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ifier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5초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의 어포던스 맥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xt of Affordance in Smart-phone Interface)

  • 김형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63-670
    • /
    • 2015
  • In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the theories about Gibson's real affordance and Norman's perceived affordance which are central fact of affordance, And I have examined the context of affordance in smart-phone interface which was consist of affordance and signifier with viewpoint of amalgamation of Gibson & Norm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Gibson's real affordance is a physical space in ubiquitous environment that interact through the behavioral space is composed with physical space and electronic space. Norman's perceived affordance is mediated to electronic space and signifier makes a behaviroal space which provide the clue of interaction. The second, signifier can be categorized into visceral, behavioral and reflective signifier based on three brain actions which are visceral, behavior, and reflection. Through the categorization, we can grasp that behavioral and reflective signifies generate visceral signifier. The third, the context of affordance in smart-phone has the structure of circulation. The structure of circulation is as follows: Real affordance makes the perceived affordance, the perceive affordance makes the signifiers and the signifiers make new real affordance.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using signifier in smart-phone interface design.

현대 패션에 표현된 코르셋의 외면화 (Externalization of corset in contemporary fashion)

  • 임은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5
    • /
    • 2014
  • Entering the twentieth century, corsets began to disappear with the tendency of concentrating on slim bodies and youth. As corsets proceeded to be discarded, they began to be internalized as a means of controlling the body; 'muscular corset' takes hold. However, the internalized corset increasingly appears to be externalized again in contemporary fashio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natural body is reconstructed as socio-cultural image draw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ifier and signified of corset.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s literature survey to investigate the internalization of corset. This study proceeds to examine the subjects of fashion collections from 1980 to 2010 and samples the outfits which represent the externalization of corset through case analysis.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study, the relationship of signifier and signified in the externalization of corset is argued as follows: first, by maintaining signifier and signified of the traditional corset as underwear, aggressive eroticism of corset has been observed, second, by perceiving corset as the agency of the body, fetishism of corset dissociates the function of sexual object from corset while distorting the relationship of signifier and signified, third, through embodying the notion of muscular corset literally, the ironical representation of corset as a torturing device of female body deconstructs the traditional relation of signifier and signified of corset.

기표의 구현과 수학적 이해: 경과시간을 중심으로 (Realization of signifiers and mathematics understanding: Focused on the elapsed time)

  • 한채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49-264
    • /
    • 2021
  • 이 연구는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경과시간이라는 수학적 대상을 구현하는 기표를 통해 학생들의 경과시간 이해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기표에 따라 차별화된 방식으로 경과시간 과제를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개별적으로 구성된 학생들의 경과시간 구현 기표 수형도는 이들이 특히 아날로그 시계 기표에서 경험하는 차별화된 과제 수행을 설명해주었다.

수화 김환기의 만곡기표의 해석 -뉴욕시대를 중심으로- (Interpretation of Kim Hwan-ki's Curvilinear Signifier -Centered on New York Period-)

  • 이현경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6권
    • /
    • pp.5-32
    • /
    • 2004
  • Kim Hwan-ki's New York Period works consistently present, as the central signifier, a curvilinear paradigm which has been derived from his creative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to light what exists behind curvilinear paradigms; a fusion of history and society with the artist's individual consciousness as a fused aspect of history and society. To make this aspect suitably understood, this study focuses on curvilinear signifier which are analyzed and considered objectively. The results of which are as follows: I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ransforming a curved line which is the modern quotation of traditional Korean art, most directly works done in porcelain. He take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art as the power of his works and takes aim a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all races. Looking through the background of his times, his artistic subject was to find the ethic characteristics of our excellent tradition and highlight them in his art. To him, art is not about making the most of a skill but instead about allowing one's inner spirit sing it's own song. This thought is conveyed in curvilinear signifier of his works. Therefore this study has asserted that Kim Hwan-ki's curvilinear signifier in his New York Period works has strong ties to the cultural vein of Korean history and society at it's base as well as simply in his individual level. This assertion is not to set form in a superior position as a Formalist but to show form as having the will to deal with the significance of an artist's mode by interpreting the experience of the interpreter.

  • PDF

조선시대 호랑이 민화의 동물 상징 및 그 사회적 맥락 (The Symbolic Meaning of the 'Tiger' in Minhwa and its 'Social Contexts' in Joseon Period)

  • 엄소연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6권
    • /
    • pp.33-5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Tiger in Korean Folk Paintings, Minhwa, (hereafter, Minhwa) connected to its social contexts in Joseon period. Thinking of the Tiger Minhwa as a 'visual language' and regard the Tiger as a 'visual signifier' as well as the united-signifiers such as a Korean magpie, pine tree and so on in Minhwa.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se signifieds, 'Signified', what we say in this paper, have composed its symbolic meaning related to the social 'ideological complexes' and collective consciousness during Joseon period. In a word, the characteristic of the Tiger signifier has changed and spread out from the ideal trend to a worldly one. Since the late Joseon period, the change of the social contexts was, because of the civil classes who recognized the limitation of the Sung Confucianism(the doctrines of $Chi-Tz\={u}$), the predominated ideology of that time. To get rid of their uneasiness, they brought the Shamanism, Taoism and Buddhism at the front which were usually the lower class ideology or belief and tried to construc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safety of their real lives. Therefore, the trend of this 'common conceptualization' show us the positiveness and flexibility to the Tiger signifier through the variation, appropriation and producing signifier. Moreover, even to the same Tiger, there were various meanings and most of them were concentrated in the meanings as follows ; Beoksa(in Korean term is to drive away evil spirits) and Gilsang, which is the good omen of a luck. All these were based on the value of 'this world'. In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the Tiger as a apotheosis has lowered its statutes and being secularized.

  • PDF

언어와 경험: 괴리와 거리 (The Breach and Distance between Language and Experience)

  • 노양진
    • 철학연구
    • /
    • 제116권
    • /
    • pp.59-78
    • /
    • 2010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경험주의적 언어관을 지탱해 왔던 '언어-경험 대응'이라는 가정이 근원적으로 그릇된 것이며, 그 가정에 근거한 문자적 의미 또한 공허한 이론적 가정의 산물이라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필자는 체험주의적 시각에 의존해서 언어가 기호의 체계이며, 따라서 그 의미 또한 기호적으로 주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했다. 기호적 경험의 구조에 대한 체험주의적 해명에 따르면 기표의 의미는 그것에 기호적으로 사상되는 경험 내용이다. 나아가 기호적 사상이 본성적으로 부분적이라는 것은 기표와 사상되는 경험 내용 사이에 본성적 괴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괴리는 일대일 대응의 원천적 불가능성을 의미하며, 그것은 문자적 의미의 불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새로운 구도 안에서 언어적 의미에 대한 해명은 기호적 경험에 대한 해명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객관주의가 가정했던 객관성은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언어는 여전히 소통 가능한 정도의 안정성을 드러내며, 우리는 그 안정성의 근거를 신체적이고 물리적인 경험의 공공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소쉬르·퍼스의 기호론과 바르트의 신화분석 영화 '베테랑'을 중심으로 (Semiotics analysis of Saussure, Peirce, and Myth of Barthes Focused on the film 'Veteran')

  • 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6
    • /
    • 2015
  • 본 연구는 영화 '베테랑'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이다. 영화 베터랑은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적문제점들을 기호인 영화로 재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호이론으로 그 영화가 지시하고자하는 심층적 의미와 우리사회에 던지는 시사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동시대 학자인 소쉬르의 기호론인 기표와 기의, 퍼스의 기호학인 도상, 지표, 상징, 그리고 바르트의 신화론과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영화 '베터랑'에서 감독이 생각하는 우리사회의 저 밖에 지시대상들을 기표인 배우들의 역할인 함축적 의미로 대체시켰다. 따라서 지금 우리사회가 바라는 그 이상 것인 신화로 승화 시켰다. 그래서 우리사회의 현실상 올바른 이념인 이데올로기의 과정으로 권선징악과 정의사회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이 영화 '베테랑의 기호'가 해석한 것처럼 재벌 같은 특정집단을 위한 사회보다 더불어 같이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영화 <사도> 관객의 '자아' (Movie Audience's Ego)

  • 김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33-243
    • /
    • 2016
  • 영화 <사도>는 사도세자의 비극적 가정사에 공감하는 관객의 감수성, 사회적 기표에 대한 관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관객은 사도세자의 비극을 보며 아버지와 아들의 상이한 정서적 감정, 전통의 이상과 가치의 상징인 아버지의 주체와 이를 파괴하려는 저항적 주체간의 상반된 의식이 마음속에서 충돌할 때 본래적 '나'로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자동적 사회적 행동으로서 이를 봉합할 수 있는 무의식적 위선 혹은 의식화된 감정을 따를 것인지 고민한다. 관객은 전통적 사회의 상징인 아버지의 권위와 위엄을 지향하면서도 사도세자의 비극을 보며 '나'의 존재론적 철학적 가치를 중시하는 양가적 태도, 도덕적 가치관을 내 보인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기표와 그에 대한 '나'의 저항 그리고 '나'의 광기를 살펴보는 가운데 도덕의 가치와 기준에 관한 관객의 사유를 살펴보고, 또한 과거의 도덕은 항상 도전에 직면할 수밖에 없고, 현재 역시 미래에 의해 전복될지도 모르는 도덕의 가치에 안위하고 있기에 관객이 최상의 것이기를 원하고 믿었던 도덕, 질서, 법의 체계는 언제나 미완성이고 변화무쌍한 것임을 말하고자 한다.

재도입을 통한 멸종위기종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Pisces: Cyprinidae: Acheilognathinae)의 복원성공과 서식현황 (Recovery Success and Habitat Status of the Reintroduced Endangered Species, Acheilognathus signifer (Pisces: Cyprinidae: Acheilognathinae))

  • 고명훈;양현;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7-76
    • /
    • 2019
  • 남한강 지류 흑천에 재도입(2010~2012년)된 묵납자루의 서식현황을 밝히기 위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서식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2017년(2회 조사)에는 329개체를, 2018년(4회 조사)에는 723개체를 채집하었고, 서식범위는 방류지점을 포함하여 약 5 km 구간이었다. 묵납자루의 집단서식지는 방류지역소의 상류부로 유속이 있고 수심 0.4~1.2 m이며 큰돌과 돌이 많은 곳이었다. 산란기는 산란행동 및 당년생 치어 크기로 볼 때 4월부터 6월로 추정되었으며, 성비는 암컷 438개체, 수컷 412개가 채집되어 1 : 0.94였다. 연령은 4월을 기준으로 전장 32~43 mm는 만 1년생, 50~61mm는 만 2년생, 62~75mm는 만 3년생, 76~89 mm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연령별 구성비는 채집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1년생(또는 당년생), 2년생, 3년생, 4년생 이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안정적인 연령구조를 보였다. 따라서 흑천에 복원을 위해 재도입된 묵납자루는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안정적인 개체군을 이루고 점점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