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lter Bel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포항시 마을 숲 조성실태 연구 (A Study on Condition of Village Groves in Pohang City)

  • 이경락;최상범;허상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7호
    • /
    • pp.615-62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illage groves in Pohang city by classifying them into 5 categories: sage plantation, shelter-belt plantation, shore plantation, ornamental plantation and bower pla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village groves in Pohang city consist of 16 sage plantations ($128,682m^2$), 14 shelter-belt plantations ($807,755 m^2$), 17 shore plantations ($447,616m^2$), 10 ornamental plantations ($141,276m^2$) and 6 bower plantations ($79,075 m^2$). Namely, the ratio of shore plantations is highest (n=17) in terms of number, while that of shelter-belt plantations is highest (50.3%) in terms of area. On the other hand, Pinus Thunbergii account for the absolute majority (n=55,239, 74.1 %) of the trees, followed by pine trees (n=18,017, 24.2%). Both species are combined to account for 98.3% of the entire trees, which means that the plantations are simple in terms of tree species When the village groves were compared in terms of functional age, sage plantations are oldest or aged 143 years, followed by bower plantations (aged 137), ornamental plantations (aged 118), shore plantations (aged 92) and shelter-belt plantations (aged 88).

방풍망 효과에 대한 풍동 시뮬레이션 (Wind-Tunnel Simulation on the Wind Fence Effect)

  • 강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0-26
    • /
    • 1998
  • In establishing artificial fences in a certain locality, type of its area or wind blown against them from the front side is primarily considered. Researchers on fences also concentrate on upstream, wand blown against them from the front side In 90$^{\circ}$ angle. In this research,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on the direction of wind changed by each season, and regardless of seasonal wind, on the fences effect of wind direction on fences, throu호 an atmospheric boondary layer wind tunnel. When I compared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upstream against the fences in 90$^{\circ}$ angle with that of 75$^{\circ}$, 60$^{\circ}$, and 45$^{\circ}$ respectively, the velocity distribution at downstream of the latter cases generally surpassed that of the former one.

  • PDF

Free Range Hens Use the Range More When the Outdoor Environment Is Enriched

  • Nagle, T.A.D.;Glatz,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584-591
    • /
    • 2012
  • To evaluate the role of using forage, shade and shelterbelts in attracting birds into the range, three trials were undertaken with free range layers both on a research facility and on commercial farms. Each of the trials on the free range research facility in South Australia used a total of 120 laying hens (Hyline Brown). Birds were housed in an eco-shelter which had 6 internal pens of equal size with a free range area adjoining the shelter. The on-farm trials were undertaken on commercial free range layer farms in the Darling Downs in Southeast Queensland with bird numbers on farms ranging from 2,000-6,800 hens. The first research trial examined the role of shaded areas in the range; the second trial examined the role of forage and the third trial examined the influence of shelterbelts in the range. These treatments were compared to a free range area with no enrichment. Aggressive feather pecking was only observed on a few occasions in all of the trials due to the low bird numbers housed. Enriching the free range environment attracted more birds into the range. Shaded areas were used by 18% of the hens with a tendency (p = 0.07) for more hens to be in the paddock. When forage was provided in paddocks more control birds (55%) were observed in the range in morning than in the afternoon (30%) while for the forage treatments 45% of the birds were in the range both during the morning and afternoon. When shelterbelts were provided there was a significantly (p<0.05) higher % of birds in the range (43% vs. 24%) and greater numbers of birds were observed in areas further away from the poultry house. The results from the on-farm trials mirrored the research trials. Overall 3 times more hens used the shaded areas than the non shaded areas, with slightly more using the shade in the morning than in the afternoon. As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increased the number of birds using the outdoor shade also increased. Overall 17 times more hens used the shelterbelt areas than the control areas, with slightly more using the shelterbelts in the afternoon than in the morning. Approximately 17 times more birds used the forage areas compared to the control area in the corresponding range. There were 8 times more birds using a hay bale enriched area compared to the area with no hay bales. The use of forage sources (including hay bales) were the most successful method on-farm to attract birds into the range followed by shelterbelts and artificial shade. Free range egg farmers are encouraged to provide pasture, shaded areas and shelterbelts to attract birds into the free range.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연구 I. 종조성과 계절변화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the Seagrass Belt around Cheju Island I.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fish community)

  • 고유봉;조성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8-60
    • /
    • 1997
  • 제주도 북방 함덕연안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계절변화 그리고 잘피의 계절변화에 따른 서식지로서의 특정을 주간과 야간채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어류의 채집은 소형 beam trawl을 이용하여 1993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35과 58종으로 주년에 걸친 우점종은 실비늘치, 흰줄망둑, 그물코쥐치, 실고기 그리고 쏠종개였으며, 이들 5종이 전체개체수의 86.1%, 생물량의 62%를 차지하였다. 주간과 야간의 출현비율은 총 36,378개체중 주간이 17%였고 야간이 83%을 차지하였다. 생물량에 있어서도 전체 90,874g중 주간이 22%, 야간이 78%였다. 단위체적당 개체수와 생물량은 주간이 개체수에서 평균 26.2미/$100m^3$$83.5g/100^3$ 이였으며, 야간에는 평균 147.8미/$100m^3$$347.9g/100^3$ 였다. 어류군집의 계절변화에서는 10월~12월 이개체수나 생물량에서 가장 풍부하였으며, 개체수에서는 1월~4월이, 생물량은 5월~6월에 가장 낮았다. 출현어류의 90%이상이 14cm이하의 소형개체였다. 전장 4cm이하의 자어나 치어는 연중출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주요어종의 새로운 가입군은 잘피의 성장기인 1~6월, 쇠퇴기인 7~12월의 개체군으로 나눌수 있었다. 전자는 실비늘치, 흰줄망둑, 민베도라치, 노래미 및 가시망둑이 후자에는 그물코 쥐치, 실고기, 쏠종개 및 두줄베도라치가 포함되었다.

  • PDF

일본(日本)의 해안사방(海岸砂防)에 관한 연구(I) - 산형현(山形縣)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ast Sand Dune Fixation and Stabilization in Japan(I) - On Shounai Coastal Forest in Yamagata Prefecture -)

  • 전근우;이재선;차두송;박완근;나카시마 유키;에자키 츠지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31-44
    • /
    • 2001
  • 우리나라 해안림(海岸林)의 다면적(多面的) 기능(機能)과 시대적(時代的) 가치관(價値觀)의 변화를 파악하고, 해안사방(海岸砂防)의 참고자료를 얻기 위해 일본의 해안림과 해안사방에 대한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日本) 산형현(山形縣)의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을 중심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주요내용은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의 환경특성(環境特性), 연혁과 현황, 문제점, 장내지역(庄內地域)의 방풍림대(防風林帶)와 해안사방시설(海岸砂防施設) 등이다.

  • PDF

MAPPING OF EUCALYPTUS PLANTATIONS THROUGH TEMPORAL SATELLITE DATA IN CHINA

  • Heo, Joon;Jayakumar, S.;Lee, Jung-Bi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71-474
    • /
    • 2007
  • Eucalyptus plantations play a major role in the China's ecological, social, economic and other aspects and presently China is the second largest producer of Eucalyptus in the world next to Brazil. It was introduced as an ornamental tree during 1890 but later it became a commercial crop. During 1960s large number of Eucalyptus timber were used for railway sleepers and it was also used as shelter belt for rubber trees. It becomes one of the important national resources of commercial timber once the production reached to 5 million $m^{3}/yr$. Through Eucalyptus oil, it brought about 20% of foreign exchange.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imed to estimate the Eucalyptus growing area in the southern Guangdong in China in terms of aerial extent and changes between 1991 and 2001 using Landsat TM and ETM+ data. Object 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 and subsequent temporal change detection analysis were followed to identify the changes between the periods. In the present study, the total area was divided into three classes viz., plantation area with trees, plantation area without trees and others. Object oriented classification was found to be more accurate in the present study. Overall increase of about 23.62 $km^{2}$ was noted between 1991 and 2001 in the plantation area.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study area, the growth of Eucalyptus growing area was 7.4% in the 10 year periods. From this study it is clear that the area under Eucalyptus cultivation is growing considerably year by year in China. However, elaborate study must be conducted considering larger areas to accurately predict the growth of Eucalyptus growing areas.

  • PDF

북한강상류수계(北漢江上流水系)의 호수단지주변삼림(湖水団地周辺森林)의 풍경적시업(風景的施業)에 관(関)한 연구(硏究) (A Study on Forestation for Landscaping around the Lakes in the Upper Watersheds of North Han River)

  • 호을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24
    • /
    • 1981
  • 강원도(江原道)는 관광자원(觀光資源)이 풍부(豊富)하며 태백산맥(太白山脈)을 중심(中心)으로한 산악관광권(山岳觀光圈), 동해안(東海岸)의 해안관광권(海岸觀光圈), 내륙(內陸)의 호수관광권(湖水觀光圈)으로 구분(區分)하고 있다. 동해(東海)의 절경(絶景)을 배경(背景)으로 설악산(雪岳山)과 오태산(五台山)의 국립공원(國立公園)이 있다. 그리고 치악산(雉岳山)의 도립공원(道立公園)이 있다. 북한강상류수계(北漢江上流水系)에는 발전용(發電用)댐건설(建設)로 만수(滿水)된 인공호수(人工湖水)가 연좌(連坐)하고 있어 호수관광권(湖水觀光圈)으로 각광(脚光)을 받고 있다. 본(本) 논문(論文)에서도 강원도행정수도(江原道行政首都)이며 호반(湖畔)의 도시(都市)인 춘천(春川)을 중심(中心)으로 북한강상류수계(北漢江上流水系)에 연좌(連坐)하고 있는 호수단지주변(湖水團地周邊)의 관광자원(觀光資源)을 배경(背景)으로 하여 삼림(森林)의 풍경적시업방안(風景的施業方案)을 모색하고 있다. 본(本) 호수단지(湖水團地)는 하류(下流)로부터 상류(上流)로 향(向)하여 의암호(衣岩湖), 소양호(昭陽湖), 춘천호(春川湖), 파려호(破慮湖)가 자리잡고 있으며 이들 4개(個) 호수(湖水)의 면적(面積)은 $140.4km^2$ 총저수량(總貯水量)은 4,155백만(百萬)$m^3$이다. 그리고 발전량(發電量)은 41만(萬)KW의 시설(施設)을 갖추고 있다. 이들 호수(湖水)를 위적(囲績)하고 있는 삼림면적(森林面積)은 $1,208km^2$에 달(達)한다. 삼림(森林)은 행정적(行政的)으로 시업림(施業林)$745km^2$와 시업제한림(施業制限林) $463km^2$로 구분(區分)하고 있으며 시업제한림(施業制限林)은 개발제한구역(開發制限區域)과 자연환경보전지구내(自然環境保全地區內)에 있는 삼림(森林)과 보안림(保安林)으로 되어 있다. 개발제한구역내(開發制限區域內)에 있는 삼림(森林)은 춘천(春川)을 중심(中心)으로 반경(半徑) 10km이내(以內)에 있는 의암호주변삼림(衣岩湖周邊森林)이며 그 면적(面積)은 $177km^2$이다. 자연환경보전지구내(自然環境保全地區內)의 삼림(森林)은 소양호연안(昭陽湖沿岸)에서 2km의 가시권내(可視圈內)에 설정(設定)되어 있으며 그 면적(面積)은 $165km^2$이다. 보안림(保安林)은 각(各) 호수연안삼림(湖水沿岸森林)에 설정(設定)되어 있으며 입지적여건상(立地的與件上) 수원함양림(水源函養林)이 주종(主宗)이며 그 면적(面積)은 $121km^2$이다. 본(本) 호수단지권내(湖水團地圈內)에는 많은 각승지(各勝地)와 유원지(遊園地) 그리고 문화재(文化財)와 유적지(遺蹟地)가 있어 호수(湖水)와 삼림(森林)과 같이 귀중(貴重)한 관광자원(觀光資源)으로 부상(浮上)되고 있다. 본(本) 호수단지주변삼림(湖水團地周邊森林)은 I~II영급(令級)의 유령림(幼令林)이 전체삼림(全體森林)의 70%를 점(點)하고 있어 ha당(當)축적(蓄積)은 $15m^3$로 탐약(貪弱)하다. 침엽수림(針葉樹林), 활엽수림(濶葉樹林), 혼효림(混淆林)의 면적비율(面積比率)은 35:37:28로 활엽수림(濶葉樹林)의 면적(面積)이 약천(若千) 우위(優位)를 점(點)하고 있다. 소유형태(所有形態)는 국유림(國有林), 도유림(道有林), 군유림(郡有林), 사유림(私有林)으로 되어 있으며 그 비율(比率)은 36:14:5:45로 사유림(私有林)이 약절반(約切半)을 점(點)하고 다음이 국유림(國有林), 도유림(道有林), 군유림(郡有林)의 순(順)으로 되어 있다. 지질(地質)은 모암(母岩)이 화강암(花岡岩) 또는 편마암계(片麻岩系)로서 풍화성(風化性)이 강(强)하고 표토층(表土層)이 척박(瘠薄)함으로 임지비배문제(林地肥培問題)를 염두(念頭)에 두어야 한다. 이상(以上)의 여건(與件)을 토태(土台)로 삼림(森林)의 풍경적시업(風景的施業)의 기본방향(基本方向)을 제시(提示)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現在) 임분(林分)은 유령림(幼令林)이 대부분(大部分)이고 임지(林地)가 척박(瘠薄)함으로 임지비배(林地肥培)와 임목무육(林木撫育)에 주력(注力)하여 장령림(壯令林)의 경지(境地)로 유도(誘導)할 것. 2) 황폐성미립목지(荒廢性未立木地)와 임간라지(林間裸地)에는 속성수(速成樹)인 리기다소나무, 오리나무 등(等)은 식재(植栽)하여 조속(早速)히 피복녹화(被覆綠化) 시킬 것. 3)계곡부(溪谷部)로서 습윤(濕潤)하고 지미(地味)가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한 라지(裸地)에는 잣나무, 낙엽송, 전나무 등(等)을 식재(植栽)하여 교림(喬林)으로 육성(育成)할 것. 4) 현재(現在) 사유림(私有林)의 침엽수림(針葉樹林)은 적송(赤松)이 주체(主體)가 되어 있다. 적송(赤松)은 양수(陽樹)로서 수원함양기능(水源函養機能)이 적은 위에 현재(現在) 솔잎혹파리의 피해(被害)를 입고 있어 수종갱신(樹種更新)이 불가피(不可避)하다. 그러므로 계곡부(溪谷部)부터 잣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솔송나무 등(等)을 식재(植栽)하에 점차(漸次) 음성(陰性) 침엽수림(針葉樹林)으로 대체(代替)케 할 것. 5) 현재(現在) 활엽수림(濶葉樹林)은 재질면(材質面)에 있어서나 풍치면(風致面)에 있어서 가치성(價値性)이 저렬(低劣)한 잡목(雜木), 관목(灌木) 등(等)이 많으므로 점차(漸次) 이를 제거(除去)하고 참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가래나무등(等)으로 대체(代替)케 할 것. 6) 주변(周邊) 산록부(山麓部)에는 벚나무, 수양버들, 은사시나무, 후박나무, 은행나무, 향나무, 밤나무, 살구나무, 등(等)의 관상수(觀賞樹)를 조화(調和)있게 식재(殖財)할 것. 7) 활엽수림(濶葉樹林)의 갱신(更新)을 중림형(中林型)으로 유도(誘導)하여 상하이단(上下二段)의 임관형(林冠型)의 미(美)를 조성(造成)하는 구역(區域)과 왜림형(矮林型)을 조리(調利)있게 배열(配列)하는 방안(方案)을 모색할 것. 8) 침엽수림(針葉樹林)의 갱신(更新)은 택벌작업(擇伐作業) 또는 산벌작업(傘伐作業)에 의(依)해 풍치보전(風致保全)을 기(期)할 것. 9) 혼효림(混淆林)은 상목(上木)은 침엽수(針葉樹)를 하목(下木)은 활엽수(濶葉樹)로 하는 중림형(中林型)의 풍치(風致)를 보존(保存)토록 할 것. 요(要)컨대 호수(湖水)의 우아(優雅)한 여성미(女性美)와 삼림(森林)의 호장웅대(豪壯雄大)한 남성미(男性美)가 조화(調和)되어 자연(自然)의 심오(深奧)한 신비성(神秘性)을 간직하는데 역점(力點)을 두어 궁극적(窮極的)으로는 삼림(森林)을 배경(背景)으로한 호수관광권(湖水觀光圈)의 면모(面貌)를 갖추는데 초점(焦點)을 둘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