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 cla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왕우럭(Tresus keenae) (Mactridae: Bivalvia)의 배우자형성과정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Gametogenesis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Mactridae: Bivalvia))

  • 김진희;김대희;유명숙;양문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4-99
    • /
    • 2005
  • The gametogenesis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were investigated by SEM and TEM. Both the testis and the ovary had follicle tubes surrounded by inter-tubal tissue composed of adipogranular cells that provided storage function. In the vitellogenic oocyte, lipid droplets and lipid yolk granules were found in the vacuoles formed by the Golgi apparatus. Proteid yolk granules were formed by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cortical granules in the cytoplasm during vitellogenesis. The mature sperm was primitive and resembled a jar with a cover. The sperm heads were approximately $2.00-2.30 {\cal}um$. The acrosomal rod projected in front of the acrosome. In addition, four large mitochondria were in the midpiece.

왕우럭조개의 서식환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abitat Environment of Sulf Clam, Tresus Keenae)

  • 김철원;정달상;최성제;강한승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15-24
    • /
    • 2021
  • 왕우럭조개 양식산업화를 위해서는 왕우럭조개 서식지의 해양환경에 관한 기초자료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왕우럭조개 서식지 해양환경을 조사하여 인공종자생산을 위한 왕우럭조개 모패의 준비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왕우럭조개 서식지의 수온은 겨울철에 가장 낮았으며, 여름철에 높게 나타났다. 염분은 31.2 ~ 33.9 psu로 조사시기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pH는 7.69 ~ 8.70으로 겨울철에 높고, 여름철에 낮았다. 용존산소는 6.20 ~ 10.24 mg/L의 범위로 가을철이 봄철 및 겨울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 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계절에 따라 약 30 ~ 40종 정도로 규조류가 대부분이었다.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3.5 ~ 61.3 cells/ml로 계절마다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점종의 출현도 계절마다 차이를 보였다. 퇴적물 입도 조성은 모래 실트(sandy silt)이었다. 조류의 유향과 유속은 낙조시 남동방향으로 50 ~ 80 cm/s 나타났으며 창조시에는 북서방향으로 60 ~ 100 cm/s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왕우럭조개의 서식지 해양환경에 대한 지식의 제공 및 잠입 서식하는 패류의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사료된다.

사육조건에 따른 왕우럭, Tresus keenae의 여수율과 먹이섭취률 (Clearance and ingestion rate according to different culture condition in the sulf clam, Tresus keenae)

  • 김철원;정달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107-115
    • /
    • 2012
  • 치패 크기별 실험에서는 5mm치패의 여수율과 먹이섭취률은 각각 4.1 mL/h, 246×104세포/h였으며, 15mm치패의 경우는 각각 70.8 mL/h, 4245.0×104세포/h로서 치패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였다. 회분외 건중량(AFDW)당 여수율 및 먹이섭취률은 7.5mm 치패에서 각각 3.3 mL/mg AFDW/h, 196.0×104세포/mg AFDW/h로서 가장 높았다. 수온별 실험에서 10℃에서 여수율과 먹이섭취률은 각각 0.3×104세포/h였고, 25℃에서는 각각 16.6 mL/h, 993.4×104세포/h로서 25℃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여수율과 먹이섭취률이 증가하였으나, 30℃에서는 각각 12.9 mL/h, 772.6±298.6×104세포/h로서 25℃보다 낮았다. 먹이생물 농도에 따라서는 여수율은 30×104세포/mL일때는 21.1 mL/h였고, 농도가 240×104세포/mL일 때는 2.3 mL/h로서 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먹이섭취률은 먹이생물의 농도가 60×104세포/m일때 876.2×104세포/h로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왕우럭조개의 모패관리와 성숙촉진을 위한 가온 효과 구명 (Study on the Management of Broodstock and Effect of Raise the Temperature for Promotion of Maturity in Sulf Clam, Tresus keenae)

  • 김철원;정달상;강한승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1호
    • /
    • pp.149-157
    • /
    • 2019
  • 패류 인공종자생산에서 모패관리의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으며 최적의 모패 관리 조건과 원하는 시기에 종자생산을 할 수 있는 성숙유도 조건을 구명하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왕우럭 조개의 모패관리 최적조건과 성숙 촉진을 위한 가온 효과를 조사하였다. 모패관리는 실내사육에 비하여 실외사육이 비만도와 생존율 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 측면에서도 인위적인 먹이생물 공급이 없으며 자연환경 조건에서 사육하기 때문에 관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계가온을 통한 성숙촉진 유도는 비만도와 생식소 관찰 등을 통하여 수온 18℃ 이상에서 2개월 정도 사육하였을 경우 성성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성숙관리가 다른 패류에 비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퇴조개, Coecella chinensis (Mesodesmatidae: Bivalvia)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Sulf clam, Coecella chinensis (Mesodesmatidae: Bivalvia))

  • 김진희;손민호;강희웅;이기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120
    • /
    • 2013
  • 한국 남해안 남해 연안에서 채집한 퇴조개 (Coecella chinensis) 를 대상으로 생식주기, 생식소지수, 비만도지수 및 성비를 조직학적 분석 및 형태 계량학적 자료에 의해 조사하였다. 생식소지수 및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생식주기의 월별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암컷과 수컷 퇴조개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4월), 후기활성기 (5월), 완숙기 (6월), 부분산란기/방정기 (6-8월), 퇴화기 (8월) 및 비활성기 (9-3월) 의 연속적인 6기 (stages) 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종의 산란기는 6-8월 이었으나, 주산란기는 수온이 약 $24.5^{\circ}C$인 7-8월이었다. 난경모드 조사에서, 6월에는 특히 70 ${\mu}m$ 정도의 난모세포가 다수 출현하였으나, 7-8월에는 평균 50 ${\mu}m$ 전후의 난모세포가 약 80% 정도 출현하는 대신, 60-70 ${\mu}m$ 전후의 완숙 난모세포는 감소하였다. 암 수 개체들의 성비는 1:1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으며 (${\chi}^2$=1.20, p>0.05), 자웅동체는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