based on CALM Agent)

  • 이승현;신동렬;장경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75-282
    • /
    • 2011
  • 현재, UPnP, Jini, SLP와 같은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은 서비스의 표현과 기술, 그리고 메시지 교환 패턴과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능만 제공한다. 이것은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사이에 서비스의 상호운영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서비스간의 상호운영성을 높일 수 있도록 CLAM (Component-based Autonomic Layered Middleware) 에이전트 플랫폼을 구성하고, 플랫폼 내의 DF (Directory Facilitator)의 기능을 확장하여 효율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DF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또한 DF 에이전트에서 확장성과 상호운영성을 보장하기 위해 DHT-Chord 알고리즘을 이용한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MANET에서 서비스 발견 및 전달을 위한 오버레이 네트워크 기반의 T-Chord 링 시스템 (T-Chord Ring System based on Overlay Network for Service Discovery and Delivery in MANET)

  • 한인성;정홍식;박무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호
    • /
    • pp.51-63
    • /
    • 2013
  • MANET의 기반 연구 기술들의 결과를 토대로 현실 속에서 MANET을 활용하기 위한 응용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발견 및 전달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NET에서의 메시지 오버헤드의 최소화와 안정적인 서비스 발견 및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한 T-Chord(Trustworthy-based Chord) 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T-Chord 링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에서 이동 노드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 기법을 이용한 서비스 발견 시스템으로, MANET에서 이동 노드들은 이동성을 갖으며 서비스 요청 노드, 서비스 제공 노드 그리고 서비스 전달 노드로써 동작하기 위해 이동 노드들의 Trustworthy 평가와 분산된 서비스 정보의 수집,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구성을 통한 O(Log N) 성능을 제공하는 Chord 알고리즘 모듈로 내부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서비스 발견 기법들과 서비스 발견 메시지 오버헤드, 서비스 발견 및 전달의 효율성, 네트워크의 확장성 측면에서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MANET에서 효과적인 서비스 발견 및 전달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ASESDP : An Efficient Service Discovery Protocol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 Ma, Qianli;Liao, Minghong;Jiang, Shouxu;Hong, Wan-Pyo;Gao, Zhengu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6권4호
    • /
    • pp.396-404
    • /
    • 2008
  • Service discovery is the technology of finding needed services in networks, and a key point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service discovery protocol: ASESDP(AIP and SRR Enhanced Service Discovery Protocol). In ASESDP, tow schemes are proposed to enhance its performance: AIP(Advertisement Information Piggybacked) and SRR(Shortest Reply Route). In AIP, parts of advertisement information are piggybacked in the service reply packet, which makes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pagating along the reply path, and spreads its transmission area. In SRR, in order to reduce the service response time, the shortest reply route is chosen to forward the service reply packet to the source node sending the service request. With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Glomosim simulation results, it is verified that ASESDP can reduce the number of service request packets, save the response tim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service discovery.

퍼베이시브 홈 환경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시멘틱 서비스 탐색 기법 (An Ontology-based Semantic Service Discovery Scheme for Pervasive Home Network Environments)

  • 조미영;강세훈;이영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2호
    • /
    • pp.123-133
    • /
    • 2005
  • 서비스 탐색기법은 퍼베이시브 환경을 지향하는 홈 네트웍 환경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디바이스나 서비스가 갖는 시멘틱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구문검색에 의한 매칭기법만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멘틱 서비스 탐색을 위한 온톨로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온톨로지는 시멘틱을 포함하여 퍼베이시브 홈 네트워크 환경 내의 디바이스나 서비스를 기술하고, 이들의 관계를 프리미티브 서비스 개념을 통해 효과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퍼티를 표현하여, 퍼베이시브 환경에서 디바이스가 갖는 여러 가지 위치정보나 디바이스 상태 등의 정보가 기술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정의된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검색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Jini 룩업서비스를 확장하여 시멘틱 서비스탐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시스템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상의 서비스 탐색 실험을 통해, 온톨로지에 의한 시멘틱 탐색기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Study of Discovery Services)

  • 곽승진;신재민;김보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20
    • /
    • 2016
  •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이용자가 최대한으로 도서관의 장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검색과 색인, 인터페이스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서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보다 더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검색 결과를 적합성에 따라서 순위화하며, 검색 결과를 패싯으로 세분하여 내비게이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각적으로 풍부한 디스플레이, 검색어 추천, 연관 자원 추천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스커버리 서비스 제품들과 이용현황, 특징 등 디스커버리 서비스 현황을 소개하고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3개의 디스커버리에 대한 사용기관, 콘텐츠 현황, 주요기능, 특장점 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무선 애드 혹 환경에서의 UPnP의 SSDP 기능 향상을 위한 서비스 발견 및 광고 기법 (Adaptively Flexible Service Discovery and Advertisement for SSDP of UPnP in Wireless Ad-hoc Network)

  • 정소라;윤희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5호
    • /
    • pp.237-248
    • /
    • 2010
  • UPnP(Universal Plug And Play)는 홈 네트워크 기술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서로를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미들웨어(middleware)이다. UPnP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기반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 및 광고(Advertisement) 기능을 제공한다. SSDP는 네트워크상에 서비스 검색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전달하고, 탐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검색 요청 기기에게 유니캐스트한다. 일반적으로 기존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은 유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동적으로 상태가 변화하는 노드에 따라 예측 불가능한 무선 애드 혹 환경에서는 최적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따라 무선 애드 혹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 제안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SSDP도 기본적으로 유선 환경을 기반으로 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게 메시지가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플러딩(flooding)에 의한 메시지 오버헤드를 가진다. 본 논문은 해당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무선 애드 혹 환경에 적합한 P2P 기반의 flexible SSDP(fSSDP)를 제안한다. fSSDP는 멀티캐스트 대신에 브로드캐스트 기반으로 동작한다. 광고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서비스 발견 요청의 뎁스와 비교를 통해 업데이트되고, 광고 통지 주기에 따라 광고 전송 영역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발견 요청 메시지의 전송 범위는 동적으로 축소가 된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상에서 fSSDP는 서비스 발견 요청에 따라 발생하는 메시지 플러딩(flooding)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메시지 오버헤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ALM 기반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CALM-based Service Discovery System)

  • 이건하;이승현;최기현;신동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631-632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service discovery mechanism, using CALM agent platform to guarantee scalability of scope of available services without modifying existing service discovery protocols. The proposed service discovery mechanism provides users with a wider selection of services, and convenient search meth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