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cutting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5초

유기농업자재와 순지르기를 이용한 오이 노균병 방제 (Effect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Removal of Apical Shoot on Controlling Cucumber Downy Mildew)

  • 박종원;김용기;박소향;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소현규;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19-929
    • /
    • 2016
  • 본 연구는 비닐하우스에서 오이재배 시 유기농업자재(석회보르도액, 황토유황합제)와 순지르기가 노균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재는 석회보르도액과 황토유황합제를 사용하였으며 석회보르도액은 최적농도를 규명하기 위해 석회와 황산구리의 배합비율을 조절하여 5가지를 만들어서 노균병 발생 후 치료위주로 처리하였다.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재 중에서는 4-6식 석회보르도액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황토유황합제는 석회보르도액보다 효과가 떨어졌으나 병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었다. 순지르기가 병 발생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순지르기를 한 것이 제거하지 않은 것 보다 병 발생이 56.3% 억제되었다. 순지르기시기에 따른 오이 노균병 발생정도는 감수성 품종인 미소백다다기의 경우 순지르기를 할수록 병 발생이 감소되었고 저항성 품종인 흑룡삼척의 경우에는 병 발생이 적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유기농업자재와 순지르기를 병행처리 한 결과, 자재와 순지르기 처리를 병행 처리한 처리구가 모두 병반면적률이 낮았으며 그 중에서도 석회보르도액 4-6식이 가장 낮은 병반면적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순지르기가 오이 노균병 억제에 효과가 있고 자재와 함께 병행하여 처리하였을 때 더 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세 갈대 개체군의 절단 부위별 삽목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tting Culms Sec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Three Reed Populations)

  • 홍문기;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2
    • /
    • 2012
  • Culm cutting is very effective and convenient method for asexual propagation and even much less destructive than the other ways such as excavation of rhizomes. Despite that culm cutting is such a useful method, only few investigations for raising its efficiency have been carried out. We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geographical populations and cutting sections on the shoot emergence, biomass production and its allocation in terms of cutting efficiency. Culms were sampled from three environmentally distinct wetlands : riparian marsh, salt marsh and montane fen and then they were cut separately into four sections from the bottom to the top part. Both factors of different population and section affected the shoot emergence together. Middle parts on the culm always showed more shoot emergence irrespective of different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first section from salt marsh and fourth section from the montane fen did not exhibit any shoot emergenc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rease of shoot emergence between different sections during investigation period was confirmed only from salt marsh population. Not only different population but also appropriate cutting sectio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for better efficiency in cutting of reed culms.

국화 '백마'의 플러그 육묘시 삽목조건이 삽목묘와 절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Growth of Rooted Cuttings and Cut Flower in Plug Cutting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Baekma')

  • 유용권;노용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13-20
    • /
    • 2012
  •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백마' 품종의 플러그 묘 생산에 있어서 삽수의 조건이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정식 후의 절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삽수에 잎을 많이 부착할수록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잎을 4-6장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다른 처리에 비해 발근에 효과적이었다. 삽수길이에 따른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삽수길이를 5-7cm로 처리하는 것이 발근상태가 양호하였다. 삽수 굵기는 3.1mm 처리에 비해 3.6mm와 4.2mm 처리에서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이 양호하였다. NAA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뿌리의 길이도 짧아졌다. NAA $100mg{\cdot}L^{-1}$를 1시간 처리하여 삽목하는 것이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에 효과적이었다.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2:2로 혼합한 배지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뿌리의 길이, 수 및 무게 등이 뿌리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잎이 적은 것보다 4-6개 부착된 삽수의 삽목묘를 정식했을 때, 절화장이 길고, 무게가 무거웠으며, 엽수도 많았다. 삽수길이에 있어서 7-9cm 처리가 절화장, 절화무게, 설상화 수 등 전반적인 절화의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백마' 플러그 묘 생산시 7cm 길이에 3.6mm 굵기의 4-6장의 잎을 부착한 삽수를 삽목하는 것이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정식 후의 절화 생육을 위해 바람직하였다.

예초고가 Zoysia japonica의 생육과 Thatch축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tting-height on the Growth and Thatch Accumulation m Zoysia japonica)

  • 이주삼;윤용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5-8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in order to detect the effect of cutting height on the growth and thatch accumulation in Zoysio japonica Cutting height treatments were 2.5, 3.8, 5.1cm and no cutting,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Cutting treatments great]y affected to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and thatch accumulation. 2.The dry weight of Leaf and shoot had the highest at 5.1cm. So 5.1cm treatment was desirable level for the top growth of Zoysia japonica 3.The dry weight of leaf, shoot, root and coverage of control were obtained the higher than cutting treatments. 4.The dry weight of thatch of control were less than cutting treatments, and 5.1cm treatment were more than tow cutting height. 5.Retationships of dry weight of thatch with thatch depth and C/F ratio were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s at 5% level. 6. Relationship between dry weight of shoot and coverage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 at 5% level.

  • PDF

우포늪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군락에서 생장초기에 잘라주기와 태워주기에 따른 성장변화 (The Evaluation of Early Growth Pattern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after Cutting and Burning in the Woopo Wetland)

  • 김구연;이찬우;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7권2호통권107호
    • /
    • pp.255-262
    • /
    • 2004
  •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군락의 성장에서 잘라주기, 태워주기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포늪에서 실험을 하였다. 2003년 4월에 반복구 (5 ${\times}$ 5 m)를 대조구, 태운지역, 자른지역에 설치하여 2003년 8월까지 성장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군내에서 식물의 종 수는 대조구 7과 8종, 잘라주기 6과 8종, 태워주기 14과 18종으로 태워주기를 한 군락에서 식물 종 다양성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7월 이후는 식물 종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비슷해졌다. 태워주기를 한 군락에서는 덩굴성 식물인 환삼덩굴이 우점하였다. 5월 초 식물체의 초기발아는 태워주기를 한 지역에서 평균 176 /$m^2$개체로 대조구와 잘라주기를 한 지역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밀도를 보였다. 생장이 거의 다 이루어진 8월에는 잘라주기 (170 ${\pm}\;7/m^2$)를 한 지역이 태워주기 (141 ${\pm}\;9/m^2$)를 한 지역보다 생장이 양호하였다. 최종 길이성장은 잘라주기 205 ${\pm}$ 15,태워주기 196 ${\pm}$ 17, 대조구 187 ${\pm}$ 6 cm순으로 나타났다. 물억새군락 지상부의 현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잘라주기를 실시한 군락에서 약 1.6배, 태워주기 처리를 한 군락에서 약 1.4배로 지상부제거가 유의수준 5% 이내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생장기에 물억새를 태워주기보다는 잘라주었을 때 식물체의 발아와 초고, 지상부의 현존량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Perennial ryegrass의 그루터기 면적중과 재생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Stubie Weight and Regrowth of Perennial Ryegrass)

  • 이주삼;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0-96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the recovery days of root and stubble to the days after cutting, and contribution of specific stubble weight on the regrowth was examined u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ry weight of shoot and yield components, and regrowth parameters by the days after cutting. The varieties examined were Maprima, Manhattan, Tove, Peramo, Caliente, Tempo and P-2 grown under individual plant basis. The results ar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Dry weight of root and stubble were recovered up to 13.5 and 11 days after cutting, respectively. 2. Dry weight of shoot(regrowth parts+stubble)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varieties, stages of regrowth and variety x stage of regrowth. 3. The variety with tiller weight type showed higher average productivity of shoot than those of the variety with tiller number type. 4. Absolute growth rate(AGR) of shoo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regrowth parts, stubble, root and weight of a tiller at the early stage of regrowth(up to 12 days after cutting), and correlated with regrowth parts, stubble, weight of tiller and stubble area at the late stage of regrowth(up to 20 days after cutting). 5. Contribution of specific stubble weight to absolute growth rate of shoot was different between the stages of regrowth. Thus, regrowth parts per specific stubble weight(RP1SSbW) and weight of tiller per specific stubble weight(WT1SSbW) contributed to absolute growth rate of shoot at the early stage of regrowth, and efficiency of specific stubble weight(ESSbW), regrowth parts per specific stubble weight (RPISSbW) and weight of a tiller per specific stubble weight(WT1SSbW) contributed to absolute growth rate of shoot at the late stage of regrowth. 6. Regrowth utilization rate(RUR) was one of the useful regrowth parameter to indicate the regrowth potential of grasses.

  • PDF

九折草 揷穗로부터 發根 및 根生長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 九折草 種 및 揷穗位置의 효과 (Effect of Growth Regulators, Genotypes and Cutting Position on Rooting and Root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H.)

  • 김정률;유창연;조동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3-357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genotype, and cutting position on the rooting and root growth from cutting of Chrysanthemum zawadskii H.. Rooting rate of Keungugeolcho in the treatement of IBA 500 and 1000 ppm was the bett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of IAA, NAA and Rooton. Rooting rate differed depending on the genotype. Hangryobonggugeolcho was better than Keungucheolcho in rooting rate. The treatment of rooton remarkably induced many roots from the cuttings of eight accessions of Chrysanthemum zawadskii H.. Also, rooting rate and number of root differed depending on cutting position. When cuttings including shoot tip were cultured on tray containing bed soil, rooting rate and number of root induced from cuttings with shoot tip was higher than when cuttings without shoot tip and with lateral axillary bud were cultured.

  • PDF

국화 '신마'의 플러그 삽목시 삽수조건이 발근 및 절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Rooting and Growth of Cut Flower in Plug Cutting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Shinma')

  • 노용승;유용권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244-250
    • /
    • 2010
  • 본 연구는 국화 '신마' 품종의 플러그 묘 생산에 있어서 삽수의 조건이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정식 후의 절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삽수에 부착된 잎을 전부 제거한 처리는 지상부 생육이 가장 불량하였고, 전혀 발근이 안 되었다. 잎을 4~6개를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지상부 생육 및 발근에 효과적이었다. 삽수길이는 5~7 cm 처리에서 지상부의 무게가 무거웠으며, 발근에 있어서는 다른 처리에 비하여 5 cm 처리에서 뿌리의 무게가 가장 무거웠고, 뿌리수가 가장 많았다. 삽수 굵기가 굵을수록 지상부 생육과 발근이 양호하였다. 삽수에 부착된 엽수가 4~6개인 처리에서 절화장이 길었으며, 줄기의 굵기도 컸다. 삽수의 굵기가 3.2 mm 처리에서 절화장이 가장 길었다. 따라서 국화 '신마' 플러그 묘 생산시 삽수의 굵기가 3.2 mm 정도의 5 cm 길이의 삽수에 4장의 잎을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묘의 생육 및 발근에 효과적이고, 정식 후 절화의 생육에도 적합하였다.

국화 '백선'의 플러그 삽목시 삽수조건이 발근 및 절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Rooting and Growth of Cut Flower in Plug Cutting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Iwanohakusen')

  • 유용권;노용승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56-261
    • /
    • 2009
  • 본 연구는 하국용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백선' 품종의 플러그 묘 생산에 있어서 삽수의 조건이 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절화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삽수에 부착된 엽수가 많을수록 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이 양호하였다. 삽수 길이에 따른 지상부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근은 삽수 길이가 5cm 이상인 처리에서 양호하였다. 삽수의 굵기가 굵을수록 지상부의 생체중이 무거웠으며, 굵기가 5.5 mm 처리에서 형성된 뿌리수가 가장 많았다. 삽수에 부착된 엽수가 많을수록 절화장이 길었고, 절화무게도 무거웠다. 삽수의 길이가 7~11 cm 처리에서 절화장, 절화무게, 엽수, 설상화수 등 절화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삽수 굵기가 5.5 cm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절화 생육이 우수하였다. 띠라서 '백선' 플러그 묘 생산시 굵기가 5.5 mm 정도의 7cm 길이의 삽수에 잎을 4장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묘의 생육 및 발근에 효과적이고, 정식 후 절화의 생육에도 적합하였다.

삽주의 어린순 채취(採取)회수 및 질소분시(窒素分施)가 생육(生育)과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Sprouts Cutting Times and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 장계현;안동춘;김동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41-246
    • /
    • 1996
  • 자생(自生) 상태(狀態)로 채취(採取) 이용되거나 수입(輸入)되어 사용되는 창출(蒼朮), 백출(白朮)의 기원식물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의 효과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여 생약(生藥)의 수입(輸入)대체 기술(技術)을 개발하고자 산채용 삽주싹을 무채취(無採取), 1회(回) 채취(採取), 2회(回) 채취(採取)후 질소질 비료를 전양기복(全量基服), 50-30-20%, 40-30-30% 분시(分施) 처리(處理)하여 채험(採驗)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생육(草長生育)은 어린싹을 채취(採取)함에 따라 철저히 억제되었으나 삽주 생육(生育)에는 1회 채취시(採取時)가 적절할 것으로 보였다. 2.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생육후기 질소 분시율이 많을수록 무채취 및 1회 채취에서는 증가하였으나 2회 채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어린싹 수양(收量)은 1회(回) 채취시(採取時) 평균(平均) $269{\sim}288kg/10a$ 수준이었으며, 2회(回) 채취시(採取時)는 싹의 수양(收量)이 적고 거칠어 이용성이 떨어졌다. 4. 근경(根莖) 수양(收量)은 무채취(無埰取)(전양기비(全量基肥)) 대비 어린싹 2회(回) 채취시(採取時)는 7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1회(回) 채취(採取) 및 질소(窒素), 50-30-20%로 분시(分施)한 처리(處理) 수양(收量)은 100% (471kg/10a) 증수되었다. 5. 삽주는 5월말${\sim}$6월초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이 완료되고 $6{\sim}7$월경 잠아로부터 신초가 재형성되어지므로 5월상 - 하순경에 절단자극에 의해 일찍 신초를 형성시키는 것이 근경수량(根莖收量)의 증대에 효과적인 기술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