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with solar power faciliti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된 사면의 강우시 침투를 고려한 안정성 및 거동 분석 (Analysis of Stability and Behavior of Slope with Solar Power Facilities Considering Seepage of Rainfall)

  • 유정연;이동건;송기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7호
    • /
    • pp.57-67
    • /
    • 2023
  •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에 의해 강우시 사면파괴가 발생하고 있다. 이때 불투수면인 태양광 패널을 따라 흐르는 강우로 인해 침투 작용이 일반적인 사면과 달라 간극수압 분포가 차이를 보이며 태양광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지반 거동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의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된 사면의 안정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최대 사면 변위 지점을 통해 취약지점을 분석하였다. 강우의 침투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고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침투해석과 유한차분법 수치해석을 연계하였다. 대상 현장에 대해서는 함수특성곡선 변수, Mohr-Coulomb 파괴 기준을 만족하는 강도 정수 및 지반 물성치, 사면의 각도와 기반암의 깊이 등의 지형적 인자를 가정하였으며 이들 중 안전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검토하였다. 태양광 발전시설의 유무에 따라 침투 양상 및 안전율에 차이가 있으며 강우 침투에 따라 안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 변위 지점은 사면의 상단부와 하단부 인접 지점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Pseudo-BIPV Style Rooftop-Solar-Plant Implementation for Small Warehouse Case

  • Cha, Jaesang;Cho, Ju Ph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187-196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ample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a roof-type solar power plant structure equipped with a Pseudo-BIPV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shape suitable for use as a roof of a small warehouse with a sandwich-type panel structure.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typ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be installed in the small warehouse proposed in this study, the shape of the roof is not a general A type, but a right-angled triangle shape with the slope is designed to face south. We chose a structure in which an inverter for one power plant and a control facility are linked by grouping several roofs of buildings.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roof structure is less than 20 cm from the floor, and it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BIPV, so it is building-friendly because it is alm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roof. At the same time, the roof creates a reflective light source due to the white color. By linking this roof with a double-sided solar panel, we designed it to obtain both the advantage of the roof-friendliness and the advantage of efficiency improvement for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double-sided panel. Compared to the existing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using A-shaped cross-sectional modules,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roofs in this case is increased by more than 11%, which we can confirm, through the comparison analysis of monitoring data between power plants in the same area. Therefore, if the roof-type solar structure suitable for the small warehouse we have presented in this paper is used, the facilities of electric power generation is eco-friendly. Further it is easier to obtain facility certification compared to the BIPV, and improved capacity of the power generation can be secured at low material cost. It is believed that the roof-typ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we proposed can be usefully used for warehouse or factory-based smart housing. Sensor devices for monitoring, CCTV monitoring, or safety and environment management, operating in connection with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linked with the Internet of Things (IoT) solution, so they can be monitored and controlled remotely.

풍하중이 경사지 태양광 발전시설의 기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Wind Load on Pile Foundation Stability in Solar Power Facilities on Slopes)

  • 우종원;유정연;송기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12호
    • /
    • pp.47-60
    • /
    • 2023
  • 현재 국내에 경사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에 대해서 강우 혹은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로 매년 태양광 발전시설의 강우에 의해 토사가 유출되어 기초부에 손상을 입거나, 풍하중에 의해 기초부가 이탈하는 등 피해사례가 발생하여 이와 관련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실정에도 지반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은 고려하지 않고, 외부 하중에 따른 구조물 자체의 안정성만 분석을 시행하며, 설비 부지의 안정성 검토는 태양광 구조물을 제외한 사면에 대한 안정성 검토만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영향인자에 대해서 말뚝의 횡방향변위와 휨응력, 경사지의 안전율의 변화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지반과 말뚝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유한차분법 해석을 실시하였다. 영향인자는 말뚝의 지름, 말뚝 사이의 간격, 말뚝의 근입 깊이, 풍하중, 건기와 우기 조건 등의 인자를 가정하였으며, 횡방향 변위와 휨응력, 경사지의 안전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검토하였다. 말뚝의 횡방향 변위와 휨응력은 말뚝 사이의 간격과 풍하중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았으며, 경사지의 안전율의 경우 말뚝의 근입 깊이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석을 실시한 조건에서 일부분은 국내의 설계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IoT 기술 기반의 산악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Mountainous Area Monitoring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 김균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7-446
    • /
    • 2017
  • 국토의 70%가 산지인 우리나라는 산악지 거동으로 인한 시설물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 그런데 최근에 모노레일 등 산악활동을 위한 시설물에 대한 건설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설물 피해 가능성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선기반 산악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선하여, IoT기술이 적용된 산악지 실시간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산악지 시설물 현황과 모니터링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기존 유선 모니터링 기술을 분석하였다. 둘째, IoT기반 모니터링을 위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에 적합한 RF통신모듈과 RF통신모듈 인터페이스, 전원부, 태양전지 등 센서노드를 개발하였다. 셋째, K대 현장에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이에 대해서 현장적용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초기 무선통신의 오류를 보완한 이후에는 유선시스템과 동일하게 데이터가 수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발된 시스템을 활용하면, 약 25%(4시간)의 공기단축과 약 3~52%(8~119만원) 수준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섯째, 피복케이블 운반과 같이 위험한 작업환경인 사면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작업들 중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원의 안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IoT환경에 최적화된 센서를 사용하지 못하였고, 센서노드의 수가 적다는 점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