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ip Form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7초

슬립폼공법 적용된 동절기 케이슨의 온도에 따른 응결시간 및 압축강도 (Setting Time and Strength of Slip-form Method Applied Caisson in Low-temperature Period)

  • 김봉주;김재훈;김찬수;조호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7
    • /
    • 2006
  • 항만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의 제작은 slip-form을 사용한 연속타설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국내 공사에서는 동절기에도 소요의 압축강도를 발현하기 위해서 양생시간의 조절과 slip-form 자체에 온도조절이 가능한 가열보온기기를 설치하여 시공하고 있다. 외기온에 따른 최적 양생온도 및 탈형시간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양생온도 $30^{\circ}C$에서 6시간의 양생시간을 거쳐 탈형되는 것이 압축강도의 발현이나 탈형의 부착 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슬립폼 시스템 상승속도 결정에 요구되는 콘크리트에서의 초기경화시간 결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etting Time of Concrete in the Determination of Slip-up Speed for Slip-Form System)

  • 김희석;김영진;진원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A호
    • /
    • pp.295-302
    • /
    • 2011
  • 초장대교 콘크리트 고주탑 시공시에 사용되고 있는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속도를 결정하는 요소인 초기경화시간은 콘크리트가 거푸집에서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굳기를 갖게 되는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시간으로서, 배합 시 단위시멘트량 및 타설시 여러 현장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초기경화시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슬립폼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 및 콘크리트면의 유지관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초기경화시간 결정을 위한 콘크리트 경화정도를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더구나 슬립폼 공법은 연속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거푸집 탈형 전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연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초음파를 이용한 기법은 콘크리트면에 초음파를 투과시켜 투과된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방법으로 정량적이며 연속적으로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표면파 속도를 이용하는 기법은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표면파 속도의 변화를 통해 콘크리트 경화정도를 알 수 있으며, 주탑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면파 속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추정함으로서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속도를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슬립폼 시스템 상승속도와 초기경화시간과의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표면파 진행문제의 수치해석 결과를 연속웨이블릿변환 하여 표면파 속도를 추정하였다. 이때 탄성파 발생위치와 두 개의 수신점 거리에 따른 추정된 표면파 속도의 정밀도를 조사하였으며, 추정된 표면파 속도와 탄성계수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표면파 속도를 이용한 슬립폼 시스템 상승 시기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lip-up Time for Slip-Form System using Surface Wave Velocity)

  • 김희석;김영진;진원종;윤혜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83-492
    • /
    • 2012
  • 슬립폼 공법에 있어서 초기경화시간은 콘크리트가 거푸집에서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굳기를 갖게 되는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시간으로써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슬립폼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와 콘크리트의 시공품질을 확보하도록 초기경화시간을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기법 중 표면파 속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파악하여 초기경화시간을 추정함으로써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 시기를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입저항시험과 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여 콘크리트의 초기경화시간과 압축강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또한 압축강도와 표면파 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초음파시험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표면파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연속웨이블릿변환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수치해석을 통해 연속웨이블릿변환의 사용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이로부터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에 요구되는 표면파 전파속도를 제안하였으며, 슬립폼 시스템의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제안한 표면파 속도가 슬립폼 상승 시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히팅슬립폼을 적용한 수직구 구조물의 상승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lip-up speed of a shaft using heating slip form)

  • 고엄식;이상훈;박종필;지광습;김창용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811-823
    • /
    • 2019
  • 최근에는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으로 현장타설 공법 대비 시공속도가 빠르며, 안전하고 경제적인 연속상승 슬립폼 공법이 다수의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슬립폼 공법으로 시공 가능한 높이는 2.5~4 m/day로 알려져 있는데, 콘크리트 온도가 10~30℃의 범위 밖에서는 강도 변화나 탄성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동절기 공사에서는 3 m/day 이상의 시공속도를 내기가 어렵다. 또한, 콘크리트는 수화 작용으로 인해 수화열이 발생하는데, 이는 콘크리트의 온도 균열을 초래한다. 따라서 슬립폼 연속상승시 콘크리트의 온도 제어 양생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히팅 패널 및 시험용 연속상승 장치를 개발하여 반발경도, 초음파 전파시간, 수화열 및 외부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히팅슬립폼을 제작하였으며, "김포 현장"과 "신월 현장"에 히팅슬립폼을 적용하였다. 김포현장은 주간(08:00~17:30) 평균 1.9 m/day 또는 0.200 m/hr, 신월 현장은 2.0 m/day 또는 0.210 m/hr를 목표 상승속도 값으로 비교하였다.

슬립폼 적용을 위한 고강도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성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Early Strength Development of High-Strength Concrete to Apply Slip-Form)

  • 주지현;여동구;강석표;길배수;남재현;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I)
    • /
    • pp.355-358
    • /
    • 2000
  • Nowadays, with high-storied and large-sized of structures, high-strength concrete is applied to the various kinds of concrete structure. Among of them, for reduction of completion time, high-strength concrete is applied to the high-storied tower, building which is constructed continuously by the slip-form method and it is expected to be on the increase. In this case,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development of early-strength to apply the slip-form method. But the strength data prior 1 day is rare. Therefore, to apply slip-form method in field, this study aim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arly-strength of high-strength concrete, through examining development of strength by different curing temperature, replacement of fly-ash.

  • PDF

슬립폼 공법으로 건설된 벽식 구조의 거동에 관한 연구 (Structural Behavior of Wall-Type Structure with the Application of Slip-Form System)

  • 문정호;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7-168
    • /
    • 1995
  • Slip-Form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공기단축 및 우수한 품질의 벽체타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적용성 및 구조적 거동을 평가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슬래브를 벽체와 동시에 타설할 수 없기 때문에 벽체-슬래브 접합부의 주변에 취약점이 생기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는 Slip-Form시스템을 사용한 벽식 구조의 성능을 평가하고, 효과적인 접합부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7개의 벽체 실험체와 8개의 벽체-슬래브 접합부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결과들을 설계식 및 이론적인 해석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벽체압축 실험으로부터 그 구조적 거동이 일체식 구조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으며, 벽체-슬래브 접합부 실험으로 부터는 철근연결용 철물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고는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외벽에 철근연결용 철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벽체의 강도을 검토하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슬립폼 공법 적용 시 단면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ection Change Using the Slip-Form Method)

  • 서진선;한준영;임칠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3-128
    • /
    • 2007
  • 슬립폼 공법은 기존의 공법들에 비해 많은 기술적, 경제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싸이로, 교각 등 특수구조물에 국한되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코어윌 선행공법이나 아파트 벽식구조와 같이 일반건축물에 일부분 적용하여 공법적용의 적정성을 검토한바 있었으며 다소 시행착오는 있었지만 나름대로 슬립폼 공법을 심도 있게 검토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슬립포 공법을 1)Sliding 중 슬라브 타설, 2)RC구조+SRC구조(일부구간), 3)내부의 단면변화(직선-대각선-원형) 등과 같이 그동안 적용되지 않았던 구조물을 실제 시공을 통하여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했다. 추후 실제 슬립폼 공법적용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계속 보완하고, 설계 및 엔지니어링, 기획단계에서부터 철저한 사전검토가 이루어진다면 공기단축, 원가절감, 작업의 안정성 등, 좋은 품질의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슬립폼 공법의 영역을 확대, 발전시킬 수 있는 단초가 되리라 판단된다.

  • PDF

Slip Form과 Deck Plate를 채용한 벽식 APT의 접합부 Detail개발의 기초적 연구 (The basic study of the detail development of the Wall-type APT joint using Slip Form and Deck plate.)

  • 이희두;박신;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127-132
    • /
    • 2003
  •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about how to construct wall-type APT in slip form and Deck plate applied different connection of materials that wall and slab. A proposal construct's solution is using the continuous a binding string that the main of contents are slab or stairs which horizon structure part construction is joined the vertical structure part, new we Proposed of 2 solution that new technology development. We'll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is in the construct of higher stories APT more better other construction method. We expect that the new method is good but we have many things to solute themes. Thus, we decided that this development contents are needed that correct structural investigation and constructor's security of speciality and through a fact construct, correct verification.

  • PDF

변단면 콘크리트 주탑공사의 슬립폼 시스템 적용을 위한 설계기술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Slip-Form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Tapered Concrete Pylons)

  • 윤혜진;김영진;진원종;김희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28-135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고주탑 시공을 위한 최첨단 공법이라 할 수 있는 슬립폼 시스템 공법의 기술자립을 목적으로 슬립폼 설계기술을 연구하였다. 대상 주탑은 10m의 높이를 갖으며 보통 케이블 교량의 주탑에서 적용하는 사각 중공 형상으로 계획하였다. 슬립폼 시스템은 콘크리트의 연속 타설을 고려하여 슬립폼이 연속적으로 단면의 치수변화와 두께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시공시 슬립폼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 BIM에 의한 가상 시공으로 실용성을 사전 검증하였다. 설계된 제작 도면을 바탕으로 슬립폼 시스템을 제작하고 10m 높이의 주탑을 성공적으로 시공함으로써 개발된 변단면 슬립폼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