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t and silty sand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Influence of gradation on shear strength and volume change behavior of silty sands

  • Monkul, Mehmet Murat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5권5호
    • /
    • pp.401-417
    • /
    • 2013
  •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program regarding the effects of gradation on shear strength and volume change behavior of silty sands are presented. Consolidated drained direct shear tests were performed on two clean base sands and twelve silty sands obtained by mixing those base sands with two different non-plastic silts at various fines contents (${\leq}$ 25%). Drained shear strengths were observed to b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ither base sand gradation or silt gradation or fines content for the studied range. Increasing fines content has increased the volumetric contraction of specimens at similar void ratio. However, the amount of increase in volumetric contraction of silty sands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silt gradation when other influencing factors such as fines content, base sand gradation and mineralogy were kept the same. Moreover, the amount of increase in volumetric contraction of silty sands were also found to be affected by base sand gradation when other influencing factors such as fines content, silt gradation and mineralogy were kept the same.

Influence of grain size ratio and silt content on the liquefaction potentials of silty sands

  • Sonmezer, Yetis Bulent;Kayabali, Kamil;Beyaz, Turgay;Fener, Mustaf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1권2호
    • /
    • pp.167-181
    • /
    • 2022
  • Soil liquefac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rn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in recent years, due to its damages to structures and its destructive effects. The cyclic liquefaction of silty sands, in particular, remains of great interest for both research and application. Although many factors are known that affect the liquefaction resistance of sands, the effect of fine grain content is perhaps one of the most studied and still controversial. In this study, 48 deformation-controlled cyclic simple shear tests were performed on BS and CS silt samples mixed with 5%, 15% and 30% by weight of Krk085, Krk042 and Krk025 sands in constant-volume conditions to determine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silty sands. The tests were carried out at 30% and 50% relative density and under 100 kPa effective str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silty sand increases with increasing average particle size ratio (D50sand / d50silt) of the mixture for a fixed silt content. Furthermore, for identical base sand, the liquefaction potentials of coarse grained sands increase with increasing silt content, while the respective potentials of fine grained sands generally decrease. However, this situ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ilt grain structure and is affected by the nature of the fine grains.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the void ratio interval was shown to provide a good intuition in determin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s of silty sands, while the intergranular void ratio alone does not constitut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s of silty sands.

한국 서안 장구만에 발달한 조간만대의 퇴적상 및 퇴적구조 (Intertidal Flat Sediments and Charateristic Sedimentary Structures in the Changgu Bay, West Coast of Korea)

  • 김준래;박수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49
    • /
    • 1985
  • 서해안 장구만에 발달하는 조간대에서 24개의 표층시료 및 18개의 코아를 채 취하여 퇴적물의 조직 및 퇴적구조를 조사하였다. 이 조간대 지역은 대체로 silt flat, sandy-silt flat, silty-sand flat 으로 구분되며 해안선에서 바다쪽으로 갈수 록 입도가 조립화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코아의 X-ray촬영에 의해 나타나는 퇴적구 조는 bioturbation, current ripple laminae, parallel laminae등이며 지역에 따라 현저 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Bioturbation구조는 1차적으로 형성된 물리적 퇴적구조를 파괴하고 있으며, 만조선 쪽으로 갈수록 그 정도가 증가하고 있다. current ripple laminae 는 bioturbation정도가 비교적 적은 silty-sand, sandy-silt지역에 잘 나타나 며, 몇번의 창조류와 낙조류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사층리를 잘 보여주고 있다. 내 만쪽에 나타나는 parallel laminae는 silt/clay호층의 두께 1mm이하의 층리로이루어 져 있는 반면, 외만쪽에 나타나는 parallel laminae는 sand/silt/호층의 두께 1~5mm 의 층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

낙동강 모래의 실트함유량 변화에 따른 반복전단응력비 특성 (Characteristics of Cyclic Shear Stress Ratio by Silt Content for Nak-Dong River Sand)

  • 김영수;김대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C호
    • /
    • pp.277-285
    • /
    • 2009
  • 실트함유량 변화에 따른 낙동강 모래의 반복전단강도 특성을 살펴보고자 낙동강 유역에 분포하는 모래와 실트를 채취하여 실트함유량 0~50%의 범위로 실내에서 재성형된 실트질 모래시료에 대하여 일련의 비배수 반복삼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실트함유량 변화에 따른 반복횟수(N) 10에서의 반복전단응력비(CSR)는 모든 상대밀도에서 실트함유량 5%에서 최대였고, 20%에서 최소를 보였다. 반복비($N/N_L$)에 따른 간극수압비(${\Delta}u/p^{\prime}$) 관계로 부터 분석된 간극수압의 발달 경향은 실트함유량에 따른 CSR 크기변화와는 무관하였다. 압밀 후 간극비(e)와 skeleton 간극비($e_s$)를 비교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실트함유량에 따른 CSR의 변화 경향과 일치하여 실트함유량에 따른 CSR은 실트질 모래의 전단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래만의 간극비인 skeleton 간극비($e_{s}$)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트질 모래지반의 비선형 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f Non-Linear Behavior in Silty Sand)

  • 이경숙;김현주;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59-1166
    • /
    • 2005
  • In the present study,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with sands of different silt contents, are conducted and methods to assess non-linear behaviors based on in-situ test results are proposed. Modified hyperbolic stress-strain model is used to analyze non-linearity of silty sands in terms of non-linear degradation parameters f and g as a function of silt contents and relative density $D_R$. Stress-strain relationship results were obtained from a series of triaxial tests on sand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silt. Initial shear modulus which was applied to normalize modulus degradation of silty sand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esonant column test results. From the laboratory tes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as the relative density increases, values of f decrease and those of g increase. Cone resistance $q_c$ for silty soil condition used in the triaxial test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cavity expansion analysis. A suggestion to make an estimation of degradation parameters f and g as a function of fine contents is addressed in terms of cone resistance $q_c$ .

  • PDF

공진주 시험을 이용한 국내 비점성토 지반의 동적변형특성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hesionless Soils Using Resonant Column Tsets)

  • 김동수;추연옥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1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2001
    • /
    • pp.98-106
    • /
    • 2001
  •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hesionless soils i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resonant column tests. Total 60 samples, which were sampled from sedimentary and residual soils and reconstituted using controlled particle-size distributions, were prepared. The confining pressure applied in the tests ranges from 20 kPa to 500 kPa. The test results ware categorized into 3 groups including clean sands, silt and silty sand, and residual soils. Based on test results, the small-strain shear modulus(G$_{max}$) and damping ratio(D$_{min}$) were determined and the effects of confinement on G$_{max}$ and D$_{max}$ were characterized. The empirical correlations predicting G$_{max}$ were suggested for 3 group soils. Nonlinear de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clean sand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nfining pressure and the ranges and mean curves for G and D are suggested considering the range of confining Pressure. The silt and silty sand and residual soils were weakly affected by confining pressure, so the representative ranges and curves, independent of confining pressure, were proposed.d.posed.d.

  • PDF

낙동강 실트질 모래에 대한 불포화 투수특성 (Unsaturated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Silty Sand on the Nak-dong River)

  • 김영수;신지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C호
    • /
    • pp.7-1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 불포화 실트질 모래의 매우 중요한 기본특성인 불포화 투수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Huang(1998)이 제안한 삼축셀을 이용하여 정적 측정 방법으로 불포화 투수계수를 구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불포화 투수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시험 장치는 모관흡인력(matric suction)의 증가에 따른 투수계수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얻은 투수계수 값과 경험적 투수함수식으로부터 계산된 투수계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불포화투수계수 값이 상대밀도, 실트함유율, 모관흡인력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함수비와 간극비의 변화에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redlund & Xing(1995)에 의하여 제시된 경험적 투수 함수식이 낙동강 실트질 모래의 불포화투수계수를 표현하는데 제일 적합한 모델이라는 판단을 내리게 되었다.

변산반도 연근해 표층 퇴적물의 특성과 퇴적환경 (Environment of Deposition and Character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Nearshore off Byun-San Peninsula, Korea)

  • 오재경;최규홍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2호
    • /
    • pp.107-116
    • /
    • 1999
  • 한반도 서해 중부 변산반도 연근해 표층 퇴적물의 퇴적작용 해저지형, 계절별 변화 등을 포함한 퇴적 환경을 연구하기 위해 여름 32 개, 겨울 29 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지형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해도의 수심자료를 계수화했으며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동서방향을 따라 5 개 선상의 수심단면도를 얻었다. 표층 퇴적물의 퇴적상은 크게 모래(S), 사질니(sZ), 니질사(zS)로 나뉜다. 평균입도는 2.11~7.81 ${\Phi}$의 다양한 분포를 보인다. 전체적인 왜도값이 전반적으로 양의 분포를 보여 전형적인 조석 우세 환경임을 알 수 있다. 연구지역 북서쪽의 6 개의 정점에서는 중사에 해당하고 분급도는 0.5~1.4 ${\Phi}$의 분포를 보이며 그 외의 지역은 하천과 외해로부터 유입된 세립질 퇴적물과의 혼합에 의해서 외해에서 연안으로 갈수록 니질사부터 점차 사질니까지 분포한다. 겨울철에 하천 기원의 퇴적물이 재부유 하여 남쪽으로 이동 퇴적되는 것이 불량한 분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C-M 다이아그램에 의하면 퇴적 기작은 크게 밑짐 이동(Mode A), 점이 부유와 지속적 부유의 혼합(Mode B), 그리고 지속적 부유(Mode C)로 각각 북서부의 사질, 중앙부의 니사질, 남부의 사니질 퇴적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PCA 방법에 의한 통계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표층퇴적물의 퇴적상과 퇴적 기작은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Type II에서 III의 퇴적상으로 갈수록 평균 입도는 세립해지고 분급이 점차 불량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 PDF

비압밀비배수조건에서 다져진 낙동강 실트질 모래의 전단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f Shearing Properties on Compacted Nakdong River Silty Sands under Unconsolidated Undrained Condition)

  • 킨스웨틴;김영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2호
    • /
    • pp.57-62
    • /
    • 2010
  • 본연구에서는 실트함유량에 따른 다양한 실트질모래의 전단특성에 관한 효과를 평가했다. 두 종류의 삼축 압축시험은 다져진 낙동강 모래속에 실트 함유율 10%와 30%를 혼합한 조건에서 원형공시체를 성형하고 비압밀 비배수 상태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동일한 공시체는 같은 초기함수비로 5층으로 나누어 준비하여 포화시킨 다음 초기 유효 구속압을 100~400kPa까지 증가시킨 후 전단한다. 모든 공시체는 파괴 후 변형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응력변형률 곡선과 축차응력은 실트함유율이 10%일때가 30%일 때 보다 크게 나타났다. 간극수압은 실트함유율 10%인 공시체가 파괴 후의 간극비 증가로 인해 부의 영향이 나타났지만 반면에 실트함유율 30%인 공시체는 양의 경향을 나타났다. 실트함유량이 낮은 다져진 공시체의 거동은 실트함유량이 높은 경우 보다 더 심한 다이러턴시 경향을 나타났고 최대축차응력은 실트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최대간극수압은 증가하였다.

시화호 형도 갯벌의 지화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Intertidal Zone of Hyung-Do, Shi-Hwa Lake)

  • 이준호;정갑식;우한준;조진형;이승용;장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3-263
    • /
    • 2011
  • 시화호 형도 근처 조간대(帶, intertidal zone) 지역 갯벌의 퇴적환경을 알아보기 위해 10개 정점 표층 및 2개 정점 주상퇴적물에 대한 입도, 함수율, 휘발성산화합물(Acid Volatile Sulfide; AVS),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및 중금속(Al, Fe, Mn, Cu, As, Pb, Zn, Ni, Cd 및 Cr) 항목에 대해 분석 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대체로 분급이 불량(분급도, 0.60~2.31${\phi}$)한 sandy Silt, slightly gravelly muddy Sand, silty Sand 및 Sand 등의 퇴적상으로 구분되며, 평균입도는 2.95~6.00${\phi}$로 극조립 실트(Silt)에 해당한다. 표층 퇴적물의 Al 함량은 1.54%, Fe은 1.75%, Cu는 9.1ppm, As는 1.1ppm, Pb은 18.8ppm, Ni은 11.0ppm, Cd은 0.02ppm 그리고 Cr은 30.1ppm으로 측정되었으며, 주상 퇴적물 또한 미국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기준의 ERL(Effective Range Low, 저서생물에 독성을 보이는 초기 10% 농도)을 초과하지 않았다. 주상퇴적물의 과잉 방사능 납($^{210}Pbex$)의 분포를 통해 퇴적률을 추정한 결과, 급격한 퇴적물의 다량유입에 의해 수직적으로 방사능(activity)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있어 정확한 퇴적률(apparent sedimentation rate)은 추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2개 코어 상부 35cm 에서 퇴적물의 급격한 유입 및 환경적 영향등으로 금속 농축계수(Enrichment factors; EF) 계산값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