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ort Index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5초

스마트 항만의 개념과 스마트 항만 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Port Concept and Smart Port lndex)

  • 차재웅;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7-198
    • /
    • 2019
  • 선박 초대형화로 인해 기항지가 감소하고 글로벌 환경규제 시행이 본격화됨에 따라 글로벌 항만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글로벌 항만들은 미래에 항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스마트 항만으로의 전환을 전략적이고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아직 스마트 항만 추진에 대한 정부 계획 및 프로젝트가 구체화되지 않고 있으며, 관련 논문 및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항만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스마트 항만 관련 기술 및 도입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세계 주요 항만별 스마트화 수준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스마트 항만 지수(SPI)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 PDF

선박동적영역과 충돌위험평가식을 결합한 항해위험성평가모델 전개 (Establishment of Navigational Risk Assessment Model Combining Dynamic Ship Domain and Collision Judgement Model)

  • 김원욱;김창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6-42
    • /
    • 2018
  • 이 연구는 운항자가 항해 중 위험을 느끼는 고정 및 이동 물표에 대한 해상교통위험성평가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박 길이와 속력, 선박조종성능이 고려된 동적선박영역을 기초로 한 충돌위험평가식을 구하였다. 특히, 동적선박영역과 충돌위험평가식을 하이브리드 결합하여 자선의 크기, 속력 등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지표화한 항해위험성평가모델을 검토 및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기존 항해위험성평가 모델에 적용이 부족한 속장비(speed length ratio) 즉, 선박의 길이와 속력에 대한 비가 고려된 새로운 형태의 해상교통위험성평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결과 무차원 속력 즉, 속장비가 클수록 CJ 값이 크며, CJ 값은 속장비에 의해 잘 표현되고 있다. 또한, 속장비가 크면 속장비가 작은 경우보다, 보다 먼 거리에서부터 [주의], [경계], [위험] 또는 [매우위험]상태에 도달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위험항로 회피 또는 최적항로 구축, 방파제폭이나 교량경간 등을 포함한 항로나 항만개발, 연안항해용 안전해도 개발 및 향후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스마트선박의 운항 중 충돌방지와 최적항로 선정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