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areas

검색결과 1,166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의 생물 영역과 타 교과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y-related Contents Presented in Science and Other Subject Matter Area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박재근;강호감;김용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63-75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ntents of biology domains that were dealt with in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science curriculum were in turn dealt with in the other subject matter areas. Through this, it was hoped that the place and identity of biology as a subject could be more clearly established and defined and additionally, mor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new national science curriculum could be acquired at the same time. Subject matter areas that overlapped with biology in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curriculum were practical arts, social studies and physical education.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specific components that were dealt with by these subject matter areas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science,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y failed to correspond across grades. Moreover, topics such as 'natural calamities and the environment' and 'human reproduction' that were dealt with by other subject matter areas, but not in science must be included for developing the new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ccordingly, when it comes to composing the contents of each subject matter area during creation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he relevant experts in related subject matter areas should be mobilize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the following areas: viability, the most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any hierarchy of relative importance between subjects. Additionally, efforts to reflect any improvements in the way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s developed which come about through this research are needed.

  • PDF

지리과에서의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Unit of Geography Curriculum - Centering in High School)

  • 김영미;김창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156-176
    • /
    • 1998
  • On the border between the Geography subject and the Science subject, much of the content area is found to be interrelated or shared in comm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This possibly causes a problem of which of the two subjects should treat these overlapping areas with more responsibility and importance, and, as a result, might cause teachers to neglect the areas and result in insufficient treatment of the areas on both sides. In other words, these overlapping area can be overlooked on both subjects. On the other hand, as the science subject treats these areas more deeply and widely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geography subject might lose its original content area to the science subject and accordingly lose its characteristics as an independent subject. To conclude, the following suggestion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we develop and organize the environment-related unit in the geography subject. First, the various real cases damaged by pollution, the efforts and steps to avoid being polluted, the inquiry questions and activities to set up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sufficient assistant materials such as maps, graphs, photos, illustrations, statistics, which will help to realize the environment problem more directly and clearly, must be presented in the textbooks. Second, as the environment education is not just teach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ontent should be composed for the students to realize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and to change their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Third, the environment education cannot be restricted to a certain subject, or it needs to be approached in multi-subject areas. To exercise a effective environment education while we maint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y subject, a way to link the environment and the region, which is one of the main concepts of geography, should be developed. Finally, textbooks are indispensible materials to teaching-learning, but for more effective teaching the teachers of geography should try to recompose and reorganize the content and to develop newer and more effective teaching material-aids.

  • PDF

정책분야 주제가이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Policy Areas Subject Guide)

  • 노영희;박양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63-9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정책 분야별 가이드를 개발하고 관련 정보원 구축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며, 이를 기반으로 시범적으로 정책정보원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정책분야 주제별 가이드 개발 및 구축을 위하여 첫째, 수집된 정보자료의 유형을 상위 9개로, 세부 유형을 총 19개로 구분하였다. 둘째, 정부기능분류체계인 BRM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주제별 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구축하였고, BRM 서비스 주제 단계는 3단계, 총 133개 세부 주제 분야로 가이드 구축범위를 확정하였다. 셋째, 133개 BRM 주제분야별로 개발된 주제가이드에 따라 총 6,305건의 콘텐츠를 구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책분야 주제가이드는 실험적 데이터 구축을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정신의학 분야 국제공동연구의 지적구조 네트워크 분석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Network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sychiatry)

  • 김은주;노성원;남태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3-84
    • /
    • 2016
  • 이 연구는 한국의 정신의학 분야 국제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에 중점을 두어 정신의학 분야 국제공동연구의 핵심 연구동향을 반영하는 지적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는 Web of Science를 기반으로 수집하였으며, 검색 대상 기간은 2009년에서 2013년까지로 하였다. 고급검색 기능을 통해 정신의학 연구 분야를 의미하는 SU="psychiatry"의 검색 식을 사용하였으며, 국제공동연구만을 선택해 총 18,590건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 18,590건 논문의 저자 키워드와 WoS에서 부여한 키워드를 합쳐 최종 선정된 85개 키워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환을 중심으로 총 8개의 세부 주제 영역을 확인하였다. 둘째, 높은 영향력을 가지며 다른 키워드들 간의 매개를 도모하여 주제영역을 확장시키는 총 6개의 핵심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셋째,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한국연구재단의 학문분류표를 이용하여 세부 주제영역으로 규명한 결과 총 15군집, 총 12세부 주제영역을 확인하였다.

국민학교 육차 교육과정의 실과 지도내용 및 지도모형 연구 (A Study of Teaching Contents and Models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Sixth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 김혜자;최도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0
    • /
    • 1994
  • Currently, textbooks of practical arts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being revised for the sixth time. All the students in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ill learn these new textbooks beginning in March, 19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odels suitable for the new textbooks of practical arts under the sixth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Teaching guidances with subject matters in new textbooks are presented in Table 2, 3, 4, 5. The subject matters for each grade are divided into four main areas under the sixth curriculum. 2. The subject matters under the sixth curriculum are clothing, food, houseing, gradening, computer, industry and commerce. These are included in the four main areas of handling, making, cultivating or breeding and keeping. Activities or contents in these main areas are not necessarily related to each other in sequence. 3. The subject matters in the main areas are not perfectly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child development. 4. Teaching models and their example for each teaching unit are presented in Table 6, 7, 8, 9, 10.

  • PDF

국내 학술지 논문의 주제어를 통한 학술연구분야 관계분석 (Relation Analysis Among Academic Research Areas Using Subject Terms of Domestic Journal Papers)

  • 이혜영;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3-37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물인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학문분야의 상호관계성과 연관성에 대한 연구로 연구동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술논문을 이용한 계량적 연구는 주로 논문의 초록, 자동추출 키워드, 논문의 풀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연구는 실험대상 학술논문의 저자가 제시한 주제어에 초점을 두었다. 실험대상 자료는 2009년도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80종으로 학술논문 7,616건, 주제어 58,143건이다. 자료 분석결과 공학, 농수해양, 복합학, 사회, 예술체육, 의약학, 인문, 자연과학 등의 8개 각 연구분야는 주제어 사용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특히 공학분야의 주제어가 다른 연구 분야에서도 주제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주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분야를 클러스터링 한 결과, 3개 클러스터를 얻을 수 있었다. 클러스터A는 '공학', '자연과학', '사회', '복합학', '인문', 클러스터B는 '의약학', '예술체육', 클러스터C는 '농수해양'이었다.

빅데이터 연구 논문의 주제 분야 연관관계 분석: 동시 인용 관계를 적용하여 (Subject Association Analysis of Big Data Studies: Using Co-citation Networks)

  • 곽철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3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연구 논문의 주제 분야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동시 인용관계를 적용하여 분석 대상의 주제 분야를 추출하였으며, R 프로그램의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관관계의 규칙을 분석하고, arulesViz 패키지를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22개 주제 분야가 추출되었는데, 이들 주제 분야는 3가지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주제 분야의 연관관계 유형을 분석한 결과, 연관관계의 복잡성에 따라 '전문형', '일반형', '확대형'으로 구분되었다. 전문형에는 문헌정보학, 신문방송학 등이 포함되었고, 일반형에는 정치외교학, 무역학, 관광학 등이 포함되었고, 확대형에는 기타인문학, 사회과학일반, 관광학일반 등이 포함되었다. 이 연관관계는 빅데이터 연구자가 한 주제분야를 인용할 때 관계가 있는 다른 주제 분야를 인용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서관에서 학술정보서비스를 위해 연관관계를 활용한 서비스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서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이수상;이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81-104
    • /
    • 2023
  •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소재 3개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EBSM과 collectionHQ에서 제시하는 핵심성과 지표를 적용하여 장서성과평가를 시도한 사례연구이다. 장서의 성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장서성과평가에 집중하며, 개별 도서관 평가뿐만 아니라 평가결과에 나타난 도서관별 차이를 검토하였다.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성과지표는 누더기 아이템, 사망 아이템, 인기저자 공급, 인기주제 공급, 과잉재고 주제분야와 재고부족 주제분야이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더기 아이템 평가에서 3개 도서관 모두 전체 아이템에서 누더기 아이템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망 아이템의 경우, 3개 도서관 모두 높은 비율로 나타나, collectionHQ에서 제안한 기준값을 초과하였다. 셋째, 인기저자 상위 10명을 확인하였으며, 도서관마다 차이가 났다. 넷째, 인기주제 공급 평가에서는 3개 도서관 모두 기준값에 미치는 인기주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도서관별로 상위 10개의 인기주제를 식별하였다. 다섯째, 과잉재고 주제분야 평가에서는 금샘도서관은 과잉재고 주제분야가 하나도 없었지만, 금정도서관과 서동도서관에서는 다수의 주제분야가 과잉재고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재고부족 주제분야 평가에서는 금샘도서관에서만 재고부족 주제분야가 나타났다.

의학대학 소속 연구자 발표 논문의 주제 분야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opic Areas of Medical School Researchers)

  • 김희정;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5-12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주요 의과대학 소속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논문 주제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의학 주제영역의 학제적 성격에 대한 파악과 함께 국가별 연구 주제 영역의 특성과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저널 수로 파악된 한국 의학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 영역은 CLINICAL NEUROLOGY이며 논문수로 파악된 주요 연구영역은 RADIOLOGY, NUCLEAR MEDICINE & MEDICAL IMAGING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의학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영역은 저널 및 논문 분석 결과 모두 동일하게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연구자들은 몇몇 주제분야에서 일부 저널에 논문을 다수 게재하는 출판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cientific Data 학술지 분석을 통한 데이터 논문 현황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Scientific Data for Data Journal and Data Paper)

  • 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7-135
    • /
    • 2019
  • 데이터 학술지와 데이터 논문이 오픈과학 패러다임에서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이라는 학술활동이 등장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영향력있는 다학제적 분야의 데이터 학술지인 Scientific Data에 게제된 총 713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저자, 인용, 주제분야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자의 주된 주제 영역은 생명공학, 물리학 등으로 나타났으며, 공저자 수는 평균 12명이다. 공저 형태를 네트워크로 살펴보면, 특정 연구자 그룹이 패쇄적으로 공저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의 주제영역을 살펴보면, 데이터 논문 저자의 주제영역과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났으나, 방법론을 주로 다루는 학술지의 인용 비중이 높은 것은 데이터 논문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데이터 논문 저자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동시출현단어분석 네트워크로 살펴본 데이터 논문의 주제영역은 생물학이 중심이며, 구체적으로 해양생태, 암, 게놈, 데이터베이스, 기온 등의 세부 주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학제학문 분야를 다루는 데이터 학술지이지만, 데이터 학술지 출간에 관한 논의를 일찍부터 시작해온 생명공학 분야에 집중된 현상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