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7초

IoT 환경의 단말 인증 시스템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in IoT environment)

  • 강동연;전지수;한성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97-102
    • /
    • 2023
  • IoT는 전통적인 정보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홈, 스마트 해양, 스마트 에너지나 스마트 팜 등 많은 융합 IT 분야에서 IoT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IoT 기반 정보 서비스의 서버에 대하여, 지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oT 단말은 신뢰된 객체이다. 그래서 악의적 공격자는 인가되지 않은 IoT device를 사용하여 IoT 기반 정보 서비스 접근, 인가되지 않은 중요 정보에 접근 후 이를 변조하거나 외부에 유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IoT 기반 정보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IoT 단말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IoT 단말 인증 시스템은 MAC address 등의 식별자 기반 인증을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IoT 단말 인증 기능을 사용하면, 인증된 IoT 단말만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인가 IoT 단말의 세션을 종료하는 방식을 적용하므로, 보다 안전한 단말 인증 방식인 접근 차단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D-PASS: 스마트 기기 사용자 인증 기법 연구 (D-PASS: A Study on User Authentication Method for Smart Devices)

  • 정유선;최동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915-922
    • /
    • 2017
  • 모바일 스마트 기기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스마트 기기의 활동 범위를 크게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는 기존의 모바일 기기와 달리 기기 사용자의 다양한 비밀 정보를 관리 사용하고 있어 높은 보안요구사항을 갖는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하는 인증 기법들은 최근의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보안 공격 유형들 중 사회 공학 공격에 해당하는 엿보기, 레코딩, 스머지와 같은 공격에 취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는 사회공학 공격에 강인하면서도 충분히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그래픽 기반 인증 기법과 텍스트 기반 인증 기법을 혼합 적용하여 보안 안전성이 높으며 여타 그래픽 기반 기법과 달리 암호의 기억이 용이하다.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금융계좌 잠금 및 해제 인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ew Authentication Method in Financial Accounts to Lock and Unlock Using the Smart-Devices)

  • 김광진;이성중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1-28
    • /
    • 2012
  • 본 연구는 종래 전자금융거래의 인증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OTP단말기 보급의 한계점을 해소하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유지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미 2000만대 이상 보급된 스마트 폰과 일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전자금융거래에 대해 인증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인증방법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Lock-Unlock 인증방법은 전자금융거래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는 모든 전자금융 사고거래(피싱, 해킹, 단순 공인인증서 및 OTP 도용, ATM 인출, ARS 인출 등)를 차단할 수 있는 인증 방법이다. 제시된 연구결과를 이용하면 실제 금융거래시 사고거래를 최소화하고 전자금융거래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USIM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USIM Information)

  • 이진우;김선주;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71-578
    • /
    • 2017
  •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 및 개인 PC를 통해 정보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정당한 사용자임을 증명해야한다. 이때 사용되는 사용자 인증 기술에는 ID/PW 기반 인증기술, OTP(One-Time-Password), 인증서, 보안카드, 지문인식 등 다양하다. 그 중에서 ID/PW 기반 인증기술은 사용자에게 익숙하지만 무작위 대입공격, 키로깅, 사전공격 등의 패스워드 공격에 취약하며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는 복잡한 패스워드 조합 규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패스워드를 변경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ID/PW 기반 인증 기술보다 보안성을 높이면서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의 USIM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산업용 자동화 장비를 위한 스마트 제어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the Smart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Automation Equipment)

  • 김보헌;김황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77-684
    • /
    • 2017
  • 스마트 기기는 휴대하기 편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이 개발이 쉬운 장점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용 장비 분야에서는 장비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보안 문제 및 원격지에서 장비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경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과 스마트 제어 시스템을 산업용 자동화 장비에 적용할 경우 장점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장비 조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해 질의를 이용한 매뉴얼 조작 방법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장비 제어 시 스마트 제어 접근 허용 절차를 제안하였으며, 통신 데이터 보호 및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 다중 암호화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과 단말기 고유 정보 및 Q&A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제안하였다. 구현된 스마트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스마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 실험과 사용자 인증 비교 실험을 하였으며, 장비에 적용 시 장점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에서 스마트 제어 시스템은 티칭 팬던트 보다 편리하게 티칭 조작이 가능하였고, 다양한 정보 취득과 하드웨어 조작이 가능하였다. 또한, 스마트 제어 시스템 적용 시 장비의 에러 조치 시간을 약 13% 단축할 수 있었다.

스마트 홈 환경에서 디바이스 상호 인증 및 키 관리 기법 (Device Mutual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Technique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 민소연;이재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61-667
    • /
    • 2018
  • 최근 무선 통신 기술과 센서 디바이스들의 발달로 스마트 홈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디바이스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환경은 지능형 서비스를 위해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다양한 디바이스를 제어해야 하고, 이기종 간의 통신을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과 함께, 스마트 홈 환경에서는 다양한 보안 위협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 프루프 포인트와 HP에서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의 피해 사례 및 보안 취약점의 심각성에대해 경고하였으며, 다양한 환경에서의 침해 사례가 발표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홈에서 사용하는 스마트 노드들 간의 안전한 상호인증 기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하는 논문의 경우 보안성 평가를 통해 스니핑, 스푸핑, 디바이스 상호 인증, 중간자 공격, 무결성 등 사물인터넷 환경과 센서 디바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잘 알려진 취약점에 대해 난수와 수시로 갱신되는 세션키 및 비밀키를 이용하여 안전함을 검증하였다. 또한, 기존에 연구된 사물인터넷 보안 프로토콜과의 비교를 통해 보안성 및 키 관리 측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안전한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그룹키 관리 기법 (Group Key Management Method for Secure Device in Smart Home Environment)

  • 류호석;곽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79-487
    • /
    • 2015
  • IT 발전에 따라 스마트홈 서비스는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 서비스, 모니터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홈 환경에서는 악성 디바이스를 통한 데이터 위 변조, 불법 인증, 프라이버시 침해 등과 같은 보안 위협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보안 위협들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보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연구는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그룹키 관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홈 환경에서 안전한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그룹키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스마트카드 가상화(ViSCa) 플랫폼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안 및 타 사례와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iSCa Platform-based Mobile Payment Service with other Cases)

  • 이준엽;이경전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63-178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카드 가상화(ViSCa: Virtualization of Smart Cards)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제안하고 타 사례와 비교분석을 한다. 스마트카드 가상화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단말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카드 하드웨어를 가상화하고, 모바일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가상화된 스마트카드에 대한 통합 관리를 목표로 하는 Smart Cards as a Service (이하 SCaaS)이다. 스마트카드 가상화 플랫폼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스마트카드를 가상화하여 클라우드에 저장한 후,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쳐 모바일 클라우드에 저장된 스마트카드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결제한다. 연구 범위 설정 및 사례 선정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진행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분류 방식을 토대로 제안하는 서비스와 관련 있는 특징별, 서비스 유형별 그룹을 도출하였다. 공통적으로 기존 결제수단(신용카드)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저장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하는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그룹은 금융거래정보의 저장 위치에 따라 앱과 연결된 서버에 저장하는 '앱 방식'과 모바일 기기 내부의 보안요소(Secure Element, SE)에 금융거래정보가 담긴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칩을 탑재하는 '모바일 카드 방식'으로, 2 가지 서비스 유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채택 요인 및 시장 환경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경제성, 범용성 보안성, 편리성, 응용성, 효율성, 총 6가지 비교분석을 위한 평가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스마트카드 가상화 플랫폼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와 도출된 그룹에서 선정된 사례 5 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피싱에 안전한 메신저 인증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ssenger Authentication Protocol to Prevent Smartphone Phishing)

  • 유병석;윤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9-14
    • /
    • 2011
  • 피싱(Phishing)은 사용자 또는 기기를 가장하여 사용자 신분을 도용하는 공격이다. 최근 스마트폰 및 메신저 프로그램 보급에 따라 그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음성 통화, SMS와 같은 고유 기능 외에 무선네트워크 기반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카오톡, 네이트온과 같은 메신저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구성되며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 상호 인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피싱 공격에 안전한 메신저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보호하기 위하여 메시지 암호화 기능과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복약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인증 방법 (A Multi-User Authentication Scheme for a Smart Medication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 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571-578
    • /
    • 2015
  • 장기 투약이 필요한 만성질환자에 대해서는 직접복약관리가 가장 확실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인적, 경제적 비용으로 인하여 실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IT기술 기반의 스마트 복약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의 구현을 위해서 특별한 장치의 도움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개발된 스마트 약상자를 여러 환자가 공유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증 절차를 통해서 스마트 약상자가 장기 투약이 필요한 환자로 하여금 올바르게 약을 복용하도록 하여 완치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