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p Carrying Capacit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선박접안시험을 통한 자켓식 돌핀부두의 내하력 평가 방법 연구 (Assessment of Safety and Load Carrying Capacity of Aged Jacket-Typed Dolphin by Ship-Impact Test)

  • 조병완;권오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3호통권29호
    • /
    • pp.9-18
    • /
    • 1998
  • An improved evaluation method of load-carrying capacity for the large-scaled offshore structures, which subjected to the axial force and bending moments simultaneously at the piles, was suggested with reliability analysis and advanced working stress method. Reliability analysis requires the fracture probability and safety factor(${beta}$) for each of forces and the load-carrying capacity due to combined action of axial force and bending moments from $P_n - {beta}$ Curve. The combined equation due to those forces, which suggested by the Korean Specification for the marine structure, was derived for the advanced working stress method and applied to evaluate the load-carrying capacity of jacket-type dolphin piers.

  • PDF

횡하중(橫荷重)을 받는 선각판(船殼板)의 비선형(非線形) 해석(解析) (Nonlinear Analysis of Ship Plating under Lateral Loads.)

  • 임상전;양영순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1980
  • The nonlinear analysis of ship plating with flat bar stiffners has been carried out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the load incremental approach. The large deflection analysis has been done by using the Lagrangian description. The elastoplastic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y adopting the flow theory of plasticity and the von Mises yield condition. The layered elements are used to show the process of yielding through the plate thickness in the elasto-plastic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According to the large deflection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small deflection theory to the plate is applicable in the range of the lateral deflection-the thickness ratio $w/h{\leqq}0.3$ and ship plating in the range of $w/h{\leqq}0.5$. 2) By means of the elasto-plastic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maximum load-carrying capacity of the plate increases as much as 1.8 times of the initial yield load in the case of the simply supported condition and 2.2 times in the clamped condition. It is also shown that the maximum load-carrying capacity of ship plating increase as much as 4.3 times in the simply supported condition and 4.2 times in the clamped condition. This method would be applied and extended to solve combined nonlinear problems which involve both material nonlinearity and geometric nonlinearity.

  • PDF

정기선 선복 확보를 위한 Space Chartering의 경제성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Benefit of Space Chartering)

  • 박두진;김현;남기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63-668
    • /
    • 2006
  • 오늘날 세계 해운 시황의 호황에 따라 컨테이너 정기선 부분에서는 선복량의 부족 현상이 초래되고 있으며 선사는 신조선 발주와 중고선 구입 및 정기 용선을 통해 부족한 선복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특히, 정기선사들은 신조선 발주시 TUE당 운송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 컨테이너선박의 발주를 통한 선복 확보 방안은 차후 선복 과잉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음이 컨테이너선의 실증 분석을 통해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008년 이후 대형 컨테이너선이 대거 인도되는 시기에 선복량의 과잉공급으로 인한 해운시황의 변동에 따른 선사의 대응 전략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즉, 경제성 분석을 바탕으로 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Space Chartering 시점에 대한 선사의 전략 수립에 대해 논의한다.

정기선 선복 확보를 위한 Space Chartering의 경제성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Benefit of Space Chartering)

  • 박두진;김현;나철수;남기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5-340
    • /
    • 2005
  • 본 논문은 해운 시황 변동에 따른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선복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전체 선박을 일정 기간 대여하는 정기용선(time chartering)의 개념과는 차별되는 컨테이너 대형 선박의 일부 공간만을 대여하는 Space Chartering의 경제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선사의 정기선 선복 확보 방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컨테이너 정기용선을 실증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선사의 정기선 선복 확보 방안으로 컨테이너 대형선의 Space Chartering을 통한 경제성에 관하여 결론을 맺는다.

  • PDF

선박접안속도 분석과 안전도선에의 활용 (Analysis of Berthing Velocity of Ship and Application to Safe Pilotage)

  • 조익순;강은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9-150
    • /
    • 2022
  • 항만 계류시설에 작용하는 접안력은 접안에너지에 근거하여 계산하게 된다. 접안력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소로서 현장에서 안전한 도선을 위해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선박접안속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접안속도 관련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부두설계 및 도선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부두에서 접안속도 실측데이터를 통계적 수단 및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였다.

  • PDF

선체보강판의 해석영역에 따른 최종강도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ltimate Strength Behavior according to Analysis Boundary at Stiffened Plate)

  • 박주신;고재용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2-269
    • /
    • 2004
  • Ship structures are basically an assembly of plate elements and the load-carrying capacity or the ultimate strengt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safety assessment and economic design. Also, Structural elements making up ship plated structures do not work separately, resulting in high degree of redundancy and complexity, in contrast to those of steel framed structures. To enable the behavior of such structures to be analyzed, simplifications or idealizations must essentially be made considering the accuracy needed and the degree of complexity of the analysis to be used. On this study, to investigate effect of analysis range, the finite element method are used and their results are compared varying the analysis ranges. The model has been selected from bottom panels of large merchant ship structures. For FEA, three types of structural modeling are adopted in terms of the extent of the analy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numerically cal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ultimate strength behavior according to the analysis ranges of stiffened panels subject to uniaxial compressive loads.

  • PDF

Dent 손상을 갖는 원통부재의 최종강도에 관한 연구(제2보) -굽힘 하중을 받는 경우- (Ultimate Strength of Dented Tubular Members(2nd report) -under Bending Loads-)

  • 노인식;전태병;조병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1권6호
    • /
    • pp.56-64
    • /
    • 2004
  • Several types of steel structures which are employed in offshore petroleum activities are constructed with tubular members. These structures are usually subjected to various types of loads such as normal functional loads and environmental loads. Furthermore, accidental loads may also act on the leg or bracing members due to supply boat collisions and objects droppings from platform decks.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these loads ranges from total collapse of the structure to small damage which may not have serious consequence at the time of accident. To make optimal design decisions regarding structural safety and economical efficiency, it is very important to be able to assess the influence of damages on the performance of damaged structural members. In the End report, a series of calculations is performed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parameters on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such damaged members under pure bending.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 results.

보강판의 해석모델에 따른 좌굴 및 소성거동 평가 (Estimation of Buckling and Plastic Behaviour according to the Analysis Model of the Stiffened Plate)

  • 고재용;오영철;박주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1-279
    • /
    • 2007
  • 선체구조는 기본적으로 판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판부재의 하중분담 능력 혹은 최종강도 평가는 선체구조의 합리적인 설계 및 구조의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아주 중요하다. 또한, 선체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요소들은 작용외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연속거동을 하게 된다. 실제 선박에서의 붕괴형태 중 한가지는 종방향 굽휨에 의해서 갑판 혹은 선저부에 좌굴 및 소성붕괴이다. 그래서, 합리적인 설계에서는 이러한 급작스런 붕괴형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좌굴 및 소성붕괴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며, 실제 선박에서는 갑판부와 선저부에서는 하중분담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여러개의 종보강재를 가진 보강판 구조의 설계를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체 판넬구조의 모델링 방법에 따른 최종강도 거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합리적인 모델링영역을 규명하고자 한다. 사용된 해석 모델은 실제 상선의 이중저구조에서 사용되는 판넬에서 채택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 모델링 시 3가지 단면형상에 대해 각각 6가지 서로 다른 해석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이때 보강재의 단면형상을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선체 보강판구조에서 해석영역에 대한 좌굴 및 최종강도 거동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국부이상부식을 가진 선체판의 압괴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ltimate Compressive Strength of Ship Plate with Local Corrosion)

  • 고재용;남정길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5-72
    • /
    • 1998
  • 최근에는 고장력강의 사용증대와 함께 구조부재가 경량화추세에 있으며 이상부식이 발생한 구조부재는 강도가 크게 저하되리라 예상되지만 지금까지 이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소성대변형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국부이상부식을 가진 판이 면내압축하중을 받을 경우에 압축최종강도에 미치는 부식부영역의 크기. 부식부의 판두께 감소량 및 세장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울산항 위험물 부두의 안전계류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Safe Mooring Guide for Dangerous Goods Berths in Ul-San Port)

  • 강원식;박영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3
    • /
    • 2016
  • 항만물동량이 증가하고 선박의 대형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부두의 설계 접안능력보다 큰 선박이 부두를 이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위험물 취급항만인 울산항을 대상으로 접안능력을 초과하여 위험물 부두를 이용한 선박 실태를 조사하였고 기존 부두 접안능력의 최대 3배가 넘는 선박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50,000 DWT급 부두를 모델링하여 50,000 DWT급, 70,000 DWT급, 100,000 DWT급 선박을 대상으로 계류 프로그램을 통해 선박 규모의 변화에 따른 계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OCIMF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환경기준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50,000 DWT급 선박은 대체로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70,000 DWT급 선박의 경우 풍속 60 kts, 파고 1.5 m 이상의 기상조건에서 100,000 DWT급 선박은 풍속 60 kts 조건 등에서 허용한계를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대상부두에 대한 안전 계류 가이드라인 사례를 제시하였고 향후 다양한 사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해당항만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도록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