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arman%27s rank correlation analysi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Family resilience and caregiver's well-being across different age groups of children with ADHD in the United States: a cross-sectional study

  • Dian Susmarini;Do Thi Ninh;Hyewon Shi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97-107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on caregiver well-being across various age groups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groups (0-5, 6-11, and 12-17 years). Methods: Utilizing secondary data from the 2022 US National Survey of Child Health, this cross-sectional study involved 2,752 children who were formally diagnosed with ADHD.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analysis, Spearman's rank correlation, chi-square tests, and linear regression,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7. Results: The study reveal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r=.35, p<.001)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caregiver well-being. Controlling for covariates, family resilience accounted for 25.2%, 21.1%, and 22.1% of caregiver well-being variance in age groups 0-5, 6-11, and 12-17 years, respectively. Additionally, factors like employment status, family structure, and caregiver age showed varying influences on caregiver well-being across these developmental stages. A consistent pattern emerged across these age groups: unemployment and non-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were associated with negative impacts on caregiver well-being, whereas older caregiver age positively influenced well-being. Conclusion: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ge-specific family resilience strategies to improve caregiver well-being and family interactions in ADHD contexts. Investigating these aspects through qualitative studies across various cultures coul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well-being and inform culturally sensitive interventions.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mong Hemodialysis Patients

  • Minhee Cho;Hyunjoo Na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7권1호
    • /
    • pp.11-20
    • /
    • 2024
  • Purpose: Advance directives (ADs) are legal documents that outline a person's preferences or decisions regarding end-of-life care ahead of time. In Korea, there is insufficient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ADs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a good death, knowledge about ADs, and attitudes toward ADs in this patient popula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urvey enrolled 119 hemodialysis patients from a secondary hospital in 2021.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mong hemodialysis patients was 2.80 out of 4, with clinical symptoms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he average scores for knowledge about ADs and attitudes toward ADs were 5.69 out of 9 and 2.79 out of 4,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ADs (r=0.34, P<0.001), as well as between knowledge about Ads and attitudes toward ADs (r=0.19, P=0.037).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Ads included employment status (β=0.22, P=0.011), education level (β=0.22, P=0.013), and perceptions of a good death (β=0.29, P=0.001), which accounted for 24.8% of the variance in attitudes toward ADs. Conclusion: A positive perception of a good death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as associated with a positive attitude toward ADs.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to improve individuals' understanding of a good death and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end-of-life care plans.

한국 젊은 성인의 정규화된 아치 높이에 따른 발 유형 분석 (Analysis of Foot Type in Korean Young Adults Based on Normalized Arch Height)

  • 정도영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9-205
    • /
    • 2020
  • Background: The classification of foot type can be commonly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media longitudinal arch. The normalized arch height (NAH) is defined as the ratio of navicular or instep heights to the foot length or instep length. Obj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foot characteristics, such as foot length (FL), instep length (IL), navicular height (NH), and instep height (IH), in Korean young adults. Also, the distribution of foot type based on calculated NAH was assessed. Methods: Three-dimensional foot scanning data of young adults aged 20 to 39 years (total: 1,978; 974 male, 1,004 female)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Technology Standards Institute, and used for analyses. NAH was calculated as the following: NH/FL, IH/FL, IH/IL, NH/IL. Spearman's rank order correlation was used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The Mann-Whitney U-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sex differences in foo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foot type. Results: FL and IL showed a very high correlation (r = 0.94). The correlations between FL or IL and IH (r = 0.50-0.57) were greater than those between FL or IL and NH (r = 0.23-0.72). Males had significantly larger values than females (p < 0.001), and the frequency of pes plan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χ2 = 50.09, p < 0.001). Based on the IH/IL index, the neutral foot, pes planus and pes cavus distributed by 16%, 78%, and 6% respectively. Conclusion: Our results on foot arch distribution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clinical or footwear fields, and our data on differences in arch structure according to sex may facilitate understanding of why injury to the lower limbs differs between males and females.

대학도서관의 외국학술지 평가모형 개발을 위한 평가지표 분석 (Analysis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s of Foreign Academic Journals)

  • 김신영;이창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5-67
    • /
    • 2004
  • 본 연구는 인쇄잡지 중심의 소장 패러다임 대 전자잡지 위주의 접근 패러다임이 대립하는 상황에서 대학도서관의 하이브리드형 학술지 수집정책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평가요소를 분석하여 한국적 실정을 고려한 외국 학술지의 평가모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학술지 수집규모 상위 40개 대학도서관의 외국학술지 선정과정에서 예비평가지표(인쇄형 27개, 전자형 37개)의 적용도를 조사하고, 그 데이터를 다양한 통계적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인쇄학술지 평가지표의 요인별 상대적 중요성은 응답 평균값으로 산출하였는데 그 결과는 학과당 구독종수, 이용도, 선정권한, 전자학술지 구독조건, ISI 영향지수, 국제성과 지명도, 구독가격, ILL/DDS 수장공간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자학술지는 구독가격, 접근성, 전자학술지 구독조건, 컨소시엄, 선정권한, 접근확장성, 학과당 구독종수, 대학의 학문적 특성, ISI 영향지수, ILL/DDS 국제성과 지명도 순으로 나타났다.

실트펜스와 식생밭두렁 적용을 통한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포장실험 연구 (A Plot Scale Experiment to Analysis the NPS Reduction by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for Non-Irrigated Cropland)

  • 김성재;박태양;김성민;장정렬;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4호
    • /
    • pp.19-2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ollutant reduction effect by the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through field monitoring. The experiment plots were established with two replication and three treatments. Each plot was designed with 5 m width, 22 m length, and 3 % slope. Flumes with the floating type stage gages were installed at the outlet of each plot to monitor the runoff. For a rainfall monitoring, tipping bucket rain gage was installed within the experiment site. Cultivated crops were spring daikon and autumn chinese cabbage. Analysis of variance (ANOVA) indicated that the water quality concentration from three experiment plo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5 % of significant level. The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ollution loads reduced by silt fence compared to control were SS 75.33 %, TN 40.87 %, TP 56.58 %, BOD 52.12 %, COD 36.07 %, TOC 34.99 %; by vegetated ridge compard to control were SS 65.27 %, TN 81.80 %, TP 54.26 %, BOD 67.09 %, COD 46.55 %, TOC 43.30 %. Analysis of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BOD-SS and SS-Turbidity were highly related at the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plots. In all plots, SS-Turbidity and TP-TN relations were relatively high. The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were effect method to reduce the pollutant loads from the field runoff. Long-term monitoring is required to obtain more quantitative reduction effect for diverse crops an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results.

고라니 서식지 분석을 위한 기계학습식 종분포모형 비교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 송원경;김은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1-180
    • /
    • 2012
  • 야생동 식물 서식지 보전 연구는 통합적인 생물다양성 관리 전략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종조사자료 및 환경공간정보 여건을 고려할 때 종출현정보에 최적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GARP 모형과 Maxent 모형이 서식지 분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충청도 삽교천 일원을 대상으로 고라니($Hydropotes$ $inermis$ $argyropus$)에 대한 기계학습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종출현지점은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변수는 문헌조사를 통해 10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Maxent 모형과 GARP 모형은 각각 전체 면적의 16.3%, 27.1%를 고라니 서식지로 예측하였다. 종분포모형 정확도(훈련/검증)는 Maxent 모형(0.85/0.69)이 GARP 모형(0.65/0.61)보다 높게 분석되고 Spearman 순위 상관계수 역시 Maxent 모형(${\rho}$=0.71, p<0.01)이 GARP 모형(${\rho}$=0.55, p<0.05)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대상지의 특성과 대상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강화지역 청소년의 4년간 혈청 지질의 변화와 지속성 (Four-year change and tracking of serum lipids in Korean adolescents)

  • 이강희;서일;지선하;남정모;김성순;심원흠;하종원;김석일;강형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1호
    • /
    • pp.45-59
    • /
    • 1997
  • 소아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 혈청 지질의 지속성(tracking)은 서구에서 행해진 연구들에 의해서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혈청 지질치의 변화를 조사하고 지속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강화군에서 진행하고 있는 강화 아동 혈압 코호트(719명)의 청소년들로 12세, 14세, 16세 세 번에 걸쳐서 공복 후 혈액검사(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을 포함)와 신체계측을 시행하였다. 이 중 3번의 혈액 검사에서 10시간 이상의 공복이 확인된 청소년 309명 (남자 162명, 여자 14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청소년들과 연구대상에서 제외한 청소년들의 12세때 초기 검사치들을 t 검정을 이용하여 서로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방법은 우선 혈청 지질치의 변화양상을 보기 위하여 각 검사 년도간에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혈청지질의 지속성을 보기 위해서는 첫께, 초기값을 바탕으로 사분위 집단으로 나누어 각 사분위 집단의 혈청지질치가 매 검사 연도마다 어떻게 변하는 지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혈청지질치의 검사 시기사이의 스피어맨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검사 년도의 혈청지질치를 사분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초기검사에서 가장 위험도가 큰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위험도가 큰 집단에 속하는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모두 4년간 세 번의 검사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초기검사에서 $160.7{\pm}25.3mg/dl$, 최종 추적검사에서 $150.0{\pm}27.8mg/dl$, 여자가 초기검사에서 $168.8{\pm}29.7mg/dl$, 최종 추적검사에서 $168.8{\pm}29.7mg/dl$, 중성지방은 남자가 $98.0{\pm}45.7mg/dl$에서, $114.1{\pm}67.9/mg/dl$로, 여자가 $109.9\geq37.1mg/dl$에서, $104.9{\pm}47.6mg/dl$로, LDL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93.6{\pm}21.2mg/dl$에서, $83.0{\pm}25.0mg/dl$로 여자가 $83.0{\pm}25.0mg/dl$에서, $94.7{\pm}24.4mg/dl$로, HDL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47.6{\pm}9.1mg/dl$에서, $44.2{\pm}9.4mg/dl$로, 여자가 $48.8{\pm}10.0mg/dl$에서, $47.8{\pm}11.3mg/dl$ 변화하였다. 반복 측정한 분산분석 결과 남녀 모두 4년 동안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남자 LDL 콜레스테롤은 두 번의 추적검사에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은 남자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연령에서 남녀간의 각 혈청지질치를 비교해보면 중성지방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더 컸다. 혈청 지질의 초기 검사와 최종 검사간의 스피어맨 상관분석과 각 혈청 지질치의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집단에 잔류하는 백분율을 보면 지속성이 존재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에서 각 시기의 검사치들의 상관계수는 남자가 0.6 이상, 여자가 약 0.7 이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첫 번께 검사에서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 집단에 속한 사람 중 두 번째 검사에서도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 집단에 속한 백분율은 여자의 중성지방(42.9%)을 제외하고는 모두 50%이상이었다. 이들이 세 번째 검사에서도 같은 사분위 집단에 잔류한 백분율은 여자의 중성지방(25.7%)을 제외하고 모두 35%이상이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기의 혈청 지질치는 지속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4년 동안의 변화이고 성인까지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