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am Bind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43초

국내원전 단열재 설계특성에 따른 외벽냉각 효과검증 실험 (Experiment on Coolability through External Reactor Vessel Cooling according to RPV Insulation Design)

  • 강경호;박래준;김상백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78-1583
    • /
    • 2003
  • LAVA-ERVC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ulation design features on the coolability in case of the external reactor vessel cooling (ERVC). All the 4 tests have been performed using Alumina iron thermite melt as a corium simulant. Due to the limited steam venting through the insulation, steam binding occurred inside the annulus in the KSNP case simulation. On the contrary, in the tests which were performed for simulating the APR1400 insulation design, sufficient water ingression and steam venting through the insulation lead to effective cool down of the vessel characterized by nucleate boiling. It could be foun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modification of the insulation design allowing sufficient ventilation could increas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external reactor vessel cooling.

  • PDF

Microwave를 이용한 즉석 누룽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Nuroong-gi Prepared Using a Microwave)

  • 이현석;권기현;김종훈;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69-674
    • /
    • 2009
  • 누룽지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증기솥 취반, 압력솥 취반 그리고 microwave를 이용하여 처리조건에 따라 제조한 누룽지를 평가 비교하였다. Microwave를 이용하여 제조된 누룽지는 수분함량, 색도측정, 물 결합능력, 점도측정, 침전물 생성량 및 탁도 측정, 관능평가를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microwave을 이용하는 처리조건과 증기 및 압력을 이용한 취반조건에 차이는 발생 하지 않았다. 색도의 경우 증기솥 취반의 명도(L)가 64.70의 값으로 가장 밝은색을 나타내었으며 압력솥 취반은 값은 46.57로 나타나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Microwave를 이용한 누룽지 및 시중에 판매되는 누룽지의 명도(L)는 55.70~56.74로 나타나 microwave처리시간별로 차이는 발생 하지 않았다. 물 결합능력은 microwave처리 시간이 증가 할수록 물 결합능력의 차이가 발생하며 이는 취반 중 수분건조가 이루어져 물 결합능력이 다소 낮아 졌다. 점도는 증기솥 취반누룽지의 점도가 가장 높았고 압력솥 취반누룽지의 점도가 가장 낮았으며 microwave를 이용하여 제조한 누룽지가 처리시간이 증가 할수록 누룽지의 점도가 낮아져 수분첨가량과 수분보 유량에 따라 변화하며 물 결합능력과 같이 수분건조에 의하여 품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침전물 생성량과 탁도는 취반조건에 상관없이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생성되는 침전물의 발생과 탁도가 증가하였고 추출 시 수용성 형태로 존재한 성분들이 가열처리로 취반방법에 따라 품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증기 및 압력을 이용한 취반방법보다 microwave을 이용하여 제조된 누룽지가 더 좋았다. 그러므로 microwave을 이용하여 제조한 누룽지가 기존에 제조되는 방식보다 식품산업에 이용하면 좋을 것이라고 판단되어진다.

MAJOR THERMAL-HYDRAULIC PHENOMENA FOUND DURING ATLAS LBLOCA REFLOOD TESTS FOR AN ADVANCED PRESSURIZED WATER REACTOR APR1400

  • Park, Hyun-Sik;Choi, Ki-Yong;Cho, Seok;Kang, Kyoung-Ho;Kim, Yeon-Si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257-270
    • /
    • 2011
  • A set of reflood tests has been performed using ATLAS, which is a thermal-hydraulic integral effect test facility for the pressurized water reactors of APR1400 and OPR1000. Several important phenomena were observed during the ATLAS LBLOCA reflood tests, including core quenching, down-comer boiling, ECC bypass, and steam binding. The present paper discusses those four topics based on the LB-CL-11 test, which is a best-estimate simulation of the LBLOCA reflood phase for APR1400 using ATLAS. Both homogeneous bottom quenching and inhomogeneous top quenching were observed for a uniform radial power profile during the LB-CL-11 test. From the observation of the down-comer boiling phenomena during the LB-CL-11 test, it was found that the measured void fraction in the lower down-comer region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estimated from the RELAP5 code, which predicted an unrealistically higher void generation and magnified the downcomer boiling effect for APR1400. The direct ECC bypass was the dominant ECC bypass mechanism throughout the test even though sweep-out occurred during the earlier period. The ECC bypass fractions were between 0.2 and 0.6 during the later test period. The steam binding phenomena was observed, and its effect on the collapsed water levels of the core and down-comer was discussed.

가압 Steaming에 의한 볶음 찹쌀분말의 Molding (Molding of Roasted Glutinous Rice Powder by Pressurized Steaming)

  • 이승주;강준영;권영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7-259
    • /
    • 1999
  • 가압 steaming에 의한 molding방법으로 볶음 찹쌀분말의 조립물을 제조하여 입자크기, 수중기압, steaming 시간이 조립물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입자크기 $80{\sim}115,\;15{\sim}170,\;170{\sim}250,\;250인 볶음 찹쌀분말을 원반형(직경 48 mm)으로 molding하여 가압솥에 넣고 1.03, 1.25, 1.45 기압의 포화 수중기로 처리하고 최종 건조 과정을 통하여 조립물을 제조하였다. 조립물의 강도는 수중기압이 높을수록, 처리시간이 길수록, 미세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조립성형물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높은 수중기압과 작은 입자 크기의 조건으로부터 제조된 조립물에서 입자간의 경계가 불분명하게 되어 결착된 모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기존의 과립형태가 아닌 덩어리 형태의 볶음 곡류분말 조립물의 가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2 절감을 위한 콘크리트 2차제품 양생단계저감용 결합재 종류에 따른 모르타르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According to Types of Binders for Reducing Curing Process of Concrete Secondary Products for Reduction CO2)

  • 김하석;백대현;이세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4호
    • /
    • pp.37-46
    • /
    • 2014
  • 건설 분야 중 건설 재료와 건자재 산업에서 발생하는 $CO_2$는 약 6,700만톤으로 건설 분야에서 발생하는 $CO_2$의 약 30 %를 점유하고 있다. 건설 분야에서 $CO_2$ 저감은 건자재 산업에서 $CO_2$를 발생시키는 2차, 3차 양생을 줄여 소비되는 화석연료 사용과 배출가스 저감의 조절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멘트 결합재를 기초로 하여 결합재를 40 % 까지 대체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한 후 양생방법을 달리하여 응결 및 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합재 치환율에 따른 강도 특성 결과 증기양생 후 고로슬래그와 CSA 15%, CAMC 5%를 치환한 시험체의 강도 증진이 활발하였다. 특히 고로슬래그 50%, CSA 15%, CAMC 5%를 치환한 시험체가 가장 높게 강도가 증진되었다. 하지만 CAMC 10%의 경우 열팽창에 의한 균열과 온도차에 의한 건조수축, 과도하게 생성된 에트린가이트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즉석 누룽지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stant Nuroong-gi)

  • 박영희;오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2-638
    • /
    • 1997
  • 취식시 복원력이 빠른 즉석 누룽지의 최적 제조조건을 찾기 위하여 누룽지를 팽화시켜 즉석 누룽지를 제조하고 즉석 누룽지의 이화학적 성질을 비교 분석하며 기호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생산 현장에 효과적 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즉석 누룽지는 찜솥, 압력솥, 다단식 증기솥 취반으로 취반조건을 달리하여 취반한 후 누룽지형틀에서 누룽지를 제조한 다음, 0.5~1.0cm의 크기로 분쇄한 누룽지 무게의 40%에 해당하는 수분을 첨가하여 160~17$0^{\circ}C$에서 30초간 팽화시켜 얻었다. 세가지 취반조건의 즉석 누룽지의 물결합능력은 6.5~7.2이고 총당 함량은 3분에서 최대 용출량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찜솥 취반의 즉석 누룽지에서는 구수한 맛, 견고성, 점착성, 전체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압력솥 취반의 경우 색, 탁한 정도, 구수한 냄새의 관능 특성치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와 관능특성치간에는 견고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색도 측정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를 비교했을 때 관능검사원들은 압력솥 취반 누룽지의 중간 황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석 누룽지의 X-선 회절도에 의한 결정도 비교와 주사전자 현미경에 의한 입자의 형상을 관찰한 결과로 즉석 누룽지의 형태학적 특성을 알 수 있었다.

  • PDF

품종별 고구마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veral Sweet Potato Starches)

  • 석호문;박용곤;남영중;신동화;김준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79-185
    • /
    • 1987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구마중 6개 장려품종에 대하며 원료 고구마 및 분리전분에 대한 물리화학적 성질들을 조사하였다. 6개 품종의 고구마중 전분함량은 신미가 24.56%로 가장 높았고, 은미가 16.95%로 가장 낮았다. 전분입자의 형태는 구형과 다각형이었으나 신미 품종은 대부분의 입자가 다각형이었으며, 품종별 분리전분의 평균입경은 $10.4{\sim}14.2\;{\um}$ 였다. 분리한 전분의 아밀로스 함량은 $25{\sim}28%$ 범위이었고, blue value와 알카리수는 각각 $0.29{\sim}0.36$, $7.0{\sim}12$의 범위였다. 전분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50^{\circ}C$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그 후 급격히 증가했고, 물결합력은 은미가 211.6%로 가장 높은 반면 신미는 175.7%로 가장 낮았다. 6% 전분현탁액의 아밀로그람 패턴은 모든 품종이 호화정점을 나타내지 않았고, 최고점도는 은미 품종이 1130(B.U)였고, 흥미가 750(B.U)이었으며, 0.2% 전분현탁액의 광투과도는 은미, 황미, 진미가 $65^{\circ}C$에서, 흥미, 신미, 선미는 $68^{\circ}C$에서 급격히 증가했다. 전분의 아밀로스 함량은 호화 개시온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증기 가열한 고구마의 맛과 조직감은 수분함량과는 음의, 아밀로스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한 고구마는 단지 아밀로스 함량과만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증자 및 건조조건이 올벼쌀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aming and Dehydration Conditi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arboiled Rice (Olbyeossal))

  • 조용식;이경하;하현지;최윤희;김은미;박신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3호
    • /
    • pp.185-189
    • /
    • 2012
  • 증자 및 건조조건을 달리하여 올벼쌀을 제조하고 호화도, 물결합력, 팽윤력, 및 경도 및 관능적 기호도의 변화를 시험하였다. 원료는 동진찰벼를 사용하였으며 탈곡된 벼를 24시간 수침한 다음 $95-100^{\circ}C$에서 60분 또는 $121^{\circ}C$에서 20분간 증자하였고 45, 60, $80^{\circ}C$의 열풍과 햇볕을 이용하여 수분함량 13-15%가 되도록 각각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올벼쌀의 호화개시온도는 생쌀 보다 낮았으며 상압증자 후 $45-60^{\circ}C$의 열풍으로 건조한 올벼쌀은 최고점도, 강하점도, 치반점도, 최종점도가 다른 가공조건에 비하여 높았다. 올벼쌀의 수분결합력과 팽윤력은 고압증자가 상압증자보다 높았으며 건조조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올벼쌀의 경도는 고압증자조건에서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올벼쌀의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올벼쌀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는 고압에서 증자한 다음 $45^{\circ}C$$80^{\circ}C$의 열풍으로 건조한 올벼쌀이 외관, 색상, 맛, 전반적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증자와 건조조건이 올벼쌀의 품질을 좌우하는 영향인자로서 중요성을 나타낸다.

천궁(川芎)의 정유 추출물이 3T3-L1 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Cnidii Rhizoma on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Adiopocytes)

  • 최수민;김소영;박나리;김정민;양두화;우창훈;김미려;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25
    • /
    • 2018
  • Objectives We investigated anti-obesity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Cnidii Rhizoma (CR) in immature adipocytes to magnify it's clinical therapeutic usage. Methods Essential oil of CR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or petroleum ether and through steam distillation, respectively. Oil red-O staining for monitoring its inhibition effect on adipogenesis and differentiation in murine 3T3-L1 adipocytes and 3-(4,5-methylthiazol-2-yl)-2,5-diphenyletetra zolium bromide (MTT) assay for cell safety were done. Also phospho-adenosine monophosphate (AMP)-activted protein kinase (P-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o-acetyl-CoA carboxylase (P-ACC), acetyl-CoA carboxylas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 (PPAR-${\alph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expressions as obesity-related factor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Protein expressions of P-AMPK, P-ACC and PPAR-${\alpha}$ were increased in essential oils-treated adipocyte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Furthermore, protein expressions of PPAR-${\gamma}$ and C/EBP-${\alpha}$ were decreased in essential oils-treated adipocyte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ssential oils of CR inhibit adipogenesis and differentiation. Also they promote the oxidation of fatty acids in adipocytes. Thus, results suggest that essential oils of CR could be used as a valuable material for anti-obesity therapeutics via control of lipid meta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