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tigraphic secti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직운산 세일층의 지화학적 연구: 태박산분지 오오도비스 중기 응축층 규명을 위한 시퀀스층서학적 적용 (Geochemical Study of the Jigunsan Shale: A Sequence Stratigraphic Application to Defining a Middle Ordovician Condensed Section, Taebacksan (Taebaeksan) Basin)

  • 유인창;유선영;손병국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1호
    • /
    • pp.27-53
    • /
    • 2009
  • 태백산분지 백운산향사대의 남익부를 따라 약 30 m 두께로 노출되어 있는 오오도비스 중기의 직운산셰일층은 그동안 탄산염 대지환경에서 퇴적된 막골석회암층를 피복하는 해침상의 셰일층으로 단순히 해석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들은 직운산셰일층 대부분이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에 나타나는 유기물질이 풍부한(>3 wt.%) 흑회색 셰일로 구성된 약 240 cm 두께의 최대해침기 동안에 퇴적된 박층의 해성층 위를 피복하는 해퇴상의 셰일층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정밀 층서 분석과 병행하여 실시한 주성분원소 분석, 조성광물 분석, 미량원소 분석 및 총유기탄소와 무기탄소 분석은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에 나타나는 박층의 해성층을 고수위기 초기 동안에 밀도변환면이 확장됨에 따라 형성된 특징적인 무산소환경에서 퇴적된 응축층으로 규정하기를 허락한다. 아울러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 내에서 해침면, 최대해침면, 최소퇴적감소면, 해퇴개시면과 같은 시퀀스층서학적 또는 환경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뚜렷한 특징의 층서면들이 인지되었다. 이러한 층서면들은 향후 태백산분지 내 오오도비스 중기 퇴적층들의 정교한 지역간 층서대비 및 구조운동에 따른 층서적 변이와 함께 분지발달사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이끌어 내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해 줄 수 있다.

Fusulinids from the Carboniferous strata in the Gangdong area of Samcheok coalfield, Korea

  • Lee, Chang-Zin;Kim, Jun-Ho;Lee, Sang-Mi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68-777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fusulinid biostratigraphy of the Carboniferous limestones distributed in the Gangdong area of Samcheok coalfield, Korea. The Carboniferous strata of the study area mainly comprise alternaton of dark gray shale, dark gray and reddish sandstone, and gray limestone. The limestones consist mainly of wackestonepackstone containing various fossil fragments such as crinoid, coral, brachiopod, foraminifera, fusulinid, and bryozoa; this observation thus suggests that the study site was the shallow marine environments. A tital of 12 species belonging to 5 genera of fusulinids are identified from the limestones of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 Ozawainella turgida Sheng, Ozawainella sp. A, Ozawainella magna Sheng, Pseudostaffella antiqua (Dutkevich), Pseudostaffella paracompressa Safonova, Pseudostaffella kimi Cheong, Pseudostaffella sp., Beedeina lanceolata (Lee and Chen), Beedeina samarica (Rauser-Chernoussova), Beedeina sp. A, Neostaffella sphaeroidea cuboides Rauser-Chernoussova, and Hanostaffella hanensis Cheong. Such fusulinids species were repor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Geumcheon Formation in Samcheok coalfield and the middle Moscovian stage in Eurasia. On the basis of the fusulinid biostratigraphic correlation of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s (A) to (C), the limestone should be overlapped by faults and folds. Moreover the stratigraphic thickness of the limestone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mestone outcrop of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 Therefore, the stratigraphic sequence of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 is represented as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 (A).

석개재 전기 고생대 퇴적층 단면의 지질유산적 가치와 보전 및 활용방안 (Geological Heritage Value and Appropriate Conservation/Utilization of the Seokgaejae Early Paleozoic Sedimentary Stratal Section)

  • 이승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3호
    • /
    • pp.126-145
    • /
    • 2017
  • 경상북도 봉화군과 강원도 삼척시에 걸쳐 드러나 있는 석개재 하부 고생대 퇴적지층 임도 및 도로 단면에는 전기 고생대 약 6천만 년 동안 퇴적된 태백층군의 모든 지층들이 연속적으로 드러나 있다. 지질학 분야에서 총 38편의 국내외 학술논문이 발표되었고 세계적인 학자들이 직접 방문하기도 한 석개재 단면은 학술적으로 중요한 곳임에 틀림없으나, 문화재 지정 논의도 이루어진 바 없고 최근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된 강원고생대지질공원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천연기념물 지정 기준에 따른 평가 결과 석개재 단면은 다수의 항목에 충분히 부합하지만, 인위적으로 노출된 지질 단면일 뿐 아니라 지질 노두의 멸실 위험이 낮고 경미한 노두 훼손이 단면의 가치를 저해하지 않으며 경관적 가치가 낮기 때문에 문화재 지정의 당위성은 떨어진다. 최근 보완하여 제시된 지질유산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 석개재 단면은 학술적, 교육적, 본질적, 기능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지질유산 등급 분류기준에 따라 국가급 보호대상 지질유산에 해당한다. 현 제도 하에서 석개재 단면은 강원고생대지질공원에 포함되어 보전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석개재 단면의 경우를 통해 국가지질공원 신청 인증 과정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향후 중요한 지질유산이 방치되지 않도록 제도개선 뿐 아니라 지질분야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태백산분지 캠브리아기 세송층의 퇴적상 (Sedimentary facies of the Cambrian Sesong Formation, Taebacksan Basin)

  • 주현;유인창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5호
    • /
    • pp.565-578
    • /
    • 2012
  • 태백산분지 캠브리아기 세송층의 퇴적상이 정밀 주상도 작업과 야외조사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로 5개의 퇴적상이 세송층 내에서 인지되었으며 이들은 석회질 단괴를 포함한 셰일상, 망상형 와케스톤-팩스톤상, 엽리질 실트암상, 세립 및 중립질 사암상, 석회 잔자갈 역암상 등을 포함한다. 퇴적상 분석과 함께 수행된 수직적 상변화에 대한 연구는 세송층이 외대륙붕 및 내대륙붕 환경 하에서 상대적인 해수면의 하강에 의해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특히, 세송층 최상부에 10 m 두께의 세립 및 중립질 사암층의 천해성 퇴적양상은 동 시기인 로렌시아 대륙의 Steptoean Stage(Dunderburgia) 퇴적층 내에서 나타나는 퇴적상 변화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두 대륙 사이의 동 시기 퇴적층의 퇴적상에 관한 비교는 세송층의 퇴적이 캠브리아기 중기 후반에서 캠브리아기 후기 초반 동안에 있었던 전 지구적인 해수면의 하강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세송층 상부구간의 세립 및 중립질 천해성 사암층 내에는 시퀀스 층서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하나의 층서불연속면이 인지된다. 이러한 층서불연속면은 로렌시아 대륙에서 정의되었던 Sauk II-III 시퀀스 경계면에 대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태백산분지 내 캠브리아기 중기 및 후기 퇴적층(예; 세송층)들의 지역 간 대비에 있어서 새로운 층서적 사고의 틀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대륙 간 층서대비에 있어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남해 대륙붕 도미분지 탄성파자료의 층서해석을 고려한 전산처리 (Seismic Data Processing Suited for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in the Domi Basin, South Sea, Korea)

  • 정순흥;김원식;구남형;이호형;신원철;박근필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6호
    • /
    • pp.603-613
    • /
    • 2010
  • 남해 대륙붕 도미분지는 제주분지의 북동단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동해의 울릉분지와 인접해 있으며 그 발달시기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미퇴적분지의 해석에 적합한 탄생파자료 전산처리 모듈을 시험하고 매개변수를 도출하였다. 도미분지 천부 퇴적층인 제3기 층의 경우 반사파 신호의 연속성 향상과 페그레그(peg-leg) 다중반사파 억제가 요구되었고 이를 위하여 중합 층서속도분석(Horizon Velocity Analysis, HVA)과 표면-연관 파동방정식 다중반사파 제거(Surface Relative Wave Equation Multiple Rejection, SRWEMR)모듈을 조합하여 중합단면의 품질을 제고하였따. 연구결과 제작된 도미분지 탄성파 중합단면에서 퇴적층서가 구분되는 부정합면이 인지되었다. 분지의 발달양상 규명에 적절한 중합단면이 도출되었고 다중반사파의 억제로 백악기 기반암의 해석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검증된 전산처리과정은 도미분지와 인근 소라분지, 북소라분지의 탄성파 자료 전산처리 품질의 규격화 및 처리속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릉분지 남서연변부의 탄성파 시퀀스 층서분석 (Seismic Sequence Stratigraphy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 최동림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6권1_2
    • /
    • pp.1-7
    • /
    • 1998
  • 울릉분지 남서연변부의 다중채널 탄성파단면도를 이용하여 중기에서 말기 마이오세동안의 시퀀스 층서분석을 정밀 분석 하였다. 해퇴층서는 오랜 융기되고 변형된 하부층을 기저로 한 해침층서 위에 발달하였다. 뚜렷한 응축층이 해침과 해퇴층서사이를 구분 짓는다. 해침층서는 하부의 융기되고 변형된 지층위로 상향걸침한다. 해퇴층서는 구분 가능한 저해수준, 고해수준, 그리고 해침 체계역으로 구성된 여섯 개의 전진형 퇴적 시퀀스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퇴적 시퀀스는 분지선상지, 사면선상지, 그리고 전진복합체로 이루어진 저해수준 체계역이다. 잠재적인 석유 저류층은 분지선상지의 사암, 사면 선상지의 해저수로 충진 사암과 오버뱅크의 사암, 그리고 대륙붕지역의 침식곡 충진 사암들이다. 또한 해침퇴적층서내 천해사암층도 유망하다. 성공적인 탐사활동을 위해 연구 주변지역에 대한 정밀 시퀀스 층서분석, 탄성파 자료의 재처리, 그리고 3-D탄성파 탐사의 실시를 제안한다.

  • PDF

퇴적분지형성 메커니즘에 관한 아날로그 모델 실험 (An Analog Experimental Model of the Formation Mechanism of Sedimentary Basins)

  • 김우석;정자혜
    • 지질공학
    • /
    • 제28권3호
    • /
    • pp.397-409
    • /
    • 2018
  • 일본 시코쿠 서부의 이즈미 퇴적분지는 중앙구조선의 굴곡부(사쿠라기 굴곡) 서쪽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시코쿠 서부의 이즈미 퇴적분지의 형성 메커니즘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즈미 퇴적분지의 층서는 일반적으로 굴곡부를 향해서 퇴적시기가 젊게 퇴적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특징은 비대칭 pull-apart 퇴적분지와 비슷하다. 그래서, 이즈미 퇴적분지가 비대칭 pull-apart 퇴적분지인지에 대한 연구를 아날로그 모델실험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을 실시하여 길이 60 cm, 폭 20 cm 정도의 퇴적 분지가 형성되었다. 모래 표면에는 퇴적분지를 감싸듯 2차 단층으로 정단층이 나타났다. 또한, 변위방향과 평행한 단면에서는 퇴적한 층이 개방성의 굴곡부를 향해서 층리가 젊어져 가는 구조가 보였다. 변위방향과 수직단면에서는 주로 단층과 반대의 경사를 가진 선상(listric) 정단층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이즈미 시코쿠 서부의 퇴적분지와 매우 유사하며, 이즈미 시코쿠 서부의 퇴적분지가 비대칭 pull-apart퇴적분지의 가능성을 지지하는 것이다.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Region)

  • 최지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4-439
    • /
    • 2007
  • Amended Water Quality Environment Preservation Law enacted that the areas where nonpoint pollution is serious can be designated as Nonpoint Source Management Region. According to Section 54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Preservation Law, corresponding watersheds are areas where runoff from nonpoint pollution source may deteriorate river and lake water quality, residents' health and property, and ecosystem. The criteria are as followings; i) where nonpoint source contribution result in or will result in significant ecological destruction, iii) national or local industrial complexes and cities having population greater than one million where nonpoint source managements are necessary, iv) where specific measurement is necessary because of its geological and stratigraphic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detailed designation criteria was developed reflecting current nonpoint source management situation and its discharg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sult, target regions were also suggested. In additions, it will be desirable that the target regions are prioritized considering institutional execution availability, stakeholder's agreement, and connection with exis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measures.

멕시코만 Main Pass 해역의 중생대-신생대 퇴적층의 탄성파층서 (Seismic Stratigraphy of the post-Paleozoic Sedimentary Section in the Main Pass area, Northern Gulf of Mexico)

  • 서만철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4권1_2호
    • /
    • pp.1-11
    • /
    • 1996
  • 미국 멕시코만 Main Pass해역의 심부 다중탄성파단면도를 해석하여 이 지역의 층서와 퇴적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성파단면을 이용한 구조해석을 통하여 기반암과 과거의 대륙붕단 위치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밝힐 수 있었다. 기반암은 미시시피 대륙붕의 탄성파 측선 LSU-1 북단에서 $7.5{\cal}Km$ 깊이에 존재함이 밝혀졌다. 또한, 쥬라기 -백악기 초기에는 대륙붕단이 거의 같은 지점에 위치하였으나 신생대 올리고세에는 그보다 약 28 Km 대륙쪽에 위치함이 밝혀졌다. 중생대-신생대 퇴적층은 10개의 탄성파층서단위 (seismic stratigraphic sequence) 로 구분되며 , 멕시코만 주변의 다른 해역과 비교해볼 때 주된 광역부정합면은 중기 마이오세 (10.5 Ma), 중기올리고세 (30 Ma), 중기 백악기 (97 Ma) 와 쥬라기말 (131 Ma)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구해역은 퇴적사로 볼 때 3개의 현저한 시기로 나눌 수 있는바; (1)멕시코만 열림 -중기 백악기 사이의 천해퇴적 환경; (2)중기 백악기 -중기 올리고세 사이의 심해퇴적환경; (3)중기 을리고세 이후의 천해퇴적환경으로 구분된다. 멕시코만 북부해역에 위 치하는 Main Pdss해역과 동북부 해역에 위치하는 Destin Dome 지역에서 시추된 시추자료와 탄성파자료를 종합하여 해석한 결과 멕시코만 북부 퇴적분지가 후기백악기부터 육성기원의 쐐기 (wedge)형태로 발달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연천층군과 임진강습곡대의 층서.구조적 재고 및 분포 경계 (Stratigraphic and Structural Review of Yeoncheon Group and Iimjingang Fold Belt, and Its Edge of Distribution)

  • 최위찬;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6호
    • /
    • pp.627-634
    • /
    • 2009
  • 야마구찌의 '소위 연천계,' 북한의 '림진계,' 국토기본지질도상의 연천층군 간의 차이점에 대한 재정의를 통하여 연천층군과 임진강습곡대의 의미를 올바르게 인식하고자 한다. 연천층군의 남-북간 전체지역에 대한 개략조사 단계로 (북한에 속해있는) 임의의 지역에 대한 지층의 지질구조 인자를 이해하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관찰하여 단면도를 인지하는 위성영상 판독방법이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