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heading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 확장전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of Headings for Digital Trend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정옥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7-19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의 확장 전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듀이십진분류법과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이 전개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디지털 관련 주제를 분석하였다. 셋째, 듀이십진분류법 제23판과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 전개된 디지털 관련 분류 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본표에 전개된 분류항목명과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에 전개된 디지털 관련 항목명이 12개 항목으로 디지털 관련 자료의 합리적인 분류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KDC의 디지털과 관련된 항목명을 포함주기와 분류지시주기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분류항목으로 확장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이용자 중심의 주제어 기반 분류를 위한 주제명 개발에 관한 연구: 지식조직체계 분석을 바탕으로 (A Study on Construction of Subject Headings for the Word Based Classification)

  • 백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1-193
    • /
    • 2011
  • 본 연구는 도서관 장서의 분류를 위하여 기존의 문헌 분류체계 대신 주제어 기반의 분류를 적용하고자 할 때 필수적인 주제명 개발의 필요성을 논하고,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기존의 다양한 지식조직체계의 주제어를 활용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분석 대상 저작을 선정하고 이에 대하여 부여된 문헌분류, 주제명표목, 국내외 대형 서점의 분류, 서가명 및 주제어, 이용자 태그 등 다양한 지식조직체계의 주제어를 수집하여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전통적인 도서관 중심의 지식조직체계와 상업성이 중심이 되는 지식조직체계의 성격과 범주화의 방식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용자 태그는 최상위 빈도수의 태그인 경우 전통적인 지식조직체계 및 상업적 영역의 지식조직체계와 어휘의 측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이용자 중심의 주제어로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분류를 대체하는 주제명 작성을 위해 기존의 지식조직체계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각각의 특성 및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고, 국내에서의 적용을 위한 실질적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커뮤니티 주제 어휘의 상호운용에 관한 연구 (Interoperability of Community-Oriented Subject Vocabulary)

  • 이원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97-3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커뮤니티 주제 어휘의 특징을 선행연구인 ULIS-DL과 디지털오카야마 대백과(디지털강산대백과(デジタル岡山大百科))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이들 어휘들의 상호운용 모델을 일본의 동경도(東京都), 홋카이도(북해도(北海道)), 한국의 충청남도의 각 도청 홈페이지의 디렉토리 용어들을 이용하여 제안하였다. NDLSH(National Diet Library Subject Heading)와 NDC(Nippon Decimal Classification)를 스위칭 언어를 사용하여 다섯개의 어휘 매핑 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모델들에 대한 평가 및 한계점에 관하여 매핑의 정확율과 재현율을 이용하여 논하였다.

  • PDF

인명표목통제를 위한 전거레코드작성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of Authority Record for Heading Control of Personal Name)

  • 정옥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7-282
    • /
    • 2001
  • 이 연구는 인명표목통제를 위한 전거레코드작성의 합리적인 기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ICCP의 제원칙의 성명, 한국편목규칙의 표목부와 한국문헌목록정보에 있는 인명표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점을 조사하여 인명표목에 대한 레코드작성지침을 제시하였다. 표목통제를 위한 레코드작성지침은 별도로 편찬하지 않고, 편목규칙의 표목부 규칙에 통합하여 편찬하는 것이 더욱 유용하고 합리적이다. 또한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동명이인의 구별방안과 주제명일람표 작성방안을 제시 하였다 .

  • PDF

주요 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에 나타난 한국관련 주제명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ubject Headings Related to Korea in the National Library OPACs of Major Countries)

  • 김정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1-162
    • /
    • 2011
  • 이 연구는 주요 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자료의 실태분석을 위해 한국관련 주제명의 주제별 특성과 레코드의 소장상황, 그리고 한국입장에서 쟁점이 되고 있거나 관심이 높은 일부 주제명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미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에 저장되어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일본관련 레코드와 비교할 때 대략 2~3배 이상 적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한국관련 레코드의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 대체로 '역사'와 '경제'가 가장 많게 나타나고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한국전쟁'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한국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이 왜곡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셋째, 한국관련 레코드가운데 대부분이 북한에 비해 남한관련 레코드가 1.5~5배 이상 많게 나타나고 있지만 폴란드, 이탈리아, 멕시코는 오히려 북한이 많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 '김치', '독도', '동해' 등의 용어는 국가마다 미묘한 차이점이 드러나고 있지만, 우리의 주변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미국의회도서관의 주제명표기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다섯째, 특히 우리의 인접국인 중국과 일본의 경우, 자국의 정치적, 역사적 입장을 철저하게 반영하여 나타냄으로써 일부 주제명의 표기에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표목통제를 위한 전거레코드작성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of Authority Record for Heading Control)

  • 정옥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5-163
    • /
    • 2002
  • 이 연구는 표목통제를 위한 전거레코드작성의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ACR2R과 KCR2의 표목부의 체계문제를 파악하여 그 개선점과 GARE에 제시된 표목통제을 위한 전거레코드 작성의 지침을 분석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동명이인과 동명이단체의 구별방안과 주제명일람표의 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전거레코드를 통일적이고 일관성 있게 작성하기 위한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보다는 편목규칙의 표목부에 통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한국 주제명 표목의 패싯 유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Facets for Subject Headings in Korea)

  • 최윤경;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79-201
    • /
    • 2015
  • 주제명 표목은 키워드 검색 환경에서 정교한 주제 브라우징과 검색을 제공할 수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주제 접근 도구에서 적용된 다양한 패싯 유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주제명 표목에 적용 가능한 패싯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혼재된 주제와 패싯에 대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사례 연구에서는 OCLC FAST와 PRECIS 제2판과 시소러스의 구축 지침인 "Thesaurus construction and use", 콜론 분류법 제7판, 블리스 서지 분류법 제2판, 국제십진분류법 제3판의 패싯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주제명 표목에 적용 가능한 22개 패싯을 제안하였다. 상위 패싯으로 토픽, 사건, 장소, 시대, 개인명, 단체명, 표제명, 형식, 장르, 언어, 인물인 11개 패싯을 정의하고, 토픽 패싯은 하위에 토픽-사물/개체와 토픽-행동, 그리고 이 두 패싯의 하위로 부분, 종류, 전체, 속성, 물질, 수혜자, 산물, 부산물, 주체 패싯을 정의하였다.

세계 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동해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East Sea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Various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7-76
    • /
    • 2019
  • 동해 지명의 변천과 표기의 다양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54개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를 조사하여 동해관련 자료의 표기 실태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동해관련 자료가 대부분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일부 특정 국가도서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한 건도 검색되지 않은 곳이 5개관에 달했다. 둘째, 각국의 국가도서관에서 동해관련 자료의 표제 키워드는 일본에서 동해를 지칭하는 용어인 '일본해'로 표기한 경우가 67.9%, '동해' 29.6%, 이들 용어의 병기가 2.5%로 나타났다. 셋째, 각국의 국가도서관에서 동해관련 자료가운데 '일본해' 또는 '일본해(지리한정어)'라는 의미로 주제명을 나타낸 경우가 86.9%, '동해' 1.2%, 일반주제명이거나 주제명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가 11.9%로 나타났다.

세계 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독도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Dokdo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Various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3
    • /
    • 2019
  • 독도 지명의 변천과 표기의 다양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54개 국가도서관의 목록레코드를 조사하여 독도관련 자료의 표기 실태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독도관련 자료가 대부분 미국, 호주, 영국 등 일부 특정 국가도서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한 건도 검색되지 않은 곳이 5개관에 달했다. 둘째, 각국의 국가도서관에서 독도관련 자료의 표제 키워드는 한국에서 독도를 지칭하는 용어인 '독도'로 표기한 경우가 76.1%, '다케시마' 17.6%, '리앙쿠르암' 0.4%, 이들 용어의 병기가 5.9%로 나타났다. 셋째, 각국의 국가도서관에서 독도관련 자료가운데 '독도(한국)' 또는 '독도'라는 의미로 주제명을 나타낸 경우가 54.9%, '다케시마(일본)' 또는 '다케시마' 11.2%, '리앙쿠르암'과 '독도/다케시마' 병기가 각각 1% 미만, 일반주제명이거나 주제명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가 33%로 나타났다.

세계 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태권도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Taekwondo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Various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5-77
    • /
    • 2021
  • 태권도의 역사적 배경과 용어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53개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를 조사하여 태권도관련 자료의 표기 실태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태권도관련 자료가 미국, 독일, 중화민국, 영국, 스페인 등 일부 특정 국가도서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한 건도 검색되지 않은 곳이 4개 국가도서관에 달했다. 둘째, 태권도관련 자료의 표제 키워드는 직접적으로 태권도를 의미하는 용어가 93.5%이고, 기타 한국 무예, 한국 호신술, 한국 가라데 등이 6.5%로 나타났다. 자료의 언어별 빈도는 영어가 38.7%, 독일어, 스페인어, 중국어, 한국어 등이 각각 8~9%이다. 태권도의 로마자 번자는 'Taekwondo' 50.3%, 'Tae kwon do' 18.5% 등이다. 셋째, 태권도관련 목록의 주제명은 실제적인 의미가 태권도를 나타내는 주제명이 74.7%로 대부분이지만, 가라데를 의미하는 주제명이 7.6%, 일반 주제명 5.7%, 주제명이 기술되지 않은 경우가 12.0%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국가도서관에서 태권도를 가라데로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