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llit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2초

Stellite 스크랩으로 부터 Co 미분말의 제조 (Production of Fine Cobalt Metal Powders from Stellite Scrap)

  • 박문경;신동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권1호
    • /
    • pp.9-16
    • /
    • 1994
  • Stellite 스크랩을 용융 NaOH로 분해하고 이로부터 Co가분말을 제조하였다. NaOH에 의한 Stellite 스크랩의 완전분해는 $750~800^{\circ}C$에서 Stellite에 대한 NaOH의 중량비 약 2로 1시간 이내에 이루어졌다. 함Co화합물은 X-선분석과 시차열중량분석에 의해 $Co_2O_3{\dot}H_2O$로 판명되었다. 함Co화합물은 HCl로 용해하여 $CoCl_2$용액으로 만들고, 그리고 용액의 pH를 조절하여 먼저 Fedldhs을 제거한 후, pH 약 13 또는 4에서 각각 2가 EH는 3가의 수산화코발트로 침전시켰다. 이 침전물들은 $400~500^{\circ}C$에서 수소로 환원하여 1.0~$1.5\mu\textrm{m}$크기의 고순도 Co로 제조되었다. Stellite스크랩으로부터 Co 회수율은 약 75~86 중량 %이었다.

  • PDF

몰리브덴을 첨가하여 PTAW법으로 육성된 Stellite 6합금의 미세조직 특성평가 (Characteristics of Microstructure of Hardfacing Layer of Stellite 6 with Mo Addition)

  • 신종철;김재수;이덕열;양재웅;윤진국;노대호;이종권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1-248
    • /
    • 2002
  • Hardfacing layers of Stellite 6 alloy with different molybdenum content are deposited on AISI 1045 carbon steel using plasma transferred arc welding (PTAW). The properties of the hardfacing layer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molybdenum addition to the cobalt-base alloy. With an increase in molybdenum contents, the size of Cr-rich carbides in the interdendritic region is abruptly refined, but volume fraction of the carbide slightly increases. Also, with an increase of Mo, $M_{6}$ C type carbides are formed instead of Cr-rich $M_{7}$ $C_{3}$ type carbided, and this microstructural change enhanc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ellite 6 alloy.

전자빔을 이용한 Stellite21 분말 예열공정에 관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Study on Pre-Heating Process of Stellite21 Powder Using Electron Beam)

  • 이호진;송재국;김진석;안동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19-425
    • /
    • 2016
  • A powder spreading phenomenon is one of disadvantageous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 bed fusion process using electron beams. The powder spreading phenomenon can be controlled using a pre-heating process of metallic powders.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preheating process of Stellite21 powder using electron beams. Powder spread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rocess parameters on the spreading behaviors of Stellite21 powder. Powder heating experiments were car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ocusing current of the electron beam on the quality of the heated region. Using the results of the powder spreading and heating experiments,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process parameters was obtained. The pre-heating experiment of Stellite21 was performed using the estimated combination of process parameters. The results of preheating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reheated Stelllite21 layer with desired characteristics can be created when the estimated combination of process parameters is applied.

졸-겔법에 의한 강유전성 PMN 분말 및 박막의 제조와 특성 (The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Sol-Gel Derived Ferroelectric PMN Powders and Thin Films)

  • 황진명;장준영;은희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12호
    • /
    • pp.1138-1145
    • /
    • 1998
  • Ni계 경면합금인 Deloro 50의 마모거동을 15ksi와 30ksi 접촉응력하의 여러 마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상온대기중에서 Deloro 50는 15ksi 응력에서도 극심한 응착마모가 발생하는 매우 낮은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이는 fcc 결정구조를 갖는 Deloro 50 기지상의 경도와 가공경화율이 strain-induced 상변태를 이웅한 hcp 결정구조의 Stellite 6보다 낮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상온 수중에서 Deloro 50는 15ksi 응력에서 Stellite 6와 비슷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이는 물이 미세요철간의 금속간 접촉을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30ksi의 높은 접촉응력에서는 상온 대기중길 같은 응착마모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30ksi의 높은 응력에서는 물의 응착마모 억제 효과가 없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00^{\circ}C$ 대기중에서 Deloro 50는 30ksi의 높은 접촉응력에서도 Stellite 6보다 우수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이는 고온에서 마모시 생성되는 복합산화물층이 효과적으로 금속간 접촉을 방해하여 응착마모를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3 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Stellite21 초합금으로 하드페이싱된 STD 61 열간금형강의 열응력제어층 재료조합 및 두께 예측 (Estimation of the Thickness and the Material Combination of the Thermal Stress Control Layer (TSCL) for the Stellite21 Hardfaced STD61 Hot Working Tool Steel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박나라;안동규;오진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8호
    • /
    • pp.857-862
    • /
    • 2014
  • 하드페이싱층과 기저부의 결합부에서 발생하는 잔류 응력/변형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열응력제어층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3 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Stellite21 초합금으로 하드페이싱된 STD61 열간금형강의 중간층으로 형성된 열응력제어층의 재료조합과 두께를 예측하고자 한다. 열응력제어층은 Stellite21 과 STD61 의 조합으로 생성하였다. 열응력제어층의 두께범위는 0.5-1.5 mm 로 선정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열응력제어층을 구성하는 Stellite21과 STD61의 혼합율 및 열응력제어층 두께에 따른 시편 내부 온도/열응력/열변형률분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적합한 열응력제어층의 재료혼합비는 Stellite21 50 % 와 STD61 50 % 이며, 적절한 열응력제 어층의 두께는 1.0 mm 임을 알 수 있었다.

3 차원 열전달/열응력 해석을 통한 STD61 열간 금형강의 하드페이싱 재료 및 두께 예측 (Estimation of Hardfacing Material and Thickness of STD61 Hot-Working Tool Steels Through Three-Dimensional Heat Transfer and Thermal Stress Analyses)

  • 박나라;안동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4호
    • /
    • pp.427-436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STD61 열간금형강 상부에 생성되는 하드페이싱층에 적합한 하드페이싱 재료와 두께를 3 차원 비정상 열전달 및 열응력 해석을 통하여 예측하고자 한다. Stellite6, Stellite21과 19-9DL 초합금을 하드페이싱 재료로 적용하였다. 하드페이싱 재료와 두께가 하드페이싱된 시편 내부 온도, 열응력 및 변형률 분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큰 열전도도를 가지는 재료로 얇은 하드페이싱 층을 생성하는 것이 열전달 특성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tellite21 초합금으로 2 mm 두께의 하드페이싱부를 STD61 열간 금형강 상부에 생성할 경우, 하드페이싱부와 기저부의 경계부에서 유효응력 및 주변형률 편차가 최소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들로부터 STD61 열간금형강에 적합한 하드페이싱 재료와 두께를 예측할 수 있었다.

Ni계 Deloro 50합금의 고하중 Sliding 마모거동에 미치는 마모환경의 영향 (Effect of Wear Environments on the High Stress Sliding Wear Behavior of Ni-base Deloro 50 Alloy)

  • 최진호;최세종;김준기;김용덕;김학수;문주현;백하충;이덕현;김선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12호
    • /
    • pp.1115-1120
    • /
    • 1998
  • Ni계 경면합금인 Deloro 50의 마모거동을 15ksi와 30ksi 접촉응력하의 여러 마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상온대기중에서 Deloro 50는 15ksi 응력에서도 극심한 응착마모가 발생하는 매우 낮은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이는 fcc 결정구조를 갖는 Deloro 50 기지상의 경도와 가공경화율이 strain-induced 상변태를 이웅한 hcp 결정구조의 Stellite 6보다 낮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상온 수중에서 Deloro 50는 15ksi 응력에서 Stellite 6와 비슷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이는 물이 미세요철간의 금속간 접촉을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30ksi의 높은 접촉응력에서는 상온 대기중길 같은 응착마모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30ksi의 높은 응력에서는 물의 응착마모 억제 효과가 없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00^{\circ}C$ 대기중에서 Deloro 50는 30ksi의 높은 접촉응력에서도 Stellite 6보다 우수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이는 고온에서 마모시 생성되는 복합산화물층이 효과적으로 금속간 접촉을 방해하여 응착마모를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