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rp shape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2초

Sharp Shape를 유지하는 trimmed NURBS 곡면의 삼각화 방법 (Trimmed NURBS surface tessellation with sharp shape constraint)

  • 조두연;김인일;이규열;김태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62-6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곡면 삼각화 방법들이 많은 수의 삼각형 메쉬를 사용하면서도 정확하게 표현하기가 힘들었던,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곡면을 처리할 수 있는 trammed NURBS곡면 삼각화 방법을 제안, 구현하였다. 기존의 매개변수영역에서의 삼각화의 문제점인 3차원공간상의 삼각형 메쉬를 계산할 때의 왜곡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곡면의 펼친영역을 근사적으로 계산하여 삼각화 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곡선, 곡면의 날카로운 점과 모서리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서 1차미분 연속조건을 이용하였고, 이를 제약조건으로 constraint Delaunay 삼각화방법을 사용하여 곡면의 날카로운 형상(sharp shape)을 유지하면서 삼각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제안된 삼각화 방법은 기존의 삼각화 방법에 비하여 적은수의 삼각형 메쉬로 곡면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삼각형의 개수에 따라 가시화 성능이 큰 영향을 받는 컴퓨터게임 같은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 PDF

생물학적 모방에 따른 물고기 로봇의 빠른 방향 전환 연구 (A study on the C-shape Sharp Turn of fish robot according to biological mimic)

  • 박진현;이태환;최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626-2631
    • /
    • 2011
  • CST(C-shape sharp turn)는 물고기가 유영 시 빠른 방향 전환을 위해 물고기 꼬리 부분을 빠르게 C-형태로 구부려 빠르게 방향 전환을 하는 모션을 나타낸다. 그러나 CST와 관련된 모션 궤적 함수는 아직 일반화된 함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자들이 실제 물고기의 관측으로부터 나온 순차적인 물고기의 모션 기록을 통하여 CST룰 위한 매우 단순한 모션 함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함수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Study on Scribing Sapphire Wafer for LED

  • Moon, Yang-Ho;Kim, Nam-Seu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341-344
    • /
    • 2006
  • LED chips are produced by cutting the sapphire on which GaN is evaporated. To cut the sapphire wafer into each LED chip, at first the wafer is scribed by diamond tool. To get the sharp groove shape for the nice cutting plane it is important the diamond tool shape, load, etc when the wafer is scribed. Here we tried to simulate the scribing process and get the scribing condition to reduce the wear rate of diamond tool for the sharp groove shape.

  • PDF

셸 형상의 3차원 폐곡면상에서 추출된 점데이터군으로부터 중립곡면 계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dial Surface Extraction from Point Samples on 3D Closed Surfaces in Shell Shapes)

  • 우혁제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33-42
    • /
    • 2010
  • In this study, new medial surface calculation methods using Voronoi diagrams are investigated for the point samples extracted on closed surface models. The medial surface is defined by the closure of all points having more than one closest point on the shape boundary. It is a one of essential geometric information in 3D and can be used in many areas such as 3D shape analysis, dimension reduction, freeform shape deformation, image processing, computer vision, FEM analysis, etc. In industrial parts, the idealized solid parts and shell shapes including sharp edges and vertices are frequently used. Other medial surface extraction methods using Voronoi diagram have inherent separation and branch problems, so that they are not appropriate to the sharp edged objects and have difficulties to be applied to industrial parts. In addition, the branched surfaces on sharp edges in shell shapes should be eliminated to obtain representative medial shapes. In order to avoid separation and branch problems, the new approach by analyzing the shapes and specially sampling on surfaces has been developed.

터빈 블레이드 회전수 변화와 터빈 블레이드 엣지 형상 변화에 따른 표면 가스온도 분포 해석 (Numerical Study of Turbine Blade Surface Gas Temperature with Various RPM and Blade Edge Shape)

  • 이인철;변용우;구자예;이상도;김귀순;문인상;이수용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9-52
    • /
    • 2008
  • 터빈 블레이드의 엣지 형상 변화에 따른 표면 가스온도 발달과정에 대해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Sharp형과 Round형의 터빈 블레이드를 모델링하였으며, 터빈의 회전수는 두 가지 형상 모두 0${\sim}$10,000 rpm의 회전 속도를 주어 전산해석을 실시하였다. 터빈의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터빈 블레이드 표면의 평균 온도는 하강하였고, Sharp형 엣지 형상이 Round형 엣지 형상에 비해서 터빈 블레이드의 표면 온도 분포가 전반적으로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신경회로망을 사용한 물고기 로봇의 빠른 방향 전환 궤적 설계 (Design of C-shape Sharp Turn Trajectory using Neural Networks for Fish Robot)

  • 박희문;박진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10-5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체 속에서의 로봇의 방향전환 메커니즘의 성능을 개선하고 최적화하기 위하여 물 속 자연환경에 최적화되어 있는 물고기의 CST(CST:C-shape sharp turn) 패턴을 모방하여 물고기 로봇의 꼬리 관절 궤적을 신경회로망(neural network)을 사용하여 제안하였다. 물고기의 CST 패턴을 모방하기 위해 CST 패턴을 순차적으로 기록한 정보를 수치적으로 변환하여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고 함수화하였다. 함수화된 모션 함수를 물고기 로봇의 상대 관절각으로 변환하였으나, 구해진 상대 관절 궤적은 잉어의 순차적 기록에 의해 구해진 각도이므로 분해능이 떨어져 실제 물고기 로봇의 제어에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상대 관절 궤적을 일반화 기능이 뛰어난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보간하고 물고기 로봇에 적용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상대 관절 궤적 함수가 고차의 다항식 궤적 함수에 비하여 물고기 로봇의 CST 모션에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bow hull forms on the resistance performance in calm water and waves for 66k DWT bulk carrier

  • Lee, Cheol-Min;Yu, Jin-Won;Choi, Jung-Eun;Lee, In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1권2호
    • /
    • pp.723-735
    • /
    • 2019
  • This paper employs computational tool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resistance reductions in calm water and waves of the sharp bow form compared to the blunt bow in 66,000 DWT bulk carriers. A more slender shape at the fore-shoulder without a bulbous bow is a prominent feature of the sharp bow. The blunt bow incorporates a bulbous shape. A two-phase unsteady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have been solved; and a realizable k-ε model has been applied for the turbulent closure. The free-surface is obtained by solving a VOF equation. The computational results have been validated with model tests carried out at a towing tank. The pressure component of resistance in the sharp bow is reduced by 8.9% in calm water, and 6.4-12.7% in regular head waves. The frictional components of resistance in the sharp and blunt bows are largely the same.

Quadrilateral mesh fitting that preserves sharp features based on multi-normals for Laplacian energy

  • Imai, Yusuke;Hiraoka, Hiroyuki;Kawaharada, Hiroshi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1권2호
    • /
    • pp.88-95
    • /
    • 2014
  • Because the cost of performance testing using actual products is expensive, manufacturers use lower-cost computer-aided design simulations for this fun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using hexahedral meshes, which are more accurate than tetrahedral meshes, for finite element analysis. We propose automatic hexahedral mesh generation with sharp features to precisely represent the corresponding features of a target shape. Our hexahedral mesh is generated using a voxel-based algorithm. In our previous works, we fit the surface of the voxels to the target surface using Laplacian energy minimization. We used normal vectors in the fitting to preserve sharp features. However, this method could not represent concave sharp features precisely. In this proposal, we improve our previous Laplacian energy minimization by adding a term that depends on multi-normal vectors instead of using normal vectors. Furthermore, we accentuate a convex/concave surface subset to represent concave sharp features.

Sharp Fin에 의한 초음속 유동장내 열전달 변화 연구 (A Study of Heat Transfer in Supersonic Flow Field on a Sharp Fin Shape)

  • 송지운;유만선;조형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71-374
    • /
    • 2006
  • 초음속 유동장 내에서 돌출된 sharp fin형상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파로 인한 열전달 특성변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IR camera를 이용하여 마하 3의 유동 내에 attack angle이 $10^{\circ}$ 부터 $20^{\circ}$ 의 fin을 돌출시켜 생기는 충격파에 의한 바닥면 열전달 계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유동장의 변화를 알아보기 보기 위해 oil flow method를 사용하였다.

  • PDF

빔 패턴 성능 분석을 이용한 곡면 배열 형상 설계 (Shape design of conformal array using the beam pattern synthesis)

  • 이근화;신동훈;임준석;홍우영;하용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47-3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곡면배열이 설치된 이중 곡률을 갖는 곡면의 형상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곡면은 4개의 미지수로 결정되는 이중 타원구로 모델링 하였다. 곡면 배열의 빔 패턴 분석을 통해서 4개의 미지수 중에 2개의 설계 파라미터를 결정했다. 빔 설계 인자의 sharp 지수의 합으로 표현되는 가중치 목적 함수를 정의했다. 각각의 sharp 지수는 여러 빔 설계 인자 중에 지향 지수, 고각 해상도, 방위각 해상도로 정의했다. 가중치가 주어졌을 때, 모든 격자에 대한 직접 계산을 통해 가중치 목적 함수를 평가하고 2개의 설계 파라미터의 최적값을 찾았다. 시뮬레이션에는 총 4종류의 가중치를 사용했다. 각각의 가중치에 대한 최적 곡면 형상 및 빔 패턴 분석 결과를 보였다. 특별히 균등 가중치를 사용했을 때, 다른 가중치를 사용했을 때보다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 이중 타원체의 형상이 얻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