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t Classifica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Few-Shot 학습을 이용한 영상 분류 (Image Classification Using Few-Shot Learning)

  • 신성윤;이현창;신광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681-68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데이터 셋의 이미지 분류 작업에서 모델 과적 합 및 비 수렴을 해결하고 분류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주로 사용되는 few-shot 학습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이미지 분류 방법을 제안합니다.

  • PDF

Learning Deep Representation by Increasing ConvNets Depth for Few Shot Learning

  • Fabian, H.S. Tan;Kang, Dae-K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4호
    • /
    • pp.75-81
    • /
    • 2019
  • Though recent advancement of deep learning methods have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from large data domain, somehow yield poor performance on few-shot classification tasks. In order to train a model with strong performance, i.e.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t depends heavily on huge dataset and the labeled classes of the dataset can be extremely humongous. The cost of human annotation and scarcity of the data among the classes have drastically limited the capability of current image classification model. On the contrary, humans are excellent in terms of learning or recognizing new unseen classes with merely small set of labeled examples. Few-shot learning aims to train a classification model with limited labeled samples to recognize new classes that have neverseen during training process. In this paper, we increase the backbone depth of the embedding network in orderto learn the variation between the intra-class. By increasing the network depth of the embedding module, we are able to achieve competitive performance due to the minimized intra-class variation.

다수의 특징과 이진 분류 트리를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 (Shot Change Detection Using Multiple Features and Binary Decision Tree)

  • 홍승범;백중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5C호
    • /
    • pp.514-52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특징과 이진 분류 트리를 이용하여 장면 전환점(shot change)을 검출하는 향상된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장면 전환점 검출 방식에서는 인접한 프레임간에 단일 특징과 고정된 임계값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비디오 시퀀스 내의 장면 전환점에서는 인접한 프레임간의 내용(content)인 컬러, 모양, 배경 혹은 질감 등이 동시에 변화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일 특징보다는 상호 보완 관계를 갖는 다수의 특징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점을 효율적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장면 전환점의 분류를 위해서는 이진 분류 트리(binary classification tree)를 이용한다. 이 분류 결과에 따라 장면 전환점 검출에 사용될 중요한 특징들을 선별하고, 각 특징들의 최적 임계값을 구한다. 또한, 분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검증(cross-validation)과 드롭 케이스(drop-case)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이 단일 특징들만을 사용한 기존의 방법들 보다 El(Evaluated Index, 성능평가지수)에서 평균 2%의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Intra-class Local Descriptor-based Prototypical Network for Few-Shot Learning

  • Huang, Xi-Lang;Choi, Seon Ha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52-60
    • /
    • 2022
  • Few-shot learning is a sub-area of machine learning problems, which aims to classify target images that only contain a few labeled samples for training. As a representative few-shot learning method, the Prototypical network has been received much attention due to its simplicity and promising results. However, the Prototypical network uses the sample mean of samples from the same class as the prototypes of that class, which easily results in learning un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low-data scenery. In this study, we propose to use local descriptors (i.e., patches along the channel within feature maps) from the same class to explicitly obtain more representative prototypes for Prototypical Network so that significant intra-class feature information can be maintained and thus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n few-shot learning tasks. Experimental results on various benchmark datasets including mini-ImageNet, CUB-200-2011, and tiered-ImageNet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learn more discriminative intra-class features by the local descriptors and obtain more generic prototype representations under the few-shot setting.

Novel Imag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Few-Shot Learning in Monkey Species

  • Wang, Guangxing;Lee, Kwang-Chan;Shin, Seong-Y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9권2호
    • /
    • pp.79-83
    • /
    • 2021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imag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few-shot learning, which is mainly used to solve model overfitting and non-convergence in image classification tasks of small datasets and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This method uses model structure optimization to extend the basic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and extracts more image features by adding convolutional layers, thereby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e incorporated certain meas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First, we used general methods such as setting a lower learning rate and shuffling to promote the rapid convergence of the model. Second, we used the data expansion technology to preprocess small datasets to increase the number of training data sets and suppress over-fitting. We applied the model to 10 monkey species and achieved outstanding performances. Experiments indicated that our proposed method achieved an accuracy of 87.92%, which is 26.1%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CNN method and 1.1% higher than that of the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esNet50.

압축비디오에서 인트라픽쳐 부분 복호화를 이용한 샷 움직임 분류 (Shot Motion Classification Using Partial Decoding of INTRA Picture in Compressed Video)

  • 김강욱;권성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858-865
    • /
    • 2011
  • 압축 상태에서 비디오 구조화 및 분류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압축된 비디오에서 장면전환을 검출해서 비디오를 샷(shot)으로 분리하고 샷내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샷을 특징화해야 한다. 장면전환을 검출하는 방법에는 DC 영상의 분산값 이나 복원영상의 에지 픽셀의 분포를 이용한 방법, P-픽쳐의 인트라 블록의 개수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으며 움직임에 따른 샷의 특징 분류는 움직임 벡터의 각 성분들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샷 움직임 분류 방법은 움직임 벡터 자체가 블록의 국부적(local)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글로벌(global)한 카메라 동작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 MPEG으로 압축된 비디오에서 인트라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복호화 하고 빠른 1차원적인 연산을 통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평균 밝기 값의 변화 방향을 추정하여 좀더 정확히 샷내 카메라의 움직임을 분류하고자 한다.

Coating defect classification method for steel structures with vision-thermography imaging and zero-shot learning

  • Jun Lee;Kiyoung Kim;Hyeonjin Kim;Hoon Soh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33권1호
    • /
    • pp.55-64
    • /
    • 2024
  • This paper proposes a fusion imaging-based coating-defect classification method for steel structures that uses zero-shot learning. In the proposed method, a halogen lamp generates heat energy on the coating surface of a steel structure, and the resulting heat responses are measured by an infrared (IR) camera, while photos of the coating surface are captured by a charge-coupled device (CCD) camera. The measured heat responses and visual images are then analyzed using zero-shot learning to classify the coating defects, and the estimated coating defects are visualized throughout the inspection surface of the steel structure. In contrast to older approaches to coating-defect classification that relied on visual inspection and were limited to surface defects, and older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based methods that required large amounts of data for training and validation, the proposed method accurately classifi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defects and can classify coating defects for unobserved classe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training. Additionally, the proposed model easily learns about additional classifying conditions, making it simple to add classes for problems of interest and fiel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validation via field testing, the defect-typ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22.7% of accuracy by fusing visual and thermal imaging compared to using only a visual dataset. Furthermor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on a test dataset with only trained classes is validated to be 100%. With word-embedding vectors for the labels of untrained classe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is 86.4%.

강인한 특징 변수 선별과 신경망을 이용한 장면 전환점 검출 기법 (Robust Feature Selection and Shot Change Detection Method Using the Neural Networks)

  • 홍승범;홍교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877-885
    • /
    • 2004
  • 본 논문은 여러 가지 장면 검출 방식들 중 강인한 특징 변수들의 선별과 신경망을 이용하여 향상된 장면 전환점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장면 전환점 검출 방식에서는 인접한 프레임 간에 단일 특징과 고정된 임계값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비디오 시퀀스 내의 장면 전환점에서는 인접한 프레임 간의 내용(content)인 컬러, 모양, 배경 혹은 질감 등이 동시에 변화한다. 따라서 단일 특징보다는 상호 보완 관계를 갖는 강인한 특징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점을 효율적으로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 강인한 특징 변수들을 선택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대표적인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를 이용하고, 다차원 변수에 따른 임계값을 선정하기 위해 역전파 신경망(backpropagation neural net)을 이용한다. 제안한 방식과 대표적인 특징 추출인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기법을 비교하여 특징 변수의 추출 성능을 평가한다. 실험 결과에 따라 제안된 방식이 PCA 기법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이 나타남을 확인한다.

  • PDF

Few-shot 학습 기반 이미지 분류 (Image Classification based on Few-shot Learning)

  • 신성윤;강오형;김형진;장대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2-33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데이터 세트의 이미지 분류 작업에서 모델 과적 합 및 비 수렴을 해결하고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주로 사용되는 몇 번의 학습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이미지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중계 영상을 활용한 야구 경기 분석 방법 (Baseball Game Analysis Method Using Broadcast Video)

  • 손종웅;이명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76-586
    • /
    • 2020
  • 레이더나 라이더 센서를 활용한 야구 경기 분석은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계 비디오에서 피치 샷과 타구 샷을 검출하고, 카메라의 움직임 기반 타구 궤적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객체 검출과 옵티컬 플로우 기반 피치 샷과 타구 샷 검출 이후, 프레임 간 변환 관계를 통해 프레임 내 타구 위치와 타구 궤적을 계산한다. 제안 방법은 KBO 중계 영상 시퀀스 3개에 대해 성능을 평가하였고 피치 샷과 타구 샷 검출 정확도와 검출률은 89-95[%] 이내의 성능을 보였으며, 평균 타구 위치 거리차이는 13.6[m], 방향 차이 7.5°, 파울 분류 정확도 98.6%의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