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 Field Practicu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사회복지과 학생의 현장실습을 통한 지역사회복지의 주체적 참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participation plan in community welfare by the medium of the field practicum for social work student in undergraduate courses)

  • 이재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8권
    • /
    • pp.163-182
    • /
    • 2006
  • In social welfare arena field practicum has been an essential instrument and method for social work students to get socialized to the social work professional. However, to whom involve in the actual field practicum-universities(or colleges), institutes - have some difficulties. On the base of community welfare is a clinical approach in this times. To strengthen community welfare policy, the beginning of community welfare committee is such a good opportunity to tackle the problems of the field practicu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oblem of the field training are 1) a guidance of an individual social work institute, 2) the lack of social work institute, 3) the absence of the trainee's sense of values, 4) the bad conditions of the field practicum for social work students in undergraduate courses at the university(or college), and 5) the lack of professionalism for supervisor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ocial work suggestions to vitalize field practicum in community welfare. It is more likely important to 1) make the law of the field practicum for undergraduate social work courses, 2) make the coordinated programs of the field practicum for undergraduate social work course in community welfare, 3) enlarge the opportunity that a field specialist take further education, 4) support and carry of supervisor reeducation, 5) make the program development of trainee's personal experiences in social work values, and 6) social work professors make a practice in the social work field.

  • PDF

사회복지실습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처 (Stress and Stress Coping that Students Experienced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 김희수;안정선;배진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740-75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복지실습지도 현황과 학생들의 실습스트레스 및 대처를 파악하고, 실습지도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에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경험하고 수업을 수강한 서울 및 경기북부 4개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개 설문분석 결과, 실습생은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실습환경, 실습업무부담 영역의 순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보고하였고,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있어서는 문제해결중심, 사회적지지 추구, 회피중심 전략 순으로 활용하였다. 실습경험에 따른 실습스트레스의 차이에 있어서는 현장체험 유무, 봉사시간, 실습사전교육 참여 유무에 따라, 그리고 슈퍼비전의 정기성과 빈도, 전공 만족도, 실습 및 슈퍼비전 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습교육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현황과 방향에 관한 연구 -사이버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Direction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 - Focused on Cyber University -)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97-211
    • /
    • 2018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사이버대학교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을 지도한 11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질적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현황을 학생, 학교, 실습기관, 제도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학생의 노력, 학교의 노력, 실습기관의 노력,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노력, 제도적 정비, 사회복지실습지도교수의 노력 등으로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 학교, 실습기관 등은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교육, 일관성 있는 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가 단순한 자격을 가진 직업인이 아니며, 철학과 가치와 이념을 지닌 전문가임을 되새겨야 한다.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학교는 사회복지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현장 감각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교육과정과 교수법을 갖추어야 한다. 학생은 사회복지사가 미래를 위한 막연한 투자의 일환으로 자격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위한 최상의 복지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사회복지사로서의 소명을 다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전문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적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기관은 학생들이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생생한 사회복지현장을 경험을 하며 이론과 실천을 통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100만 사회복지사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빛나는 미래를 열기 위해 예비사회복지사인 학생, 사회복지인을 양성하는 대학교, 실천현장을 경험할 수 있는 실습기관, 제도를 구축하는 정부가 함께 내실 있는 사회복지현장 실습교육이 될수 있도록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대학생의 권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학습권 및 노동권의 측면에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ights of Students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the aspect of the rights to learn and the rights to work-)

  • 김수정;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147-174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실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실습생으로서의 권리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학습권 및 노동권 관점에서 이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인터뷰(FGI)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총 19명의 실습생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권리인식은 총 5개의 범주 및 18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및 실습기관은 실습생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거나 미흡하였다. 둘째, 실습참여 학생들은 실습 현장에서 훈련생이자 노동자로서의 이중적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실습생들은 훈련생으로서 적절한 지도와 교육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실습생들은 현장에서 실질적인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당한 보상 및 안전문제 노출시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해 불안함과 부당함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실습생의 권리보호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실습기관 및 학교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학생들의 권리보호를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 Related Factors on Empowerment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박순미;손지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58-569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대학에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3.71점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을 실습생 개인 요인, 실습기관 요인, 학교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습생 개인요인에서는 실습수행도(${\beta}=.123$, t=2.405, p<.05), 실습기관 요인에서는 실습슈퍼바이저 만족도(${\beta}=.176$, t=2.446, p<.05), 학교 요인에서는 실습수업 만족도(${\beta}=.284$, t=5.061, p<.001) 등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생 개인 요인, 실습기관 요인, 학교 요인을 모두 고려할 경우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실습수업내용 만족도(${\beta}=.257$, t=4.495,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수퍼비전에 대한 실습지도교수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Faculty Field Liaison on the Social Work Practicum Supervision)

  • 장수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235-255
    • /
    • 2010
  • 성공적인 실습교육은 체계적인 수퍼비전에 기반하여야 하며, 실습수퍼비전은 학교와 현장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상호 긴밀한 의사소통의 바탕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퍼바이저와 함께 현장실습의 주축이 되는 실습지도교수를 대상으로 이들의 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 실습지도교수들은 수퍼비전의 내용에 대해 "사회복지사의 태도 및 마인드 강조형", "전문 지식 및 실습생의 자기 이해 강조형", "다양한 체계개입에 필요한 실천기술 강조형" 등 3 가지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교육과 실천에서의 함의를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교과목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실습에서 활발한 역할을 하지 못했던 실습지도교수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학교와 현장의 연계 중요성을 논의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질 것이다.

  • PDF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 특성이 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ervision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th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12-222
    • /
    • 2012
  • 사회복지전공생은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전문적 역량과 실무적 지식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로서의 적성과 자질을 검토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 특성이 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사회복지현장실습을 마친 대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슈퍼바이저의 상당수는 여성이고, 슈퍼비전은 정기적으로 집단 혹은 개별과 집단이 혼합된 형태로 제공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평가한 슈퍼바이저와의 관계는 3.20/4, 슈퍼비전 만족도는 3.03/4 정도이지만, 진로정체감은 5.80/12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정체감에는 슈퍼바이저가 부장급으로 높을수록, 실습생이 원할 때 언제라도, 방법적으로 집단 슈퍼비전 보다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슈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슈퍼비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사회복지 실습지도교수와 현장수퍼바이저의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 비교 (The Perception of Faculty Field Liaisons and Field Instructors on the Supervision of Social Work Practicum)

  • 장수미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371-397
    • /
    • 2011
  •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교육의 핵심요소로서, 이론과 실천의 통합, 전문성과 현장성 증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현장실습은 대학에서 개설되지만 실습기관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목의 특성상, 교육의 효과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실습활동에 대한 대학과 현장의 기대가 일치해야 하며, 양측의 유기적인 협력 및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실습교육은 현장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에 거의 의존하고 있으며, 실제로 교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실습지도교수의 역할은 크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에 중요한 축인 실습지도교수와 현장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을 Q방법론을 활용하여 그 유형을 도출하고, 비교해보았다. 연구결과,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하여 실습지도교수는 3가지 유형, 현장수퍼바이저는 2가지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양측의 인식유형은 상반되기보다는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함의와 함께 추후 연구문제가 제안되었다.

여성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Difficulties that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Cyber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nd Support Plan)

  • 배진형;박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0-74
    • /
    • 2016
  • 최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 사회복지전공생의 증가와 더불어 필수과목인 사회복지실습에서의 경험탐색을 통한 적절한 실습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들이 사회복지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실습을 마친 G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생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개별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의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한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하는 사회복지실습에서의 어려움은 49개의 개념, 18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로 최종 분석되었다. 범주는 다양한 장애요인으로 인한 실습 진입의 어려움, 북한과의 차이로 인한 혼란, 기대와 다른 과업과 역할 수행, 부담되는 인간관계, 복지적 전문역량 부족감, 불가피한 환경적 어려움, 그리고 개인적 고충상황이었다. 이를 근거로 이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을 위한 지원방안을 학교, 실습기관, 실습생과 사회의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Instruction Related Factors Influencing on the Social Work Students' Practice Performance)

  • 정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327-35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직접실천기관에서 실습을 이수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습지도 실태 및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수퍼비전 정도는 4점 척도에서 평균 2.6(표준편차 .5), 실천수행능력은 11점 척도에서 평균 56.7(표준편차 1.7)점으로 나타나, 모두 거의 중간수준으로 응답했으며, 수퍼비전 요인 가운데 이론과 실천의 통합에 대한 지도와 지지적인 사적 관계 형성 요인이, 그리고 실천수행능력 요인 가운데 개입기술 능력과 사례관리 능력 요인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수퍼비전과 실천수행능력의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수행능력은 수퍼비전 요인 가운데서도 이론과 실천의 통합에 대한 지도가 많을수록, 기관 업무에 대한 지도가 많을수록, 학습계약에 대한 논의를 많이 하고 수퍼비전 시간이 많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실습생이 여성일 경우, 그리고 수퍼바이저의 수퍼바이저로서의 경력이 적을수록 실천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과 기관에서 협력하여 실습지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또한 궁극적으로 사회복지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 및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