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y Telling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6초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중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A Research on the Real State of Story-telling Mathematics Class of Middle School)

  • 유은화;윤종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41-4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2009개정 교과서로 직접 수업을 진행한 중학교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수업의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 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스토리텔링 수업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는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경기도 김포시와 일산, 부천 지역에 근무하는 중학교 1,2학년 담당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을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스토리텔링 교과서의 다양한 소재와 활동에 따른 창의력과 사고력 증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스토리텔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하였고,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의 부자연스러움을 지적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형태의 스토리텔링 자료들이 활용되고 있었는데, 특히 동적인 자료가 수업에 많이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단원의 도입부분에 스토리텔링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간의 문답활동을 통하여 수학 개념이 전달되는 형태로 스토리텔링 수업이 많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social Story Telling and Disscussion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Prosocial Reasoning)

  • 최윤정;이기숙
    • 아동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5-291
    • /
    • 1999
  • The effect of prosocial story telling and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helping and sharing behaviors and prosocial reasoning was studied. Subjects were 36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assigned to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s.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a pre-test and pre-observation, 6 week intervention, and post-test and post-observation.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video camera and analyzed by adjusted means and ANCOVA, using the SPSS/PC+. Both children's helping behavior and prosocial reasoning was higher in the group exposed to prosocial story telling with discussion as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story telling only and the control group.

  • PDF

스토리텔링(Story-telling)기법을 적용한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 수업모형 설계 (A Study on the Design of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Storytelling for User Education in Children's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5-271
    • /
    • 2016
  • 2000년 이후 공공도서관에 어린이서비스 시설의 확충과 담당인력이 배치되고 있으며 어린이 전용도서관이 증설되고 있다. 이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의 일환으로써 어린이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스토리를 소재로 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수업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 상황,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원리를 살펴보고, 스토리텔링기법이 도서관 이용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가를 모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자료실, 그리고 어린이 전용도서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기법을 적용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수업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 모형이 어린이도서관 현장에서 어린이들의 도서관 이용과 정보 활용, 그리고 독서흥미 유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패션쇼를 위한 패션 스토리텔링 기법의 설계 (The Design of a Fashion Storytelling Method for Fashion Show)

  • 성유정;권기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857-866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fashion storytelling method, which is a strategic instrument for constructing a fashion show with artistry and popularity, based on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storytell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storytelling composed of story and telling and to introduce storytelling into fashion shows, we associated fashion design with the substance of a story, a show with the form of telling, and a fashion show with storytelling. Based on these association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show and storytelling and developed basic elements and structure necessary to design a fashion storytelling method. Through this study, we designed a fashion storytelling method with five steps, which are story planning, story development, fashion show structure design, fashion show production, and fashion show execution. These steps were again classified into contents setting step, structure design step, and expression step. The contents setting step included story planning and development for creating stories, and the structure design step means the design of fashion show structure that adds telling to the stories. Lastly, the expression step included fashion show production and execution that forms a storytelling by combining the stories and the telling.

지능형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획지원도구 모델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중심으로 사례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Contents Planning Supporting System(ICPS) in familyHistory)

  • 이은령;김교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07-614
    • /
    • 2010
  •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중심으로한 지능형 스토리텔링 기획지원도구란 가족의 역사, 개인의 인물사등 선형적인 서사 장르의 이야기의 저작 과정을 지원하는 도구이다. 서사의 영역은 극, 신화, 전설, 역사 등의 언어적 서사물 뿐만 아니라, 영화, 연극, 발레, 오페라 등의 비언어적 서사도 포괄되나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서사물로서 각 가정의 구성원에 대한 인물사 및 가족역사를 중심으로 한다. 본 스토리텔링 기획 지원 도구는 샘플DB와 지식DB를 통하여 가정의 역사와 이야기에 대한 장르별 스토리텔링을 재구성하고, 내용의 가치와 완성도 높은 이야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스토리텔링 기획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과 비용의 최소화를 지향 한다. 가족, 가정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창작 콘텐츠의 가장 원초적인 기반을 이루는 핵심적 단계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작성할 수 있는 기획 및 저작도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창작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의 현황에서 본 연구가 제시한 기획지원도구는 대중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매커니즘을 개방화, 구조화 시킴으로서 향후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창작 도구로 연동 가능한 모델을 설계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지역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울산광역시 울주군 어음하리마을을 대상으로 (Story Telling-based Scenery Color Plan to Establish Local Identity Focused on Eoeumhari Town, Ulju-gun, Ulsan Metropolitan City)

  • 이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17-227
    • /
    • 2016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이 시행하고 있는 특성화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의 이야기 자원을 이용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에 대한 제언이다. 어음하리마을 특성화마을 만들기 사업은 울산에서는 처음이며, 어음하리 마을의 자원에다가 지역의 이야기를 부여해 스토리텔링 거리로 탈바꿈시키고자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진행 중이다. 울주군은 이들 마을을 정비해 관광객 유치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지역 마케팅이 최근 지역개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경관색채계획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어음하리마을의 풍토색을 토대로 이야기 자원에서 브랜드스토리를 추출하고 이를 색채계획에 적용하여 마을 단위의 개성적인 색채 아이덴티티를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지자체 별로 시행하고 있는 대규모 정비에 의한 색채계획에서 탈피하여 색채가 지역 아이덴티티 확립과 더불어 지역활성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발견하는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유아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Multi-Media Application Ability, Perception on the Use of Multi-Media for Story Telling, and Application in Class)

  • 장보영;최나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23
    • /
    • 2014
  • 이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다중매체 활용능력과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해 다중매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및 실제 활용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인천의 유아반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교사 변인과 기관 변인에 따라 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사용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실제 활용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에 모두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해 다중매체를 활용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중매체 활용의 중요성 인식, 학력,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학급 규모, 다중매체 관련 수강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수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교사의 인식이 갖는 의미와 실무능력의 중요성,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 교육 및 기관 지원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스토리텔링`기법을 통한 가구디자인 학습방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for Furniture Design through 'Story telling')

  • 김국선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3-171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many concerns about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attainable the substantial learning process of practical affair system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ield of design. Design Process Studying Method which utilizes 'Story Telling' as the process where the whole learning is achievable,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target of the creative professional technician training that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 of the times, and by progress of the integrated structure dividing as 1, 2, 3 stages, it doubles various studying effect, and it enables to expect the connection studying effect with other study-subject. Since the process of such program induces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 it was known that a superior interchange of information is attainable, and due to its enthusiasm and interest on the study, the participating rate for study was appeared very highly.

  • PDF

Disfluencies and Speech Rates of Standard Korean Speakers in Story-telling and Reading Contexts

  • Shim, Hong-Im;Chon, Hee-Cheong;Ko, Do-Heung
    •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45-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disfluencies and speech rates (overall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of normal adult speakers who use the standard Korean according to dissimilar speech tasks (story-telling and text-reading). Participants were 100 Korean adult speak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type of disfluency in the story-telling task was 'interjection', whereas that in the text-reading task was 'revision'. Second, the overall speech rates (syllables per second and syllables per minu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eech tasks. Third, the articulation rates (syllables per second and syllables per minu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eech tasks.

  • PDF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단양 U-Cave Tour Contents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Danyang Ubiuitous-Cave Tour Contents : Based on Story-telling)

  • 유영준
    • 동굴
    • /
    • 제95호
    • /
    • pp.51-67
    • /
    • 2009
  • 본 연구는 온달과 평강공주를 캐릭터로 활용하고 있는 단양군 관광포탈이 최근의 Ubiquitous Contents로서의 특성 및 경향을 반영하고 있는가를 평가한 후 그에 적합한 개선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의 문하관광 콘텐츠 분석 사례들과 유비쿼터스 및 스토리텔링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평가 근거를 우선적으로 마련하였고, 둘째, 이 근거를 바탕으로 단양군 관광포탈을 분석하여 U-Cave 콘텐츠로서 개선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