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measur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Fuel Oil-water Emulsion

  • Kim Houng-So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88-92
    • /
    • 2006
  • This study is intended to check the flame temperature to raise in burning grade C heavy fuel oil and emulsion fuel oil in a boiler an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ry Shoot(DS) and Soluble Organic Fraction(SOF) after collecting the Particulate Matters (PM). The flames temperature in boiler was measured by burning grade C heavy oil and oil-water emulsion (C heavy oil $70\%\;and\;30\%$ of water)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wo fuels was also compared by trapping particulate matters (PM) in exhaust gas and measuring the generated quantities of DS and SOF in fuel gas.

생태방음벽 개발을 위한 식물생장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lant Growth for Ecological Sound Barrier Development)

  • 사리타 버셀;조해용;최창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07-612
    • /
    • 2009
  • 생태방음벽에 있어서 구조도 중요하지만, 식물종자의 발아와 생장율을 고려한 선택도 매우 중요하다. 재래종과 외래종 35종을 선발하여 온도 $24^{\circ}C$, 습도 60%, 그리고 12시간 주기로 낮과 밤을 조절하였고, 식생기반재로 일반토양과 유기물 토양의 비율을 6:4, 7:3, 8:2, 9:1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한 종 중 8종은 2주 동안 발아하지 않았지만 그 외 나머지 종들은 시간차를 두고 모두 발아하였다. 가장 발아율이 좋은 종은 Perennial penant(92 %)이고 다음은 Brassica napus(86%), 그리고 Silene armeria(82 %)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발아한 종의 뿌리 및 줄기의 길이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뿌리의 생장이 가장 좋은 3종 Perennial penant, Perennial sonata Rebolsentri가 생태방음벽 개발에 가장 적합한 종으로 사료된다.

石灰岩과 花崗岩地帶에서 草地群落의 構造 및 好石灰植物과 嫌石灰植物의 成就度 比校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Grassland Communities and the Performance of Galcicoles and Calcifuges on the Limiestone and the Granite Areas)

  • Kwak, Young-Se;Chin, Kuk-Jeong;Min, Kuem-Suk;Kim, Joon-Ho;Choung, Yeon-So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05-112
    • /
    • 1994
  • Structure of grassland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and performance of populations of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and Miscanthus sinensis were compared on limestone and granite soils. Forty three and forty taxa occurred on the limestone and granite grasslands, respectively, but their similarity was very low. Shoot height and number of hills per patch, as a measure of performance, of Themeda on the limestone grassland were higherthan those on the granite grassland. In contrast, shoot height and number on hills per patch of Miscanthus were higher on limestone than granite grassland. Evidence shows that poor growth of Micanthus population on the limestone soil was associated with higher content of insoluble divalent cations than soluble ones in shoot tissue.

  • PDF

예취가 알팔파 근류의 발달과 질소고정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on Nodule Development and Nitrogen Fixation in Alfalfa)

  • Jong Won Ryoo;Ho Jin Lee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8-134
    • /
    • 1987
  • 刈取가 알팔파根瘤의 着生 및 發達과 室素固定活性에 미치는 影響을 檢討하기 위하여 圃場實驗에서는 刈取區와 非刈取區로 구분하여 時期別로 Acetylene還元法에 의하여 根瘤의 室素固定活性을 測定하였다. 養液栽培實驗에서는 地上部의 50%와 90%刈取, 花芽의 除法, 根瘤의 50%와 100% 除法등을 組合處理後 알팔파 再生과 根瘤의 着生과 發達에 미치는 影響을 檢討하였다. 1. 圃場實驗에서 根瘤의 무게는 1回刈取後 30%, 2 回刈取後 25%의 減少가 있었고 2 回刈取後 30日부터는 減少가 없었다. 2. 7月初, 8月初, 9月初에 刈取區의 specific nodule activity(SNA)는 非刈取區보다 높았으며 total nodule activity도 刈取區가 非刈取區보다 높았다. 開花期의 刈取는 根瘤의 室素固定活性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養液栽培實驗에서는 地上部의 50% 刈取는 알팔카의 再生과 根瘤의 發達에 影響이 없었으나 地上部의 90% 刈取는 再生을 느리게 하고 根瘤의 脫落을 심하게 조장하고 着生된 根瘤나 새로이 着生된 根瘤의 發達을 나쁘게 한 것으로 보아 알팔파根瘤의 室素固定活性을 높은 狀態로 維持하기 위해서는 너무 낮은 刈取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Optical Flow를 사용한 동영상의 흔들림 자동 평가 방법 (Automatic Jitter Evaluation Method from Video using Optical Flow)

  • 백상현;황원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236-1247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evaluating the uncomfortable shaking in the video. When you shoot a video using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phone, most of the video contains unwanted shake. Most of these fluctuations are caused by hand tremors that occurred during shooting, and many methods for correcting them automatically have been propose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shake correction performance in order to compare the proposed shake correction methods. However, since there is no standardize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 corr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is proposed for each shake correction metho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ke objective comparison of shake correction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objectively evaluating video shake. Automatically analyze the video to find out how much tremors are included in the video and how much the tremors are concentrated at a specific time. In order to measure the shaking index, we proposed jitter modeling. We applied the algorithm implemented by Optical Flow to the real video to automatically measure shaking frequency. Finally, we analyzed how the shaking indices appeared after applying three different image stabilization methods to nine sample videos.

소형무인기용 왕복엔진 성능시험장치 구성

  • 장성호
    • 항공우주기술
    • /
    • 제2권2호
    • /
    • pp.186-198
    • /
    • 2003
  • 15kg급 소형무인기의 동력장치 개발을 위한 연구로서 엔진 개조에 따른 성능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형엔진 성능시험대를 제작 및 개량하였고, 추가적인 성능 개량을 위한 향후계획을 도출하였다. 표준적인 엔진시험방법을 통해 엔진의 성능을 평가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개선하여 목표한 장기체공형 무인기 엔진 개발을 완수할 수 있도록 엔진성능 표준 시험장치를 구성하였다. 엔진성능 표준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는 개조된 엔진의 성능을 측정하고 이의 과정 및 엔진성능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제시하였다.

  • PDF

최초예취시기 및 예취빈도에 따른 White Clover의 건물생산과 근류형성 (Productivity and Nodule Formation as Influenced by Timing of Initial Defoliation and Defoliation Frequency in White Clover)

  • 강진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9-396
    • /
    • 1994
  • 질소고정의 장점을 갖고 있는 white clover를 화본과초지에 도입시 정착이 대단히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시험은 혼파초지에 도입되는 white clover의 유묘기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28일의 재생기간중 예취시기 (0, 1, 2, 4, 8 trifoliolate)의 조만과 예취빈도 (4회, 1회)가 잎의 크기가 다른 white clover 품종의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생산과 근류형성, 이들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뿌리 및 개체당 건물중은 조기 또는 빈번한 예취, 짧은 재생기간에 의하여 감소되나 재생기간이 길어지면 이러한 경향은 완화되었다. 2. 지상부 및 개체당 건물중은 예취빈도 4회에서는 최초예취를 늦춤으로써 완만하게 증가하나, 예취빈도 1회에서는 복엽 4교기까지 예취를 늦춤으로써 현저히 증가하였다. 3. S/R율은 복엽이 4매 이상일 때보다는 그 이전에 최초예취를 실시하거나, 예취빈도가 많고 재생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4. 개체당 근류수는 조기예취 및 빈번한 예취, 짧은 재생기간에 의하여 감소되나, 재생 14일 이후에는 복엽 4교기까지 최초예취에 대한 효과가 어느 정도 소멸되었다. 5. 타공시품종에 비하여 대엽종 Regal은 최초예취를 복엽 2교기까지 실시할 경우 지상부 및 개체 당 건물중이 높은 반면, 소엽종 S184는 최초예취시기에 관계없이 근류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개체당 근류수는 대체적으로 재생 7일 Regal, Huia 및 S184가, 재생 28일 La. S-1, Huia 및 S184가 최초예취시기가 빠른 복엽 2교기까지 지상부 및 뿌리의 건물중과 정의 상관을 보인 반면, S/R율과는 재생 7일에서 복엽 1교기까지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재생 28일에서는 그러한 관계가 소멸되었다.

  • PDF

입체적 지형을 고려한 무인항공기의 실시간 촬영 영역 분석 알고리즘 (Real-Time Shooting Area Analysis Algorithm of UAV Considering Three-Dimensional Topography)

  • 박우민;최정훈;최성근;황남두;김환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2호
    • /
    • pp.1196-120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항공기의 항법장치 정보와 촬영지역의 입체적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무인항공기가 촬영하는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촬영 지역의 면적을 자동 산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과 더불어 특정 지역의 촬영 가능 여부를 자동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한다. 무인항공기가 원하는 특정지역의 촬영을 시도할 경우에는 항공기의 위치와 고도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의 입체적 지형에 의하여 유효한 영상의 획득 가능여부가 결정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면 지상관제센터에서 무인항공기가 촬영하는 영상이 원하는 지역의 정보인지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실시간 원격 운항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안한 알고리즘과 촬영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방안은 사전 모의 운항 및 운항경로 설정에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다.

LED 광질이 차나무 기내배양묘의 생육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s on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in vitro Propagation in Tea Tree (Camellia sinensis L.))

  • 임현정;나채선;송치현;원창오;송기선;황정규;김도현;김상근;김현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6호
    • /
    • pp.13-21
    • /
    • 2019
  • 차나무의 기내배양 과정 중 증식배양 단계에서 LED 광질 조건에 따른 기내배양묘의 생육 특성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질은 적색광(R), 청색광(B), 혼합광(R+B+W)을 사용하여 처리하였고, 형광등(F)을 대조구로 하였다. 초장 생육은 적색광에서 가장 좋았으며, 특히 뿌리 생육에 있어서 혼합광은 길이와 표면적 증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R율, 엽록소 함량은 혼합광 처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형광반응 이미지 촬영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광질에 따른 Fv/Fm의 값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양묘의 NPQ는 청색광 처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여, 다른 광질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광합성 효율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차나무 기내배양은 배양목적에 따라 광질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차나무 기내배양 시 건실한 식물 생산을 위해서는 혼합광 처리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나무 대량증식 및 우량묘 생산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포장에서 작물의 뿌리분석을 위한 이미지 획득방법 (Imagery Acquisition Methods for Root Analysis in Crops under Field Conditions)

  • 김윤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452-458
    • /
    • 2021
  • 뿌리는 식물에서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분석방법에 어려움으로 인해 지상부에 비해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이미지를 기반으로 작물의 표현형을 분석하는 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뿌리 연구에 있어서도 이미지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뿌리분석은 목적에 따라 토양에서 분리 후 측정하는 방법과 토양에서 바로 측정하는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방식들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 연구자의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리뷰에서는 이미지를 활용한 뿌리분석 방법들에 대해 소개하여 국내 연구자들의 뿌리 연구에 이용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