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ong Authentication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1초

A Study on Strong Minutiae Extraction for Secure and Rapid Fingerprint Authentication

  • Han, Ji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2호
    • /
    • pp.65-71
    • /
    • 2017
  • Fingerprints are increasingly used for user authentication in smal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s in personal devices to protect the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efficiently with a lightweight matching algorith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extract strong minutiae with unique numbers from fingerprint images. Strong minutiae are at all times obtained from fingerprint images, and can be useful for secure and rapid fingerprint authentication. The binary information of strong minutiae of a fingerprint can be transformed securely and can create cancelable fingerprint templates. Also the bit-strings of strong minutiae decrease computing time necessary for the matching procedure between two fingerprints due to the simplicity of bitwise operations. First, we enroll several fingerprints images of a finger. From these images we select a reference fingerprint and put a number on each minutia. Following this procedure, we search for mated-minutiae between the reference fingerprint and other fingerprints one by one. Finally we derive unique numbers of strong minutiae of the finger. In the experiment with the FVC2004 fingerprint database, we show that using the proposed method, strong minutiae can be extracted successfully.

공개키를 이용한 커버로스 기반의 강력한 인증 메커니즘 설계 (Design of a Strong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Public-Key based on Kerberos)

  • 김은환;전문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7-76
    • /
    • 2002
  •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커버로스는 사용자와 응용 서버 사이에 인증을 위해서 대칭키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영역의 시스템을 신뢰할 것을 가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커버로스에 공개키/개인키를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강력한 인증 메커니즘을 설계하였다. 제안하고 있는 메커니즘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미리 정해진 long-term 키와 공개키를 통해 교환한 랜덤 수에 MAC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암호화에 사용하는 세션키 값을 매번 바꾸어주기 때문에 안전성을 높였다. 또한, 영역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자 서명 기반의 시도-응답(challenge-response) 기법을 통한 상호 인증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여 사용하는 키의 수를 줄였다.

재전송 공격에 안전한 개선된 강력한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Improved Strong Password Authentication Scheme to Secure on Replay Attack)

  • 김준섭;곽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33-140
    • /
    • 2011
  • 패스워드 기반 인증은 2개의 개체가 사전에 패스워드를 공유하고 인증의 기초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패스워드 인증 방식은 약한 패스워드 인증 방식과 강력한 패스워드 인증 방식이 있다. 강력한 패스워드 인증 방식 중, SPAS는 서비스 거부 공격에 안전한 프로토콜로 제안되었으나 재전송 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PAS에 대한 재전송 공격 취약성을 분석하고, 재전송 공격에 안전한 개선된 강력한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비동기 공격에 안전한 패스워드기반 상호 인증 프로토콜 (Enhancement of Password-base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against De-synchronization Attacks)

  • 육형준;임강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4-32
    • /
    • 2013
  •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그 중 SPMA(Strong Pass Mutual Authentication), I-SPMA(Improved Strong Password Mutual Authentication) 프로토콜은 과거 프로토콜이 갖는 상호인증, 재전송 공격 등에 대한 취약점에 취약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이를 보안한 안전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프로토콜은 서버와 사용자가 공유한 정보가 동기화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문제를 발생하며, 이를 복구할 수 있는 대안이 없어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 되었을 때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보안 요구조건에 따른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상기 SPMA, I-SPMA가 갖는 취약점을 보안하였을 뿐만 아니라 비동기 시 발생하는 취약점도 보완하여 더욱 안전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사용자 인증을 활용하는 시스템에 도입할 경우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재전송 공격에 안전한 개선된 강력한 패스워드 상호인증 프로토콜 (Improved Strong Passwor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to Secure on Replay Attack)

  • 김준섭;곽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15-425
    • /
    • 2010
  •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인증은 중요한 보안 기술이다. 특히,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방식은 분산된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많은 인증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SPMA 프로토콜은 NSPA 프로토콜에서 상호인증을 제고하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취약성을 지적하며, 상호인증을 제공하는 강력한 패스워드 상호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SPMA 프로토콜은 재전송 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PMA 프로토콜의 재전송 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분석하고, SPMA 프로토콜과 동일한 효율성을 제공하면서 재전송 공격에 안전한 개선된 강력한 패스워드 상호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JK-RFID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개선된 전방향 안전성 (An Enhanced Forward Security on JK-RFID Authentication Protocol)

  • 전동호;최성운;김순자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61-168
    • /
    • 2011
  • 2009년에 전동호 등에 의해 경량의 강한 인증과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태그는 단지 간단한 비트연산들과 난수생성기를 필요로 한다. JK-RFID 인증 프로토콜은 도청, 재전송, 스푸핑, 위치추적, 서비스거부 공격, 전방향 안전성에 대한 강한 보안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전방향 안전성에 대한 취약성을 지적하고 키 업데이트 과정에 대한 연산을 개선하였다. 본 논문은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는 개선된 JK-RFID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전방향 안전성을 만족함을 검증하였다. 또한, 제안된 프로토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제안 프로토콜은 JK-RFID 인증 프로토콜에서 키 업데이트 부분의 연산을 수정하여 전방향 안전성을 개선하였다.

다단계 사용자 신분확인 메커니즘 설계와 구현 방안 : 출입통제 시스템 사례 중심으로 (Toward Design and Implement to Multiple Schemes for Strong Authentication Mechanism - Case Studying : Secure Entrance System -)

  • 홍승필;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61-172
    • /
    • 2006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되면서, 그와 관련 된 정보시스템 역기능(개인정보 오남용, 정보의 위험, 위협, 취약점등)의 우려 또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강력한 다단계 사용자 신분확인(Multiple schemes for Strong authentication)메커니즘을 소개하고, 실제 시스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설계 방안과 응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자바 카드) 기반에 암호화와 생체인식(지문)기술을 접목한 통합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함으로써, 최근 들어 중요시 되고 있는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 및 공공.금융기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금융카드 도용 및 불법 복제등과 같은 위험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대안 기술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카드 환경 내에서 실제 시스템 개발자가 구현이 용이하고 응용이 쉬운 "스마트카드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개발하고 구체적인 자바카드기반의 생체인식 적용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활용방안에 대하여서도 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PDF

PKI 인증과 FIDO 인증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KI Authentication and FIDO Authentication)

  • 박승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411-1419
    • /
    • 2017
  •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인증은 개인키 소지(possession)와 개인키 보호 패스워드 지식(knowledge)이라는 2 요소 인증(2 factor authentication) 능력과 안전한 공개키 암호 프로토콜을 통해 인터넷 거래의 신뢰 인프라 구축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하나의 인증서로 모든 PKI 사이트를 접근할 수 있는 점도 PKI 인증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증서 인프라 구축 비용, 인증서 관리에 따른 사용자 불편함, 그리고 개인키 보호 패스워드 관리의 어려움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어 왔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FIDO(Fast IDentity Online) 인증은 PKI 인증과 같이 공개키 암호 프로토콜에 기초한 강력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사용자별 인증서 발급이 불필요하고, 생체 인증 등과 결합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인증 서비스 제공을 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PKI 인증과 FIDO 인증의 동작 방식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각각의 응용 분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력한 패스워드 상호인증 프로토콜 (Strong Passwor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 윤은준;홍유식;김천식;유기영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1호
    • /
    • pp.11-19
    • /
    • 2009
  • 최근, 인터넷과 같이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환경에서, 사용자 인증은 비밀성과 무결성 보장을 위해 보안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패스워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비용과 효율성 측면에서 갖는 장점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쉬 함수를 사용한 강력한 패스워드 상호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인증 프로토콜은 기존의 관련 프로토콜들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보안성과 효율성을 제공하여 주어, 인터넷 인증 프로토콜로 실용적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소유권 확인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강력한 패스워드 생성 및 관리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Strong Passwords using an Ownership Verified Smartphone)

  • 박준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1호
    • /
    • pp.30-37
    • /
    • 2020
  • 패스워드 자체의 보안성을 높이는 시도와 함께,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에 추가적 인증을 강제하는 것은 패스워드 인증 방식의 보안성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은 강력한 패스워드를 사이트마다 달리 사용하려는 잘 알려진 문제에 대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추가적 인증을 내재한 패스워드의 생성 및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패스워드 매니저라 알려진 기술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다수의 패스워드를 기억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요구가 있을 때마다, 강력한 사이트별 패스워드를 생성해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기존 기법들과 다른 점은, 제안 기법은 패스워드 추출을 위해 스마트폰 소유권 검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패스워드 추출 과정 진행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중 인증을 강제하지 않거나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에 대해서도, 제안 기법 적용 시 이중 인증을 적용해 로그온을 하는 것과 같은 보안성 향상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제안 기법은 패스워드 추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사용자 스마트폰의 저장 정보 유출 시에도, 공격자가 사용자로 위장하거나 비밀 정보를 탈취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