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nt mushroom compost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셀레늄 강화 팽이버섯과 폐배지의 셀레늄 형태 및 팽이버섯내 셀레늄 축적대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lenium Type and Metabolism of Selenium Accumulation in the Selenium-Enriched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nd Its Spent Mushroom Composts)

  • 이성훈;곽완섭;김완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305-31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and type of seleniwn (Se) in the Se-enriched mushroom and its spent mushroom composts (SMC), and to investigate the metabolism in relation to Se accwnulation in the mushroom. Mushrooms, Flammulina velutipes, used in this study were grown for 60 days by adding 2 rng of inorganic Se (Na2Se03) per kg of mushroom composts (MC) on as-fed basis and were compared with normal mushrooms grown on the non Se-supplemented Me. Total Se contents for Se-treated mushroom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001) by 20-fold (4.51 $\mu$/ g of dry) compared to Se-untreated (0.23 $\mu$/ g of dry). On the contrary, organic Se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P < 0.0001) in the Se-treated mushroom (72.3 %) than the Se-untreated one (100 %, not analytically detected of inorganic Se). Se distribution upon a length in the Se-treated mushrooms was the highest in the bottom part (6.86 $\mu$/ g of dry) near to MC, and top and middle parts were significantly lower (3.71 and 3.01 $\mu$/ g of dry, respectively; P < 0.001) than the bottom. In the SMC from Se-treated mushrooms, the significant amount of Se (5.04l1g/g of dry) was remained, but that from the Se-untreated mushrooms was significantly low (P$\mu$ / g of dry. Se-treated SMC showed a high ratio of organic Se (65.67 %), suggesting that the significant amount of inorganic Se in the SMC was converted to organic Se by mushroom mycelia. Prior to mycelia inoculation in the mushroom culture, the sterilization of MC brought approximately 18% of Se loss in the MC. Apparent and net accumulation rates (%) for Se into mushrooms were 14.81 and 10.14 %, respectively, resulting from the Se volatilization into the air via metabolic process of mushroom itself.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norganic Se addition to MC for mushroom improved the organic Se contents in the mushroom and SMC.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Se in Se-enriched mushroom and SMC could be utilized as Se sources of food for human as well as feed for livestock.

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에 대한 사료 셀레늄공급원으로의 평가 연구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 Spent Composts of Selenium-Enriched Mushrooms as a Feed Selenium Source)

  • 김완영;민정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118-130
    • /
    • 2005
  • 본 연구는 버섯을 키우는 배지에 무기셀레늄을 배지 kg당 2 mg을 첨가하여 셀레늄강화팽이버섯을 생산하고, 인체 또는 가축의 셀레늄 급원으로서 버섯과 폐배지 각각의 셀레늄함량 및 조성 그리고 버섯내에서 일어나는 셀레늄축적 대사를 조사하였다. 무처리버섯과 셀레늄처리버섯의 총 셀레늄 함량은 셀레늄처리버섯이 건조 g당 4.51 ㎍의 셀레늄을 나타내어 셀레늄 무처리 버섯의 0.23 ㎍에 비하여 약 20 배정도 증가하였다(P<0.0001). 그리고 유기셀레늄 비율은 셀레늄처리버섯에서 72.30%를 나타내었고, 무처리 버섯은 무기셀레늄이 검출되지 않아, 총 셀레늄 중 유기셀레늄의 비율이 100%로 평가되었다(P<0.0001). 폐배지 내 셀레늄함량은 셀레늄처리버섯 폐배지에서 건조 g당 5.04 ㎍으로 나타났고, 무처리 폐배지에서는 0.08 ㎍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셀레늄처리버섯 폐배지의 유기셀레늄 비율은 65.67%로 높게 나타나, 폐배지 내 존재하는 상당량의 셀레늄이 버섯균사에 의해 첨가된 무기셀레늄이 유기셀레늄으로 전환되었다. 버섯배지의 살균으로 셀레늄 손실율은 약 18%로 나타났고, 버섯 체내 셀레늄 외관상 및 순수 축적율은 각각 14.81 및 10.14%였고, 외관상 축적율에 의해 계산된 셀레늄의 4.67%가 버섯체내 대사에 의해 공기 중으로 휘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지 내 무기셀레늄의 첨가는 버섯 내 셀레늄함량을 증가시켰고, 인체 내 유용한 유기셀레늄이 다량 존재하였으며, 폐배지에서도 상당량의 유기셀레늄이 존재하여 가축의 셀레늄공급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배지 내 셀레늄은 살균으로 인하여 상당량의 셀레늄이 손실되었고, 버섯체내 축적된 셀레늄은 대사과정에 의해 공기 중으로 휘발되는 것으로 나타나 상기의 폐배지를 가축에 사용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다.

다양한 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최적 추출 및 특성 (Optimal Ext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Lignocellulytic Enzymes from Various Spent Mushroom Composts)

  • 임선화;이윤혜;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0-166
    • /
    • 2013
  •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팽이버섯(Flammulina velvtipes)과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느티만가닥버섯(Lyophyllum ulmarium),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 잣버섯(Lentinus lepideus), 버들송이버섯(Agrocybe cylindracea)의 수확 후 배지 (spent mushroom compost, SMC)로부터 ${\alpha}$-amylase (EC 3.2.1.1), lignin peroxidase (EC 1.11.1.14), laccase (EC 1.10.3.2), xylanase (EC 3.2.1.8), ${\beta}$-xylosidase (EC 3.2.1.37), ${\beta}$-glucosidase (EC 3.2.1.21) 및 cellulase (EC 3.2.1.4)의 활성을 추출 buffer별로 조사하였다. 물과 0.25% Triton X-100가 효소 회수율이 높았으며 xylanase는 팽이버섯 SMC에서 153 U/g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laccase는 큰느타리버섯 SMC에서 8.0 U/g로 가장 높았다. ${\alpha}$-amylase (3.6 U/g)와 cellulase (3.2 U/g)는 버들송이 SMC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큰느타리버섯 SMC 추출물의 laccase와 cellulase 활성은 상용 효소와 필적하는 효소활성을 보여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Effects of Spent Composts of Selenium-enriched Mushroom and Sodium Selenite on Plasma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nd Selenium Deposi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Lee, S.H.;Park, B.Y.;Lee, Sung S.;Choi, N.J.;Lee, J.H.;Yeo, J.M.;Ha, J.K.;Maeng, W.J.;Kim, W.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984-991
    • /
    • 2006
  • Effects of spent composts of selenium-enriched mushroom (Se-SMC) on plasma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y and selenium (Se) deposition in finishing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were investigated. Twenty-five Hanwoo steers (average body weight = 613 kg, average age = 22 months) were allotted to treatments in five groups of five steers per pen for 12 weeks preceding slaughter. Treatments were SMC alone (CON; 0.1 ppm Se), 0.3 ppm (0.3 Se-SMC), 0.6 ppm (0.6 Se-SMC), 0.9 ppm (0.9 Se-SMC), and 0.9 ppm (sodium selenite; SENI) S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lood samples were taken to analyze Se concentrations and GSH-Px activities. Muscle and liver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es of Se contents after slaughter. Dry matter intake and body weight gain were not affected by Se-SMC or sodium selenite supplementation. Selenium concentration in the whole blood and GSH-Px activity in plasma were linearly increased (p<0.01) with increasing levels of Se-SMC. The whole blood Se concentration of SENI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CON treatment from 4 week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SH-Px activities between both treatments at 8 and 12 weeks. Selenium content in the hind leg and liver increased linear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Se-SMC, but those of SENI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e in the Se-SMC was highly bioavailable to blood and tissues of ruminants, especially compared with Se in the sodium selenite. Therefore, Se-SMC might be used not only as an inexpensive way of providing Se for ruminants but also as another way of producing Se-fortified beef.

버섯폐배지를 이용한 셀레늄강화 기능성 한우고기 생산에 관한 연구 II. 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 첨가가 한우의 근육조직 내 셀레늄 축적과 혈중 glutathione peroxidase(GSH-Px)활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Selenium-fortified Functional Hanwoo-Beef by Utilizing Spent Mushroom Composts II. Effects of Spent Composts of Se-Enriched Mushrooms as the Dietary Se Source on Selenium Deposition in the Muscular Tissue and Plasma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the Finishing Hanwoo Steer)

  • 김완영;이기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116-135
    • /
    • 2004
  • 본 연구는 비육후기 거세한우 20두를 공시하여 셀레늄강화 한우고기 생산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의 반추동물에 대한 셈레늄사료원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기위해 0.1, 0.3, 0.6, 0.9ppm의 셀레늄이 함유되도록 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와 일반버섯 폐배지를 이용하여 배합하였고, 각 처리구당 5두씩 배치하여 90일간 사육하였다. 전 실험기간동안 사료 중 셀레늄농도는 건물섭취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증가하는 수준의 셀레늄 섭취는 증체량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폐배지 배합으로 인한 사료 내 증가하는 수준의 셈레늄농도는 혈중 셀레늄농도를 유의하게 직선적으로 증가시켰고(p<0.01), 사양 시험 8주째에 혈중 셀레늄농도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었다(p<0.001). GSH-Px활성은 혈액 내 셈레늄농도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폐배지 내 셀레늄은 한우의 GSH-Px활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p<0.001), 특히 셈레늄 의존형 GSH-Px활성에 대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후지 내 셈레늄함량은 폐배지 기인 셀레늄섭취증가로 대조구(0.273㎍/건조 g)에 비해 처리구(0.368 ~ 0.457㎍/건조 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사료 중 셀레늄농도 0.9ppm에서 가장 높았다. 근육 내 셈레늄 증가율은 등심보다 후지에서 확실한 효과가 나타났고, 후지에서의 최대 증가율은 약 70%에 이르렀다. 셀레늄 축적율은 버섯 폐배지의 셀레늄으로 인하여 최대 약 30%까지 축적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사료 중 셀레늄농도는 혈중 GSH-Px활성 및 근육조직 내 셀레늄 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p<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에 존재하는 셀레늄은 한우에서 혈증 셈레늄 및 혈장 내 GSH-Px활성을 증가시켜 생물학적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근육 내 셀레늄함량을 증가시켜 셀레늄 강화 한우고기생산을 위한 셀레늄 사료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입증되었다.

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의 급여기간이 거세한우의 육질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Length of Spent Mushroom Composts from Selenium-Enriched Mushroom on Meat Qual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Hanwoo Steers)

  • 김완영;이기종;노환국;이장형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109-117
    • /
    • 2005
  • 본 연구는 셀레늄급원으로서 셀레늄강화 버섯 폐배지를 비육후기의 거세한우에게 급여기간을 달리하여 급여하였을 때, 도축 후, 한우육의 육질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채끝의 일반성분은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성분이 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급여기간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다. 단백질은 6개월구가 20.8%로 가장 높았고, 4개월구가 19.2%로 가장 낮은 조성을 보였다. 유기셀레늄의 급여에 의한 채끝육의 물리적 특성 및 육색에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보수력은 대조구 59.5%에 비하여 시험구 2개월, 4개월 및 6개월 급여구에서 각각 63.8, 64.4, 64.2%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육질 및 육량등급은 급여기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도체특성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셀레늄강화버섯폐배지의 급여가 육질 및 도체특성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급여기간이 증가할 수록 근육조직내 보수력이 증가하여, 이와 같은 결과는 항산화효과와 관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의 급여기간이 거세한우의 조직내 셀레늄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Length of Spent Mushroom Composts from Selenium-Enriched Mushroom on Selenium Deposi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김완영;이기종;노환국;이장형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97-108
    • /
    • 2005
  • 본 연구는 사료내 적정 셀레늄수준(0.9ppm)에서 Se-SMC(유기셀레늄강화버섯폐배지)의 급여사양기간(2개월, 4개월, 6개월)을 달리 했을 때, 비육후기 한우의 조직 내 셀레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최대포화축적기간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Se-SMC 급여기간에 따른 비육후기 한우의 건물섭취량은 급여기간과 셀레늄수준에 의하여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셀레늄이 사료섭취의 제한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양시험 개시체중과 종료체중은 급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낮았다(p<0.01). 하지만, 총 증체량은 급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001), Se-SMC에 의한 효과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사료내 셀레늄수준은 한우의 혈중 셀레늄농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p<0.0001), 급여기간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심내 셀레늄함량은 급여기간과 사료내 셀레늄수준에 의하여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후지내 셀레늄함량은 급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Se-SMC의 4개월 급여군과 6개월 급여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내 셀레늄함량은 급여기간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셀레늄효과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근육내 셀레늄에 대한 Se-SMC급여기간은 4개월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Influence of Continuous Organic Amendments on Growth and Productivity of Red Pepper and Soil Properties

  • Seo, Young-Ho;Kim, Se-Won;Choi, Seung-Chul;Jeong, Byeong-Chan;Jung, Yeong-Sa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8-102
    • /
    • 2012
  • Organic farming has rapidly increased in Gangwon province, but there is a concern about nutrient accumulation and nutrient imbalance in the soil of organic farm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organic amendments on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 and soil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chemical fertilizers application for four years. Treatments of organic amendments including oil cake, rice straw compost, amino acid compost, rice bran compost, and mushroom media (spent substrate) compost resulted in comparable growth and yield of pepper to chemical fertilizers. Organic amendments improved soi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rice bran compost and oil cake significantly increased soil organic matter compared with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and mushroom media compost and rice straw compost significantly improved soil aggregate stability. On the other hand, available phosphate level in the soil amended with rice bran compost or mushroom media compost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due to relatively high phosphate levels in the composts. It is not easy to adjust nutrient composition in the organic materials. Therefo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imply that nutrient imbalance needs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organic farming without use of chemical fertilizers.

버섯폐배지를 이용한 셀레늄강화 기능성 한우고기 생산에 관한 연구 I. 버섯폐배지 이용 발효사료제조와 유기셀레늄 강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lenium-fortified Functional Hanwoo-Beef by Utilizing Spent Mushroom Composts I.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Feeds by Using Spent Mushroom Composts and Fortification of Organic Selenium)

  • 이장형;김완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102-115
    • /
    • 2004
  • 본 연구는 셀레늄강화버섯생산 후 대량으로 폐기되는 버섯 폐배지를 가축사료로 이용하기 위해 발효사료를 제조하고, 발효 기간동안 발효미생물에 의한 무기셀레늄을 유기셀레늄으로의 전환을 강화하기 위해 발효사료 내 존재하는 유기셀레늄 비율을 조사하였다. 발효사료의 처리구는 일반버섯 폐배지와 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를 조합하여 발효사료 내 셈레늄농도가 0.06, 0.54, 1.26 및 1.86ppm이었다. 그리고 발효기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켰으며, 발효시간(0, 12, 24, 48시간)에 따른 pH, 유기셀레늄 비율, 유기설레늄 함량 및 무기셀레늄 함량을 조사하였다. 발효사료 내 셀레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0시간의 pH는 일반버섯 폐배지로만 구성된 0.06ppm의 4.63보다 유의하게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1.86ppm에서 가장 높은 값(6.35)을 나타내었다(p<0.0001). 발효 12시간 이후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셀레늄강화 버섯 폐배지를 함유하는 처리군에서 pH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처리군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셈레늄 농도별 발효사료의 무기셈레늄, 유기셈레늄 함량 및 유기셈레늄 비율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발효시간에 따른 처리군의 유기셀레늄 비율은 0.54ppm에서 발효 24시간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1.26ppm에서는 발효 12시간이후에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1.86ppm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일반 페배지로만 구성된 0.06ppm의 발효사료에서는 무기셀레늄이 검출되지 않았고, 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를 함유하는 발효사료(0.54ppm, 1.26ppm, 1.86ppm)는 발효 48시간에 약 70%의 유기셀레늄을 함유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발효사료를 통한 유기셀레늄의 강화는 발효종료 후 폐배지 내 유기셀레늄 비율이 약 70%로 높게 나타나 반추가축에 대한 셀레늄사료자원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오이의 수경재배시 생육과 몇 가지 품질에 미치는 재활용 배지의 영향 (Effect of Recycled Substrates Culture on the Growth and Some quality Components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 박권우;이호선;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0-165
    • /
    • 2003
  • 오이의 생육과 괴실의 품질에 미치는 폐암면, 몇가지 폐버섯 배지, 밤나무 파쇄입자, 질석, 펄라이트, 상용암면의 효과를 실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괴를 얻었다. 야마자키 조성 오이 배양액을 이용한 배지경에서 식물체 생육은 폐암면내피트모스 혼용구와 입상 UR 암면에서 좋았다. 그러나 오이 총수량은 폐팽이버섯 배지에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펄라이트, 폐애느타리버섯 배지, 폐암면+피트모스(1:2 v/v) 순서였는데 이들 세 처리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당도와 경도는 펄라이트와 질석구에서 높았으며 그 이외는 처리구 상호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C 함량은 배지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폐배지도 오이의 수경재배 배지로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