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len Smart-Card attack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Design Flaws and Cryptanalysis of Cui et al's User Authentication Scheme

  • Park, Mi-O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41-48
    • /
    • 2019
  • 2018년 Cui 등은 생체 정보를 사용하는 three-factor 원격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Cui 등은 자신들의 인증 프로토콜이 도청 공격, 스마트카드 분실 공격, 특별히 DoS(denial-of-service) 공격에 안전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들은 패스워드 추측 공격, 가장 공격, 그리고 익명성 공격 등에 안전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Cui 등의 인증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이 인증 프로토콜이 재생 공격, 내부자 공격, 스마트카드 분실 공격, 그리고 사용자 가장 공격 등에 취약함을 보인다. 게다가 우리는 Cui 등의 인증 프로토콜의 설계 오류도 함께 제시한다.

스마트 카드를 사용한 검증자 없는 사용자 인증 및 접근 제어 방법: Chen-Yeh 방법의 개선 (A Verifier-free Scheme for User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Using Smart Cards: Improvement of Chen-Yeh's Method)

  • 김용;정민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3-51
    • /
    • 2013
  • 고도의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과 접근제어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Chen & Yeh는 이 두 가지 보안 요소를 원활하게 잘 통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Chen-Yeh 방법은 원격 서버에 스마트 카드 ID 자료를 유지하기 때문에 SVA(stolen verifier attack: 도난 검증자 공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hen & Yeh 방법의 이런 단점을 개선하고,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증 및 접근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보안 분석 결과에 의하면, 기존 방법들에 비하여 제안 방법은 여러 가지 다양한 보안 침해 공격에 강인하면서, 사용자 인증 및 접근제어에 도움이 되는 많은 좋은 특징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Enhanced Password-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s

  • 전일수;김현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19
    • /
    • 2011
  • Secure and efficient authentication schemes over insecure networks have been a very important issu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ing technologies. Wang et al. proposed a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s. However, recently, Chen et al. pointed out that their scheme is vulnerable to the impersonation attack and the parallel session attack, and they proposed an enhanced authentication scheme. Chen et al. claimed that their scheme is secure against the various attacks. However, we have found that their scheme cannot resist the parallel attack and the stolen smart card attack. Therefore, in this paper, we show the security flaws in Chen et al.'s scheme and propose an improv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tamper-resistant smart cards to solve the problem of Chen et al.'s scheme. We also analyze our scheme in terms of security and performance.

Biometric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스킴의 안전성 분석 (Security Analysis of a Biometric-Based User Authentication Scheme)

  • 이영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1-87
    • /
    • 2014
  •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using smart card provides two factor authentications, namely a successful login requires the client to have a valid smart card and a correct password. While it provides stronger security guarantees than only password authentication, it could also fail if both authentication factors are compromised ((1) the user's smart card was stolen and (2) the user's password was exposed). In this case,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e adversary from impersonating the user. Now, the new technology of biometrics is becoming a popular method for designing a more secure authentication scheme. In terms of physiological and behavior human characteristics, biometric information is used as a form of authentication factor.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s, faces, voice, irises, hand geometry, and palmprints can be used to verify their identities.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scheme by Cheng et al. and provide a security analysis on the scheme. Our analysis shows that Cheng et al.'s scheme does not guarantee any kind of authentication, either server-to-user authentication or user-to-server authentication. The contribution of the current work is to demonstrate these by mounting two attacks, a server impersonation attack and a user impersonation attack, on Cheng et al.'s scheme. In addition, we propose the enhanced authentication scheme that eliminates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of Cheng et al.'s scheme.

Stolen-Verifier 공격과 Impersonation 공격에 안전한 개선된 OSPA 프로토콜 (An Unproved Optimal Strong-Password Authentication (I-OSPA) Protocol Secure Against Stolen-Verifier Attack and Impersonation Attack)

  • 곽진;오수현;양형규;원동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4호
    • /
    • pp.439-446
    • /
    • 2004
  • 인터넷에서의 사용자 인증은 안전한 통신을 위해 가장 중요한 서비스 중의 하나이다. 비록 패스워드 기반 메커니즘이 네트워크 상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기는 하나,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쉬운 패스워드(easy-to-remember)를 사용하므로, 사전공격(dictionary attack)에 취약한 것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전공격을 방지하기 위만 방법들의 경우에는 높은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근에 발표된 OSPA 프로토콜에 대하여 설명하고, OSPA 프로토콜이 stolen-verifier 공격과 impersonation 공격에 취약함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공격들에 안전한 개선된 OSPA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스마트 카드에 탑재된 co-processor를 통해 암호학적 연산이 수행되므로 사용자에게 낮은 계산량을 제공한다.

안전한 원격사용자 인증스킴에 대한 취약성 분석 (Cryptanalysis of a Secure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 ;이광우;원동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8C호
    • /
    • pp.697-702
    • /
    • 2012
  • 2011년, C.-T. Li et al.은 Kim et al. 스킴의 문제점인 오프라인 패스워드 추측 공격과 신분 위장 공격을 해결한 향상된 안전한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C.-T. Li et al.은 그들이 제안하는 방식이 패스워드 추측 공격과 신분 위장 공격 등의 스마트카드 보안 관련 공격들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상호 인증과 세션 키 생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분석한 결과, C.-T. Li et al.의 스킴은 패스워드 변경 단계에서의 패스워드 추측 공격이나 스마트카드 위조 공격, 훔친 검증자 공격(stolen verifier attack)에 취약함이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T. Li et al.의 스킴이 패스워드 추측 공격에 대해 안전하지 않으며, 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

스마트 카드 기반 사용자 인증 스킴의 보안 개선 (Security Improvement of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Smart Cards)

  • 주영도;안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31-137
    • /
    • 2011
  • 최근에 Lin 등은 패스워드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스킴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Lin 등에 의해 제안된 시킴은 패스워드 기반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스킴에서 고려해야 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공격자가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를 훔치거나 일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경우에 Lin 등의 스킴은 off-line 패스워드 추측공격에 취약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쉬함수와 랜덤 nonce 기반의 개선된 인증 스킴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사용자 인증 스킴은 패스워드 추측공격 및 위조공격과 재생공격이 불가능하도록 구현되고, 또한 사용자와 인증서버 간 상호인증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안된 인증 스킴은 Lin 등의 스킴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이고 보안성이 강화된 스킴임을 알 수 있다.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대칭키 기반 원격 사용자 인증 방식 (An Enhanced Symmetric Key-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with Forward Secrecy)

  • 문종호;원동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00-510
    • /
    • 2017
  • Recently Lee et al. proposed an improved symmetric key-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to eliminate the security weaknesses of Kumari et al.'s scheme. They hence claimed that their scheme is secure to various well-known attacks. However, we found that Lee et al.'s scheme is still insecure against outsider attack, smart card stolen and off-line password guessing attack. To overcome these security vulnerabilities, we propose an enhanced authentication scheme with key-agreement which is based on the fuzzy-extractor. Furthermore, we prove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secure, and that it serves to gratify all of the required security properties. Finally, we compare the performance and functionality of the proposed scheme with those of previous schemes.

Khan 인증기법의 취약점 분석과 개선된 사용자 익명성 제공 인증기법 (Weaknesses Cryptanalysis of Khan's Scheme and Improved Authentication Scheme preserving User Anonymity)

  • 박미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87-9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2011년 Khan[7] 등에 의해 제안된 사용자 익명성 제공 인증기법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러한 취약점을 개선한 새로운 사용자 익명성 제공 인증기법을 제안한다. Khan의 인증기법은 내부자 공격에 취약하고 서버에 대한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패스워드 변경 단계를 제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패스워드 오입력시의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Khan 기법이 스마트카드를 분실할 경우의 취약점과 강력한 서버/사용자 가장 공격에도 취약함을 보인다. 제안 인증기법은 이러한 취약점들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프라이버시를 제공할 수 있는 향상된 사용자 익명성을 제안한다.

Analysis and Improvement of Andola et al.'s Dynamic ID based User Authentication Scheme

  • Mi-Og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67-7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Andola 등이 제안한 멀티서버 환경에서 동적 ID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 방식에 대한 안전성과 설계상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Andola 등의 인증 방식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카드 분실 공격에 안전하지 않고, 이 공격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 추측 공격이 가능하고, 결국 공격자는 세션키까지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선된 인증 방식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안전성 분석한 결과 스마트카드 분실 공격, 패스워드 추측 공격, 사용자 가장 공격 등 여러 공격에 안전하였다. 또한 개선된 인증 방식은 안전한 동적 ID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시함수의 계산 복잡도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게다가 개선된 인증 방식은 전송량도 크게 증가하지 않아 전송비용의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인증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