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d Model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1초

로봇 프로그래밍을 위한 GUI와 CAD의 응용 (GIROB : Graphic User Interface for Robot Programming)

  • 김재정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3권6호
    • /
    • pp.199-211
    • /
    • 1995
  • As international market pressures increase, product life cycles are becoming shorter at same time requirements for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are becoming higher. Major improvement in robot programming user interface is central to increasing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for automatic manufacturing environments. New computer technologies have the potential to accomplish this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system which proves that interactive computer graphics and geometric modeling have matured to the point where their artful application into an integrated system can rsult in radically new and powerful user interface for robot programming. With the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the system efficiently utilizes the existing CAD data and gemetric modeling techniques for off-line programming and simulations. Also the system successfully generates robot control programs performing the desired tasks given through off-line programming.

  • PDF

3 차원 가정변형률 솔리드 요소를 이용한 압전 작동기/감지기 해석 (Papers : Three - dimensional assumed strain solid element for piezoelectric actuator/sensor analysis)

  • 조병찬;이상기;박훈철;윤광준;구남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7-7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18절점 가정 변형률 솔리드 요소를 이용하여, 기계적 물리량과 전기적 물리량이 완전히 연성된 정적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유한요소 정식화 과정을 유도하였다. 요소 결점의 축방향 변위 자유도 외에 전기 자유도를 추가하여 주어진 변위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가정 변형률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박판형 구조물을 모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잠김현상을 해소하였다. 유도된 유한요소 정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몇가지 수치예제에 적용하여 작성된 코드를 검증하였다. 본 요소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변수가 THUNDER의 작동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특정한 재료와 곡률을 갖출 경우 THUNDER의 작동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브레이드 투루젼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섬유강화 복합재료 리바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Fiber Reinforced Plastics Rebar for Concrete Structure by the Braidtrusion Process)

  • 최명선;한길영;이동기;심재기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9-205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methodology, manufacturing process, rebar tensile and bending properties. Braidtrusion is a direct Composite fabrication technique utilizing an in-line braiding and pultrusion process. The produced Composite rebar exhibits ductile stress-strain behavior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steel bar. Various rebar diameters ranging from modeling scale(3m) to full-scale prototype of 9.5mm have been produced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GFRP) rebar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at $\phi$8.5mm and $\phi$9.5mm nominal diameters of soild and hollow type using a braidtrusion process. Tensile and bending specimen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behavior of stress-strain of GFRP rebar and steel bar.

  • PDF

ACIS 솔리드 모델러를 이용한 STEP기반의 강교량정보 운용체계 (STEP-based Information Management of Steel Bridge Using ACIS Soild Modeler)

  • 이상호;정연석;김소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1-376
    • /
    • 2004
  • This study presents a way to generate and manage engineering information by applying steel bridge information model with 3D shape to existing application program. ACIS solid modeling kernel is used to visualize 3D geometric shape of steel bridge on the AutoCAD program. The shape information of 3D solid model can be connected to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of steel bridge by an application module based on information model. The application module for manipulating steel bridge information can be easily developed by ObjectARX programming library supporting functional expansion of AutoCAD program. End-users can use the application module without any additional environmental setup on the AutoCAD. Thus this study facilitates information management of steel bridge by using ACIS solid modeler and ISO/STEP methodology.

  • PDF

The Interpretation of Separation Mechanism of Ridge-Cut Explosive Bolt Using Software Simulation Program

  • Lee, Y. J.;Kim, D. J.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2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32-543
    • /
    • 2004
  • The present work have been developed the interpretation processor including the behavior of material failure and the separation phenomena under transient dynamic loading (the operation of explosive bolt) using AUTODYN V4.3, SoildWork 2003 and TrueGrid V2.1 program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interpretation in ridge-cut explosive bolt under dynamic loading condition should be necessary to the appropriate failure model and the basic stress of bolt failure is the principal stress. The use of this interpretation processor developing the present work could be extensively helped to design the shape and the amount of explosives in the explosive bolt having a complex geometry. It is also proved that the interpretation processor approach is an accurate and effective analysis technique to evaluate the separation mechanism in explosive bolts.

  • PDF

해석프로시져를 이용한 리치컷형 폭발볼트 분리기구 해석 (The Interpretation of Separation Mechanism of Ridge-Cut Explosive Bolt Using Simulation Programs)

  • Lee, Yeung-Jo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2-114
    • /
    • 2004
  • 리치컷형 폭발볼트 모델에서, 3차원 솔리드 모델링을 통한 형상모델의 작성, 요소분할 방법, 경계조건의 부과 및 해석방법. 계산결과의 처리 등 폭발볼트의 수치해석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정립하고, 해석결과와 이미 수행된 시험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볼트의 파손해석에 사용될 수 있는 파손모델과 파손응력을 선정하였다. 해석에는 볼트의 파손응력을 결정할 때 사용한 모델과, 시험결과와 해석결과로부터 설정된 파손모델의 타당성 평가를 위한 추가 모델들을 사용하였으며, 정립된 해석 프로시져의 적용으로 기존에 의존하였던 성능시험 평가 횟수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른 개발기간의 단축도 함에 고려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폭발볼트 설계할 때 어려운 점으로 여겨졌던 폭발볼트의 최종 성능에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의 영향을 쉽게 평가할 수 있어, 이러한 설계능력향상, 시제품 제작 횟수의 감소, 개발기간의 단축 등은 최종적으로 시제개발 원가절감의 효과를 갖다 줄 것으로 판단된다.

빔요소와 Rigid 링크를 이용한 수평하중에 대한 말뚝 거동 3차원 유한요소해석 (3D Finite Element Analysis of Lateral Loaded Pile using Beam and Rigid Link)

  • 박두희;박종배;김상연;박용부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3호
    • /
    • pp.271-277
    • /
    • 2013
  •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거동 예측에는 일반적으로 비선형 p-y 곡선을 이용한 BNWF(Beam on Nonlinear Winkler Foundation) 해석법이 주로 사용된다. BNWF 해석법은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정확성이 입증된 반면 군말뚝의 경우 p-multiplier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단점은 유한요소 또는 차분법의 사용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 방법 적용 시, 지반과 말뚝은 솔리드 요소로 모델링된다. 하지만, 말뚝을 솔리드 요소로 모사하게 되면 회전 자유도가 없어 정확성이 감소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요소의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켜야 하지만 3D 해석에서 요소 수의 증가는 막대한 연산시간이 요구되므로 적용에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는 빔요소와 Rigid 링크를 이용한 말뚝 모델링 방법을 구축하였으며 이의 적용성을 현장시험결과와 BNWF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사용된 해석 프로그램은 지진공학용으로 개발된 OpenSees이다. 비교 결과, 빔요소와 Rigid 링크를 이용한 방법은 비교적 정확하게 현장시험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이 방법은 군말뚝의 해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소기체로부터 CO2 회수를 위한 건식 유동층 흡수-재생 공정의 고체순환 모사 (Modeling of Solid Circulation in a Fluidized-Bed Dry Absorption and Regeneration System for CO2 Removal from Flue Gas)

  • 최정후;박지용;이창근;조성호;손재익;류청걸;김상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86-293
    • /
    • 2005
  • 기체 수송층 흡수탑과 기포 유동층 재생탑으로 구성된 $CO_2$ 회수 공정에 대한 해석의 첫 단계로 이 공정에서 고체 순환특성을 해석하였다. 흡수제 고체 입자에 대한 입도별 물질수지를 해석하여 공정의 흐름에서 고체 흐름량과 입도 분포를 결정하였다. 실험실 규모 공정(흡수탑: 직경 25 mm, 높이 6 m; 재생탑: 직경 0.1 m, 높이 1.2 m)에서 고체순환특성을 모사하였다. 흡수탑의 입도분포는 재생탑의 입도분포와 거의 같았다. 흡수탑에서 유속과 정체층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고체순환량과 새 흡수제 주입량은 증가하였다. 반면에 흡수탑 내 입자의 평균입경은 감소하였다. 흡수탑사이클론의 절단입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고체순환속도는 감소하였으며, 새 흡수제 주입속도와 흡수탑 내 입자의 평균 입경은 증가하였다. 흡수제 입자의 마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고체순환속도는 증가하고, 새 흡수제 주입속도는 증가하며, 흡수탑 내 입자의 평균입경은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