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mbol Mark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기업심볼마크의 변천 - CI 전문회사들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 (Transition of Domestic Corporate Symbol Mark - Chiefly Focusing on Portfolio of CI Specialized Companies -)

  • 이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07-214
    • /
    • 2007
  • 심볼마크는 인류가 오랜 역사를 통하여 자신이나 집단의 생활과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상징적인 형상을 표현함으로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산업혁명 이후 기업의 경영활동에 심볼마크가 사용되면서 CI라는 용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CI 개념의 심볼마크는 1907년 피터베렌스(Peter Behrens)의 A.E.G 디자인 작업이 시초라고 볼 수 있고 국내에 CI와 심볼마크에 대한 개념이 소개된 것은 1970년대 초반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현재까지 심볼마크는 CI의 핵심요소로서 시대상을 반영하며 많은 변화를 거듭해오고 있으며, 최근 들어 사회, 문화 전반에 감성에 소구하는 트랜드가 대중화되면서 심볼마크의 표현방법이 다양해져 가는 현실이다. 따라서 국내에 CI가 도입된 초기부터 현재까지 기업 심볼마크들을 CI 전문회사들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살펴보고 시대별 특성을 분석하여 차후 기업이미지 창출을 위한 심볼마크의 디자인 방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퍼어스 기호론과 심볼마크의 이해 (A Study on the Peirce's Semiotics and Understanding of Symbol Marks)

  • 황현택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5-16
    • /
    • 2005
  • 본 연구는 방대한 기호학 학문과 영역 탓에 이해하기 어렵고 또한 명확하지 않은 기호학 분야의 연구에서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기호학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의 기호학적인 연구의 업적을 아이덴티티 디자인 분야에 활용 할 수 있도록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는 기존의 기호학과 관련된 디자인관련 논문들을 재 고찰하고, 퍼스의 삼원적 기호학에 대한 진의와 범주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기업의 심볼마크를 설명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심볼마크는 관습적으로 한 제품, 서비스, 기업 자체를 의미하며 따라서 표현체적인 측면에서는 법칙 기호이다. 2) 심볼마크는 하나의 기호로서 대상체를 상징하므로 대상체의 세범주적 구분에 의해서 상징 기호이다. 3) 퍼스의 기호학적 정의에서 볼 때, 기업의 심볼마크는 사회적인 규칙을 통해서 존재하므로, 이는 논항 기호로 이해가 되어야만 한다. 4) 기업의 심볼마크는 과거부터 기업 혹은 조직들이 사용해 온 것이고, 대중들은 이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 자신의 제품에 심볼마크를 부착하고 대중에게 표상체로서 심볼마크를 보이는 것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사실, 즉 있는 그대로의 사실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심볼마크는 해석체적인 측면의 발화 지시적인 개별기호이다. 퍼어스의 기호학적인 측면에서의 심볼마크의 분류와 이해는 기호의 다양한 상호관계와 연계를 가지는 범주의 법칙과 여러 유형에 대한 이해를 단지 조형적인 측면에서의 구분이 아닌 개념적으로 또한 포괄적인 이해를 요구한다.

  • PDF

A study on the Symbol Mark Design in Fashion Accessory Brands - Focused on Jewelry brand -

  • Shin, Hae-Ky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6호
    • /
    • pp.163-175
    • /
    • 2011
  • This study tried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symbol mark for the fashion industry and effectively publicize the brand image of a small fashion accessory company through a powerful visual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research and an analysis of the features of existing fashion accessory compani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and features of their utilization of symbol marks for the enhancement of the brand's image. Total 48 fashion accessory brands focued on jewerly were selected from the Dictionary of Fashion Brand and the types of symbol analyzed the concepts and formative aesthetics of the symbol mark design in each brand. Based on the data, this study designed the fashion accessory company's logo and a new symbol mark design. It makes full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gos and the symbol mark that reflect the most critical issues of fashion accessory design so as to promote the consumers' level of product recognition as well as the product symbo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combining characters with concrete objects, they were found generally to use objects that give elegance, cute and feminine images, such as rings, hearts and small pets. Moreover, colors in the series of black/grey seemed to be used to convey the concept of accessory brands that pursue modern, sophisticate, and practical images. As these design plans, enhancement of the consumers' level of recognition of the brand is attempted as well as the execution of an effective publicity of the feature of the product through the use of the logo and symbol marks reflecting the features of the fashion accessory, instead of simply introducing the brand or product.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methods to design brand symbol marks for clothing should be incessantly sought in a way to build brand power as an important component to represent concepts and reinforce brand image.

혼합형 감성공학에 의한 CI 심벌마크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Corporate Identity Symbol Marks by Hybrid Kansei Engineering)

  • 장인성;박용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7권2호
    • /
    • pp.129-14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경영이념이나 특성 등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CI(Corporate Identity) 심벌마크의 설계 및 평가를 위해 혼합형(Hybrid) 감성공학기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CI 심벌마크에 내재된 기업의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SD평가를 실시하였으며 CI 심벌마크의 디자인 요소와 기업이미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정통적인 감성공학적 접근방식에 해당하는 순향성 감성공학기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는 CI 심벌마크의 디자인 요소로부터 기업이미지에 대한 고객의 감성을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역향적 감성공학기법을 적용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CI 심벌마크의 설계를 지원함으로써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장차 이용되리라 기대된다.

  • PDF

국내 대학의 심볼 마크 디자인 -2000년대 UI(University Identity)의 사례를 중심으로- (Symbol Mark Design of Domestic Universities -With Focus on Case of UI(University)in the 2000s-)

  • 권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77-86
    • /
    • 2007
  • 21세기 교육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각 대학들은 새로운 대학이미지 구축의 바람 즉, 이미지통합화를 위한 UI(University Identity)를 개발하고 있다. 외적으로는 대학을 상징하며 대학의 이미지 전달의 역할을 하고 내적으로는 소속된 집단의 올바른 의식을 갖게 하는 UI개발에서, 심볼 마크는 그 시각적 효과가 커 대학 이미지의 확립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또 대학의 자긍심과 단결심 그리고 연대감을 고취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타 대학과의 식별도 용이하게 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이미지를 구축하는 요소들 중 심볼 마크가 차별화 효과와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중요한 브랜드 자산이라는 점을 제시하고, 2000년대 개발된 국내 대학의 심볼 마크 디자인 상황을 36개 대학을 대상으로 조형 형태별과 적용 컬러별로 각각 분류하고, 엠블럼 활용 현황도 조사하여 각 심볼 마크의 특성과 개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물은 국내 대학 심볼 마크의 유형을 이해하고 향후 대학들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퍼지 - 뉴럴네트워크를 이용한 CI 심벌마크의 감성평가시스템 (Evaluation System of Psychological Feelings for Corporate Identity Symbol Marks Using Fuzzy Neural Networks)

  • 장인성;박용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5-314
    • /
    • 2001
  • In this paper, we construct an automatic evaluation system of psychological feeling for corporate identity (CI) symbol mark based on a fuzzy neural network technique. The system is modelled by trainable fuzzy inference rules with several input variabl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sign components of CI symbol mark) and a single output variable (consumer's feeling). The back 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 which is a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of multilayer feedforward neural networks, is used for parameter identification of the fuzzy inference system. The learning ability to train data and the generalization ability to test data are evaluated for the proposed evaluation system by computer simulations.

  • PDF

국내 제약회사 심벌마크의 시각적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CI Symbol Marks)

  • 홍일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43-450
    • /
    • 2016
  • 국내 바이오의약산업은 국가의 핵심전략 사업으로써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고령화로 인한 의약품 수요증가, 신약 R&D 투자성과 가시화, 바이오의약 중심의 R&D 변화, 전략적 해외 기술수출 확대, 정부의 적극적 지원으로 인하여 해외 시장 진출이 급속도록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제약회사도 글로벌 제약기업으로써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비자들에게 신뢰 받을 수 있는 기업으로써의 이미지 구축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마케팅 수단으로써의 CI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제약회사의 CI 심벌마크 시각적 특징 분석과 연령대별 선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벌마크에 대한 선호도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제작년도가 오래된 심벌마크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도와 비례하였다. 또한 픽처마크형 심벌마크가 워드마크 형태보다 절대적으로 선호되었다. 제약회사의 글로벌화를 위하여 기업 역시 대중의 인식변화에 대한 책임감이 요구되며 본 연구가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국내 제약회사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아이덴티티 전략의 기초자료로써 심벌마크 개발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창의·인성 연구소의 심벌마크 제작 (Production of Symbol mark in Creative and Personality Lab)

  • 이영우;김병만;이강훈;김정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5-316
    • /
    • 2021
  • 본 연구는 창의·인성 연구소 심벌마크 제작을 목적으로 3가지의 시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공통적으로 4C's를 표현하기 위하여 4가지 색상을 사용하였다. 시안1은 재미와 역동성을 자아내어 자유분방함을 표현하였고, 시안2는 사각형 도형의 형태로 정적이고 안정감이 있어 차분함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시안3은 창의인성 글씨의 자음만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