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matter knowledge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7초

함수개념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난 subject-matter knowledge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능력의 발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Subject-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Function Instruction)

  • 윤석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75-596
    • /
    • 2007
  • 본 논문은 예비교사들이 함수교육과 관련된 subjective-matter knowledge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의미있게 학습하고 발전시키는 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함수의 기본개념과 원칙,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조직되었는지를 이해하는 능력과 의미있는 함수학습이 가능하도록 그들을 표현하고 구성하는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와 협동학습에 기반 한 학습방법을 채택하였다. 사전, 사후테스트와 인터뷰를 통하여 평가한 결과 소그룹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 결과를 전체 구성원과의 토론을 통하여 학습하는 과정에서 보다 깊이 있고 확장된 subject-matter knowledge와 다양한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획득하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 PDF

A Review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Teaching Earth System Concepts

  • Roehrig, Gillian H.;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4-503
    • /
    • 2011
  •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earth science has been re-conceptualized as an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entitled Earth System Science (ESS), which is based on knowledge of the physical earth system and human impact on the earth. While there is increasing effort to teach earth as a system in K-12 education, teachers' preparedness of to teach earth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article focuses on reviewing the literature of teachers' knowledge of earth systems and of how teachers'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ffects their teaching practic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a literature of PCK in general as well as in science teaching. Then this study duscuss what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is and what it means to be in teaching earth system science. Third, a literature of teachers' knowledge of earth system was reviewed. Finally, a number of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are made as to what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do to better prepare future teachers to teach earth systems.

초등교사의 분수 지식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Fraction)

  • 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1호
    • /
    • pp.67-85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fractions. The subject for data collection were 12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ritten test problems. The finding imply that most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 fraction construct as part-whole, show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operator, ratio, and measurement constructions and word problem posing, using models, and developing the algorithms to divide fract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s that experienced teachers possess poor knowledge of fractions against novice teachers.

  • PDF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Pass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CK)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53-56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그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속 초등학교 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부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해 '중요함'과 '조화열정'은 높은 수준, '시간/에너지 투자'와 '강박열정'은 보통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과학 내용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교직 경력보다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른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는 과학 PCK에 대한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개인의 관심 및 흥미', '고등학교 계열',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 '과학 관련 대학원 진학 여부', '초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영재교육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과학 전담 교사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 연수', '과학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과학 및 과학영재 관련 업무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공동체 참여 경험' 등을 골고루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 선택 비율에서는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교과교육학으로서 컴퓨터교육학의 체제와 방향 (The Structure and Direction of the Computer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ubject Matter Education)

  • 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37-350
    • /
    • 2001
  • 컴퓨터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컴퓨터교육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교과 지식과 교육 방법이 서로 유리되어 겉돌고 있는 교육 현상을 바로잡고, 학교 현장에서의 컴퓨터교육의 질적 개선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와 교육, 지식과 정보 그리고 ICT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컴퓨터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탐색하였다. 또한, 교과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통해 컴퓨터교과의 개념을 탐색하였다. 아울러, 교과교육학의 개념, 전제와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교과교육학으로서 컴퓨터교육학의 체제와 방향을 도출하였다.

  • PDF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연산에 관한 내용적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교사교육적 관점 (A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Fraction-related Operations: A Teacher Education Perspective)

  • 서관석;전경순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03-113
    • /
    • 2000
  •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s o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eld by 63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dealing with the division by a frac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the preservice teachers did not have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division by a fraction and, in term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y depended heavily on algorithms without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division by a fraction.

  • PDF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비교 (Comparison of Academic Passion fo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etwe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임효진;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90-7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별로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과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학기에 교육대학에서 과학 관련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비과학 심화전공 1~4학년 학생 182명과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온라인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 내 비교에서는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경우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중요함'과 '좋아함'의 수준이 높았지만, 예비교사는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더 높았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에서는 예비교사가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높았지만, 다른 하위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간 비교에서는 예비교사의 경우 '조화열정'에서만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현직교사의 경우에는 '좋아함', '중요함', '시간/에너지 투자', '강박열정'에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수학과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지식 형성 과정 탐구 -함수 개념을 중심으로- (An Inquiry on the Building Proces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centered at function concepts-)

  • 강윤수;전성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217-23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building proces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about the function concepts.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the following steps; First, we performed the survey relaying to the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capabilities of their error evaluation of the students, and viewpoints about the function concepts. Second, we performed the survey on the subject-matter knowledge about the function concepts and the key items of designing teaching plans about the function concepts. And then, we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to check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to supplement the necessary contents. The collected data was relatively correlative and analyzed in the process.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subject-matter knowledge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about the function concept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ades. Second,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are building more extended function concepts through the major subjects. Third, the major subjects are important to buil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function concepts. Fourth, teaching exper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ransforming subject-matter knowledge of function concepts t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t. Fifth, building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eans transferring the teacher's viewpoint from himself/herself to the learner.

  • PDF

2015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 2학년 곱셈 단원 분석 (A Study on the 2nd Grade Multiplication Units in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53-38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plication unit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ents learn multiplication in $2^{nd}$ grade. The multiplication units is divided into two: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facts. In these two units, we mainly analyze situations involving multiplication, model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strategie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facts in relation to Subject Matter Knowledge. We called these contents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We examined the precedent study with regard to multiplication at the elementary mathematics. As results, we prepared an analysis framework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xpecially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The contents here refer to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that can be found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ing books etc. As results of analysis, We can confirm that various multiplication situations and multiplication model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it has been examined that various multiplication propertie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multiplication strategy levels. We insi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se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basic data in these contexts.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Comparative Perspective

  • Wong, Ngai-Ying;Rowland, Tim;Chan, Wing-Sum;Cheung, Ka-Luen;Han, Ngai-Sz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mong England,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n-item test in the SKIMA subject matter audit instrument [Rowland, T.; Martyn, S.; Barber, P. & Heal, C. (2000). Primary teacher trainee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and classroom performance. In: T. Rowland & C. Morg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3-18). ME 2000e.03066] from over 500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rom England performed consistently better, with those from Hong Kong being next and then followed by those from the Chinese mainland.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from Hong Kong and the Chinese mainland were fluent in applying routines to solve problems,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offering explanations or justif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