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al intrus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환경잡음신호의 주파수특성 분석에 의한 전자보안펜스의 신뢰성 향상 (Reliability Improvement of the Electronic Security Fence Using Friction Electricity Sensor by Analyzing Frequency Characteristic of Environmental Noise Signal)

  • 윤석진;원서연;김희식;이용철;장우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3호
    • /
    • pp.173-180
    • /
    • 2015
  • 외곽 침입 탐지를 위한 전자보안 펜스 시스템은 광망, 장력, 자력 등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국가 보안시설에 설치되고 있으나, 실외에 설치가 되는 시스템으로 환경 잡음에 따른 오경보의 발생에 따라 현장적용에 불편함이 크다. 본 논문에서 연구하는 마찰대전 방식의 전자보안펜스 시스템은 침입에 따른 감지 성능뿐 아니라, 경제성, 시공편리성, 유지보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환경 잡음에 따른 신뢰성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잡음에 따른 오경보 감소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기존의 마찰대전 방식 전자보안펜스 시스템은 펜스 침입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침입 경보를 결정했으나 강풍과 같은 환경잡음에 의해서도, 동일한 신호의 크기가 발생되어 오경보의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오경보 감소방안 연구를 위해 서울시립대학교 교내의 온실 실험실 Fence 위에 시스템을 설치하였고, 환경잡음 신호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온도, 풍속, 습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별도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신호는 고속푸리에 변환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해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침입신호와 환경잡음신호를 구분하는 알고리즘으로 개선하였다. 제안된 신호침입 알고리즘의 적용 전 후 데이터를 수집, 분석한 결과, 알고리즘 적용 후, 약 98%의 개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제 주요보안 시설에 설치할 경우 주변 잡음신호에 대해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인 것을 확인하였다.

스페클 패턴을 이용한 광섬유 침입자 센서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iber optic intrusion sensor system using the speckle patterns)

  • 김인수;박재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0-235
    • /
    • 2003
  • 빛의 모드사이의 간섭 때문에 발생하는 스페클 패턴의 변화를 이용하여 광섬유 침입자 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센서 시스템은 아날로그부, 디지털 제어부 및 신호처리부로 구성되어있다. 개발된 침입자 센서 시스템은 침입자를 감지하고 침입자가 차인지 사람인지를 구별해주었다. 침입자 감지 및 침입자 식별 실험을 500 m 광섬유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개발되어진 광섬유 침입자 센서시스템은 침입자를 매우 정확하게 감지하였으며 침입자가 차인 경우 100% 차로 인식하였으며 사람인 경우 90% 사람으로 인식하였다.

전파납치와 사물인터넷 공격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nding correlation between IoT and signal intrusion)

  • 고남현;김지윤;최만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89-9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전파납치 사건이 오늘날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가지는 의미를 연구한다.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이 다양해지고 활용 분야가 넓어질수록 사물에 가해지는 네트워크에 의한 공격에서 기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인터넷이 연결되는 사물일지라도 해당 사물이 이전부터 인터넷과는 다른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기존의 통신 규격을 그대로 계승받는다. 이전의 통신 방식은 일반 라디오 및 텔레비전의 통신과 유사한 방법이 많아 전파교란 및 납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전파납치 사례를 분석하고 사물의 제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연구하여 대응한다.

  • PDF

미상신호 검출을 위한 통합 IDS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erged IDS Design for the Unknown Signal Detection)

  • 이선근;김환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5B호
    • /
    • pp.381-387
    • /
    • 2003
  • 정보통신 및 네트워크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정보보호분야의 중요성은 매우 증가하였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해커와 크래커로부터 안전한 시스템의 유지를 위해서는 미상신호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상신호에 대한 검출대상은 바이러스, 내부침입 및 외부침입등이 있다. 기존 미상신호 검출방법은 바이러스와 내/외부 침입에 대하여 별개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효율이 매우 낮으며 유지비용도 매우 높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바이러스, 내/외부 침입에 대하여 하나의 시스템 내부에서 미상신호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 IDS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통합 IDS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미상신호들을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시스템 효율 및 비용을 현실화시키고자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설계는 Synopsys Ver. 1999.10과 VHDL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통합 IDS는 업데이트 데이터 정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비교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스템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섬유 산란형 센서를 이용한 사회기반시설물의 보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of Infrastructure using fiber Optic Scattering Sensors)

  • 권일범;윤동진;이승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99-507
    • /
    • 2004
  • 광섬유 ROTDR (Rayleigh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와 보디 긴 광섬유를 감지광섬유로 사용할 수 있는 광섬유 BOTDA (Brillouin optical time domain analysis) 센서를 구성하고, 이들 각각을 이용하여 중요보안 대상체인 사회기반시설물에 침투하는 침입자를 탐지할 수 있는 기포 연구를 수행하였다 ROTDR 센서의 감지부로는 넓은 면적을 감지할 수 있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탐지판을 제작하고, 인가된 침입물체의 위치와 무게에 따른 신호특성을 고찰하였다. ROTDR 센서는 펄스 폭이 30ns이고, 광섬유의 길이는 10km 이상이다. 위치탐지오차는 약 2m 이내였으며, 무게에 따른 탐지능력은 20kgf, 40kgf, 60kgf, 80 kgf의 네 단계를 구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넓은 지역에 걸친 침입자의 침투를 감시하기 위하며 수십 km의 광섬유 길이 전제를 감지부로 사용할 수 있는 광섬유 BOTDA 센서를 개발하였다. BOTDA 센서는 한 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두 개의 광전 변조기(electro-optic modulator)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구성하였다. 침입자에 의한 광섬유의 변형률 벽화를 탐지하는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학테이블 위에 광섬유에 변형률을 인가하기 위한 실험 장치를 설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으로부터 시간간격 1.5 초동안 광섬유 약 4.81km의 길이를 거리분해능 3m로 침입자를 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침입 감지기능을 가진 다중모드 GRIN(graded-index) 광섬유 내에서의 광파의 전파 (Light Propagation in Multimode GRIN(graded-index) Fibers with Intrusion Sensing Capability)

  • 손영호
    • 센서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273-278
    • /
    • 2002
  • 광섬유의 침입 감지기능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중모드 GRIN(graded-Index) 광섬유의 휨에 의한 광섬유내의 광전파 특성변화를 고찰하였다. 다중모드 CRIN 광섬유의 data파는 기본(fundamental) 모드로, 침입 감시용 감시파는 높은 차수의 모드로 동시에 전파 되게 하고, 광섬유의 휨(bending)에 의한 데이타 유출시도는 높은 차수 모드의 감시파의 감쇠를 가져오고, 결국 수신측의 경보를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감겨진 광섬유에 기본 모드만 선별적으로 주입된 경우에 있어서, 다중모드 GRIN 광섬유 내에서의 광파의 전파과정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광섬유가 휘게 피는 경우 여러 모드 사이에 결합(coupling)이 생겨나게 되는데, 광섬유가 감겨진 곡률반경을 변경해가면서 결합되는 기본모드의 power 변화를 수치해석을 이용한 프로그램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광섬유의 휨에 의하여 방출되는 데이타 도청 및 침입자 감지에 다중모드 GRIN 광섬유 활용 가능성과 광섬유의 곡률반경이 1cm 정도가지는 Asawa-Taylor의 모델[4]이 정당함을 보였다.

실시간감시를 위한 광섬유 ROTDR센서의 탐지특성 연구 (A Study on Detection Characteristic of Fiber Optic ROTDR Sensor for Real-Time Mornitoring)

  • 박형준;김인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67-372
    • /
    • 2016
  • 외부 지역에서 침투하는 외부침입자에 대한 침입탐지를 위한 기초적인 연구 수행을 위하여 광섬유 ROTDR (Rayleigh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센서를 설계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외부침입자를 탐지하기 위한 센서는 침입 탐지판을 제작하여 모래 속에 매설하여 실내에서 모형을 설치하여 침입탐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ROTDR센서의 신호 분석은 검출정도에 따른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광섬유 ROTDR 센서는 크게 20kg, 40kg, 60kg, 그리고 80kg 등의 무게별로 4등급으로 구분하여 넓은 영역에 걸쳐 외부 침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장거리용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논문에서의 광섬유 센서는 사회중요 기반시설의 외부침입자 감시용 실시간 모니터링의 응용에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Radar-based Security System: Implementation for Cluttered Environment

  • Lee, Tae-Yun;Skvortsov, Vladimir;Ka, Min-Ho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60-167
    • /
    • 2015
  • We present an experimental implementation of the inexpensive microwave security sensor that can detect both static and slowly moving objects in cluttered environment. The prototype consists of a frequency-modulated continuous wave radar sensor, control board or computer and software. The prototype was tested in a cluttered indoor environment. In case of intrusion or change of environment the sensor will give an alarm, determine the location of new object, change in its location and can detect a slowly moving target. To make a low-cost unit we use commercially available automotive radar and own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for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The intruder detection is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current 'image' in memory and 'no-intrusion' reference image. The main challenge is to develop a reliable technique for detection of a relatively low-magnitude object signals hidden in multipath clutter echo signals. Various experimental measurements and computations have shown the feasi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system.

효율적인 정보검출을 위한 NIDS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sign of NIDS System for the Effective Information Detection)

  • 이선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56-162
    • /
    • 2003
  • 네트워크 환경 및 사용자의 응용 서비스 증가로 인하여 정보보호분야 및 개인정보보호는 매우 중요한 분야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불특정 미상신호에 대한 검출기법이 증대되어야 하지만 정보량 증가 및 정보매체의 다양화에 의하여 효율적인 미상신호 검출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비인 가신호 또는 불법적인 외부접근등과 같은 미상신호의 검출을 위하여 입력정보로부터 미상신호를 효율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NIDS(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NIDS는 기존 NIDS 신호구별에 사용되는 방법을 통합하여 보다 효율적인 성능을 가지도록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설계는 Synopsys Ver. 1999과 VHDL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NIDS는 대용량 데이터와 다양한 매체정보에 대하여 모두 적용되므로 시스템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섬유 ROTDR 센서를 이용한 침입 탐지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intrusion detection technique using fiber optic ROTDR sensor)

  • 백세종;권일범;정철;유재왕
    • 센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9-217
    • /
    • 2002
  • 광섬유 ROTDR (Rayleigh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을 이용하여 침입자를 높은 감도와 넓은 영역에서 탐지할 수 있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의 개발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위 길이당 넓은 면적을 감지 할 수 있는 매설형 광섬유 감지부를 설계 제작하고, 인가된 침입물체의 하중에 따른 신호특성을 고찰하였다. 일반 광통신용인 직경 1.5mm와 3.5mm인 광섬유를 길이 각각 4km를 사용하여 광섬유 굽힘손실을 발생시키는 침입감지 장치를 설계 제작하고, 상용 ROTDR의 조건설정은 파장 $1.55{\mu}m$, 거리범위 5km, 펄스폭 20 ns, S/N비가 5.7인 시스템으로 실험하였으며, 광섬유 RODTR 센서시스템의 측정신호로부터 침입자 신호를 찾아내기 위한 측정신호처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광섬유 센서의 인가하중과 광손실값과의 관계는 거의 선형적으로 변함을 보였으며, 공간분해능은 2m로 측정되었고, 침입감지면적은 단위길이당 $1.3m^2$이고, 감도는 0.17dB/kg으로 외부 침입물체등을 감지하기에 충분히 높은 감도와 감지영역을 가짐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