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wer pipe Maintenanc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유리 섬유와 뒤틀림 방지 밴드를 이용한 하수관거의 강도 및 뒤틀림 개선 방안 연구 (Improvement of strength and prevention of twist strain in sewer pipe using glass fiber and twist prevention band)

  • 홍석인;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3-68
    • /
    • 2017
  • 노후화된 하수관거가 증가함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하수관거의 보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섬유와 뒤틀림 방지 밴드를 이용한 하수관거의 강도 및 뒤틀림을 방지 할 수 있는 하수관거 보수 공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하수관거 부분 보수 공법과 비교하여 인장 강도, 압축 강도 및 파괴하중이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에 고려되지 않던 뒤틀림 방지 효과도 확인하였으며, 경제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 후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한 유리섬유와 뒤틀림 방지 밴드를 이용한 하수관거 보수 공법은 친환경적 및 효과적인 하수관거 보수 공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관거보수 순위결정을 위한 침입수/유입수량에 대한 정량/정성 분석의 실행 연구 (A Quantitative/Qualitative Study of Infiltration/Inflow for Order Decision of Sewer pipe Maintenance)

  • 박명균;김대성;안원식;오정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2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quantities of infiltration, inflow and exfiltration on sewer pipes of three areas at a small city. From the results, the most investigated sewer pipes should be infiltrated by underground water and undetermined water. Flowrate commonly showed two peak at 6 to 8 a.m. and 6 to 9 p.m. and which may be influenced by the sewer flowrate with washing or bathing time. BOD/TN ratio of below 4.0 were inferior as compared with proper criteria 5.1. Infiltration/inflow rates of three areas were 21.7% and $0.08m^3/km$ of A, 12.4% and $0.015m^3/km$ of B, 22.4% and $0.021m^3/km$ of C,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infiltration/inflow rate of A was obviously greater than that of B and C. Also, these results show that we can conduct sewer maintenance in good order as A, C and B zone.

도시유역 내배수시설 유지관리시스템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Urban Drainage System)

  • 이정호;주진걸;김응석;박무종;김중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119-128
    • /
    • 2008
  • 최근 국내에서는 도시지역 내배수시스템에 대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비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설물에 대한 자료의 구축이 부족하며 정비사업을 시행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정비사업 시행 및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배수시설에 대한 자료의 효율적 저장과 합리적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도시유역 내배수시설 유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수리 수문 해석 모듈을 이용하여 통수능 검토에 따른 우수배제 목적의 합리적 근거를 마련하고 우수토실에서의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발생량을 추정하며, 현재 표본지역의 중요지점에서만 관측되는 불명수에 대하여 관거별로 불명수를 배분하여 관거별 노후도를 평가하는 I/I분석 및 노후도 평가 모듈, 개량사업의 최적 우선순위의 결정 및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위하여 수리 수문 해석 모듈과 노후도 평가모듈이 연계된 최적 개 보수 우선순위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최적개량 의사결정이 가능한 종합적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은 사용자 화면 구성 형태로 개발되었다.

정화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Efficient Operation of Septic Tank)

  • 이장훈;이경수;고수훈;송민희;이수현;이용훈;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3-129
    • /
    • 2012
  • A septic tank is a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where night soil and other waste matter is converted into harmless material by the activities of bacteria. Effluent from the septic tank flows into the sewer pipe, and then this effluent affects the quality of water environment and makes foul smell. In this study, through the proper maintenance of septic tank it was tried to minimize the impact of sewer pipe on water quality and fouling smell. BOD removal rate from the septic tank's effluent which exceeded legal cleaning period was investigated for the proper maintenance. BOD Removal rate of the twelve septic tank's effluent is -62.5% to 43.9%. According to the result of BOD removal rate, septic tank cleaning should be done at least once a year. And the pathogenic coliform bacillus in the twelve septic tank's effluent is average 768,000 (MPN/$100m{\ell}$). The chlorine disinfection is needed to remove the pathogenic coliform bacillus in septic tank effluent.

Data complement algorithm of a complex sewerage pipe system for urban inundation modeling

  • Lee, Seungsoo;An, Hyunuk;Kim, Yeonsu;Hur, Young-Teck;Lee, Daeeop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509-517
    • /
    • 2020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sewer network data are a fundamental input material for urban inundation modeling, which is important to reduce the increasing damages from urban inundation due to climate change. However, the essential attributes of the data built by a local government are often missing because the purpose of building the data is the maintenance of the sewer system. Inconsistent simpl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sewer network data made by individual researchers may increase the uncertainty of flood simulations and influence the inundation analysis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sic algorithm to convert the GIS-based sewage network data into input data that can be used for inundation simulations in consistent way. In this study, the format of GIS-based sewer network data for a watershed near the Sadang Station in Seoul and the Oncheon River Basin in Busan was investigated, and a missing data supplementing algorithm was developed. The missing data such as diameter, location, elevation of pipes and manholes were assumed following a consistent rule, which was developed referring to government documents, previous studies, and average data. The developed algorithm will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uncertainty of sewer network data in an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excluding the subjective judgment of individual researchers.

기능계통도를 활용한 분류식 하수관거의 자산관리 서비스수준의 성능측정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 (LoS) in Asset Management for Separated Sewer Pipe by 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

  • 허승호;김석;조남호;김경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D호
    • /
    • pp.147-157
    • /
    • 2012
  • 최근까지 분류식 하수관거에 대한 서비스수준 평가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들은 기능에 대한 고려가 없이 단순하게 사용자의 관점 및 재무/사회/환경적 관점에서 상위 개념의 서비스 수준을 도출하여 실제 유지관리 업무와의 연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 중심적인 서비스수준 평가항목의 도출을 위하여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에서 적용되는 기능분석 기법인 기능계통도(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를 활용하여 분류식 하수관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부위별 평가항목은 하수관거의 기능을 모두 포괄하며, 기능을 중점적으로 유지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이력관리에 용이하며, 구간별 개 보수 판단기준으로써 적용이 가능하여 자산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손상 하수관으로 인한 지반함몰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Random Forest Model for Sewer-induced Sinkhole Susceptibility)

  • 김준영;강재모;백성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12호
    • /
    • pp.117-125
    • /
    • 2021
  •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지반재해 중 하나인 지반함몰이 최근 도심지에서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 다양한 지반함몰 발생 메커니즘 중, 하수관 손상부를 통한 토사 유실이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지반함몰의 주요원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하수관 정보와 지반함몰이 발생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인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수관 정보로부터 손상 하수관으로 유발되는 지반함몰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학습하였다. 모델 성능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델이 지반함몰을 상당히 훌륭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력변수로 사용한 하수관 정보 중 하수관 길이, 해발고도, 경사, 매립 심도, 하수관 순서로 지반함몰 발생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반함몰 위험도 지도 작성, 지하공동 탐사 계획 수립 및 하수관 정비 사업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불완전 분류식 하수처리구역의 강우에 의한 하수도시설의 침입수/유입수 영향 분석 (Effect of infiltration/inflow by rainfall for sewerage facilities in the area with partially separate sewer system)

  • 신정섭;한상원;육준수;이춘구;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7-19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werage facilities through I/I analysis by rainfall by selecting areas where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is remained due to the non-maintenance drainage equipment when the sewerage system was reconstructed as a separate sewer system. Research has shown that wet weather flow(WWF) increased from 106.2% to 154.8% compared to dry weather flow(DWF) in intercepting sewers, and that the WWF increased from 122.4% to 257.6% in comparison to DWF in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As a result, owing to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of partially separate sewer system with untreated tributary of sewage treatment plant, rainfall-derived infiltration/inflow(RDII) has been analyzed 2.7 times higher than the areas without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Meanwhile, infiltration quantity of this study are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tudy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infiltration quantity through sewer pipe maintenance nearby river. Drainage equipment maintenance should be performed not to operate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in order to handle the appropriate sewage treatment plant capacity for rainfall because it is also expected that RDII due to rain will occur after maintenanc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RDII(allowance of rainfall-derived infiltration/inflow) and to be reflected it on sewage treatment plant capacity because aRDII can occur even after maintenance to the complete separate sewer system.

PVC 하수맨홀의 구조적 거동 및 예측 (Prediction of structural behavior of PVC sewer manhole)

  • 김선희;조진규;주형중;김영수;윤순종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1-500
    • /
    • 2014
  •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ater supply and sewer line systems are also developed relevantly. Manhole is an essential component structure of the pipeline system. Manhole is a structure constructed to accommodate the direction, dimension, differences in level, and easy of maintenance in the pipeline system.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pertaining to the structural behavior of PVC sewer manhole buried underground. In the paper mechanical properties of PVC material are reported. In addition,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EA), we confirmed that a PVC double-wall corrugated pipe manhole, when it is buried underground, is safe for the stress as well as buckling strength if the manhole is constructed within the suggested limit of buried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