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Teacher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4초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대한 융복학적 연구 (A Convergent Study on the Teacher Aide System in Special Education)

  • 조홍중;김태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97-30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특수교육보조원제도 운영 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연도별 특수교육 통계, 연도별 특수교육연차보고서, 연도별 특수교육 운영계획,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등을 분석하였다.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운영 상 문제점은 첫째, 특수교육보조원 역할의 불명확성, 둘째,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 간의 협력 부족, 셋째, 특수교육보조원 관리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 미비 등이며, 이러한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운영 상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한 법제화,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문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제도, 셋째,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 개발 등이 요구되고 있다.

Features Of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e Role Of The Teacher

  • Klochko, Oksana;Pohoda, Olena;Rybalko, Petro;Kravchenko, Anatoly;Tytovych, Andrii;Kondratenko, Viktor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09-114
    • /
    • 2022
  • The article theoretically analyzed and specified definitions su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ersonality, competence, professional competence of a teacher". Structural component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re defined, namely: theoretical involves deep knowledge in the field of special pedagogy, special psychology; technological involves the use of acquired knowledge in practical activities and personal in which importan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special teacher are noted. Criteria and levels of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e of future special teachers are determined. The article analyzes the peculiarities of the professional activity of a teacher in the conditions of an inclusive educational space, in particular, the special training of a teacher as an integral component of this process. Emphasis is placed on the cooperation of teachers in an inclusiv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socialization of a child with special needs and her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fe.

일반유아교사와 장애전담교사 간 협력교수 유형 적용을 통한 역할인식 (A Study of Teachers' Role Perception of Cooperation Teaching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Handicapped Children)

  • 황미진;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3-17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inclusion class in M Inclusion Day Care Center in Busan. Thirteen sessions of cooperation teaching were applied in the inclusion clas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kinds of change occurred i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role on both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during cooperation teach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ould be suggested that various types of teaching strategies need to be introduced to both teachers from the beginning of inclusion so that the general teac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ould understand each others roles and tasks, share opinions and ideas about daily activities, and experience the roles of the other teacher.

독일의 특수교사 표준양성내용으로 본 한국의 과제 탐색 (A Study of Korea Tasks through Standard Contents of Special Teacher Training in Germany)

  • 남숙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53-84
    • /
    • 2018
  • 독일은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사회구성원들이 연대하여 교육을 위한 책무로 미래교육과 학교의 방향에 대한 협의 및 합의자리를 만들어 교사 및 특수교육 교사양성의 표준과 기준을 제시하며 최소요구이수내용으로 작성하여 권장하는데 이것이 한국의 특수교육교사 양성내용 표준화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교사 및 특수교사 표준양성내용을 한국의 특수학교교사 자격기준, 기본이수과목을 준거로 한 공립 특수학교 교사임용 선정경쟁 시험의 평가영역 및 세부내용, 그리고 2009년 개정고시된 후 세분화된 특수학교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미래교육과 학교 및 교원의 역할에 대해 사회구성원의 연대의식과 책임 및 의무감 조성 필요, 학교 재구조화 과정에서 필요한 교사의 수행능력 및 역량을 특수교육 교사양성 최소표준이수내용에 포함, 교사양성 표준이수내용에 각 주정부(지방 및 지역)의 특수성 고려, 교사양성 표준내용이 직전교사교육, 수습교사교육, 현직교사교육 단계에서 서로 연계 필요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사회전체의 책임과 연대 아래 각 지역의 특수성과 시대 요구를 반영한 특수교육 교사양성내용이 전체(직전부터 현직까지) 직업 생애주의 교사양성과정에서 운영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예비특수교사의 체육교수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xiety Scale for Preservice Special Teacher)

  • 이용국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3호
    • /
    • pp.375-389
    • /
    • 2018
  • 이 연구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들의 체육교수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3단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의 체육교수불안 구성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00명의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예비문항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된 체육교수불안 구성 요인을 바탕으로 100명의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통해 문항들의 이론구조에 적합한지 검증을 통하여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t-test 차이검증을 실시하여 척도의 외적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된 내용을 중심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의 체육교수불안 척도는 수업지식(4문항), 학생이해(4문항), 수업환경(3문항), 수업관리(3)문항으로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사서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5
    • /
    • 2012
  • 통합교육 이념이 법제화되어 일반학교의 특수교육대상자 비중이 확대되었으나 이러한 변화가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 정책에는 거의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이 그 역할을 다하고 학교도서관에 의한 교육적 지원이 학교전체의 특수교육서비스시스템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 실무를 담당하는 사서교사가 특별한 교육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능력을 갖추어야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에서 장애 관련 교과목은 거의 배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의 의의, 통합교육환경에서의 학교도서관의 역할 및 사서교사 교육의 필요성 등을 고찰하고, 국내외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사서교사 교육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통합교육에 대한 사서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대학에서 교육하여야 할 내용을 추출하여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사서교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조직풍토와 교사 소진의 관계: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잠재프로파일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 Burnout: Focusing on the Latent Profile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최현주;장은비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3호
    • /
    • pp.291-316
    • /
    • 2021
  •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유형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각 프로파일에 따라 교사 소진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Mplus 3단계 접근법을 이용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3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잠재프로파일은 5개의 집단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관료지향이 높고 인간지향이 낮은 '폐쇄적 집단', 방관이 높고 친교/헌신/목표지향이 낮은 '방임적 집단', 모든 풍토가 중간 수준인 '평균 집단', 친교/헌신은 높으나 인간지향이 낮은 '통제적 집단', 마지막으로 인간지향은 높고 관료지향/방관이 낮은 '자율적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5개 집단의 교사 소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 소진을 보조변수(distal auxiliary variable)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전체 소진 및 3개 하위요인(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무능감) 모두에서 폐쇄적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자율적 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 소진과 학교조직풍토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기·전자·통신 과목의 출제방안 연구 (Research of a plan setting Second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Test of Electricity·Electronics·Communication Subject)

  • 김진수;노태천;유병로;은태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8-154
    • /
    • 2006
  •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 교육의 질은 국가 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을 실제로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자질 향상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질 높은 교육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능한 교원을 선발하고 임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 변화와 질 높은 교육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교사를 선발하는 임용고시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공업계고등학교의 전기 전자 통신 과목의 임용시험은 기존의 세 분야 교과가 통합되면서 임용시험 문제 출제의 기준이 모호하여 전문교과 평가의 질적 저하가 우려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기 전자 통신 과목의 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교육과정과 제7차교육과정 및 기출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출제영역 비율 및 배점과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내용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검증한 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기 전자 통신 과목의 임용시험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영역에서 출제되며 출제 비중은 교과교육학이 20%, 교과내용학이 80%로 한다. 둘째, 교과교육학의 하위영역은 '공업교육일반', '공업교육과정', '공업교수법', '실기지도법', '실습장조직관리', '공업교육평가', '산학협동교육', '직업 및 진로지도'로 구성한다. 셋째, 교과내용학은 공통전문, 기초전문, 응용전문으로 구성하고, 공통전문분야는 출제 비중이 7.4%, 기초전문분야는 20%, 응용전문 분야는 크게 전기분야, 전자분야와 통신분야로 나누며 각 영역의 출제 비중은 21.3%, 21.3%, 10%로 한다.

특수교사들의 임용시험 실패 요인과 성공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in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Failure and Success Factors in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s)

  • 박미정;남윤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21-23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임용시험에서의 실패와 성공을 경험한 특수교사들의 임용시험 실패 요인과 성공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24명의 특수교사들과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자료의 연속적 비교 분석을 통해 12개의 의미 있는 주제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들은 임용시험 실패 요인을 남 따라 하기식의 공부, 실패를 부르는 공부전략, 무조건 달달 외우기, 비효율적인 스터디, 불안함과 자신감 부족, 내가 나를 관리하지 못함에 두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임용시험 성공 요인을 자신만의 공부 스타일, 올바른 공부전략, 이해와 암기의 조화, 모두가 득이 되는 스터디, 긍정적인 마음가짐, 무너지지 않는 자신만의 루틴에서 찾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임용시험 준비과정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교사의 훈육유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지각 일치도에 따른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and Student - Focused on Special high school -)

  • 구경호;유순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77-98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eachers increase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by comparing between the practical data of a group which have an ac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with another group which have a dis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For this study, 1460 second grade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were selected. And 1273 students and 56 teacher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while 5 questionnaires went uncomplet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compiling statistic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about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were different. Second, the levels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s were different by two group. A group which has an ac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shows the high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an B group which has an discordant perception. Last,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which affects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ifferent by the two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increase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class teachers have to a mutual understanding first, and then approach their students with different discipline style by the level of their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