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G-72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4초

Enhanced Tumor-targeted Gene Delivery by Immunolipoplexes Conjugated with the Humanized Anti-TAG-72 Fab' Fragments

  • Kim, Keun-Sik;Park, Yong-Serk;Hong, Hyo-Jeong;Kim, Kwang-Pyo;Lee, Kwang-Hyun;Kim, Dong-E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2호
    • /
    • pp.651-656
    • /
    • 2012
  • Cationic immunoliposomes were prepared by conjugation of Fab' fragments of the recombinant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 (HuCC49) against tumor-associated glycoprotein (TAG)-72 to sterically unilamella liposomes. The cationic immunoliposomes are composed of cationic lipid (O,O'-dimyristyl-N-lysyl aspartate, DMKD), cholesterol, and 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N-[maleimide(polyethyleneglycol)$_{2000}$] (DPPE-PEG-maleimide) with a molar ratio of 0.5:0.47:0.03. Plasmid DNA was effectively condensed by addition of transferrin (Tf) during the formation of anti-TAG-72 PEG-immunolipoplexes (PILPs). These anti-TAG-72 PILPs were able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AG-72-overexepressing LS174T human colon cancer cells more effectively than conventional liposomes, thereby facilitating gene delivery in vitro. Furthermor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he anti-TAG-72 PILPs into the tumor-carrying mice exhibited efficient localization of the reporter gene in the tumor tissues.

Guided Selection of Human Antibody Light Chains against TAG-72 Using a Phage Display Chain Shuffling Approach

  • Kim, Sang-Jick;Hong, Hyo-J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6호
    • /
    • pp.572-577
    • /
    • 2007
  • To enhance therapeutic potential of murine monoclonal antibody, humanization by CDR grafting is usually used to reduce immunogenic mouse residues. Most humanized antibodies still have mouse residues critical for antigen binding, but the mouse residues may evoke immune responses in humans. Previously, we constructed a new humanized version (AKA) of mouse CC49 antibody specific for tumor-associated glycoprotein, TAG-72. In this study, to select a completely human antibody light chain against TAG-72, guided selection strategy using phage display was use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VH) of AKA was used to guide the selection of a human TAG-72-specific light chain variable region (VL) from a human VL repertoire constructed from human PBL. Most of the selected VLs were identified to be originated from the members of the human germline VK1 family, whereas the VL of AKA is more homologous to the VK4 family. Competition binding assay of the selected Fabs with mouse CC49 suggested that the epitopes of the Fabs overlap with that of CC49. In addition, they showed better antigen-binding affinity compared to parental AKA. The selected human VLs may be used to guide the selection of human VHs to get completely human anti-TAG72 antibody.

위암조직에서 종양관련항원 TAG-72와 CEA의 농도 및 분포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Tumor Associated Antigens, TAG-72 and CEA, in Stomach Cancer)

  • 정준기;이명철;정홍근;고창순;임상무;장자준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71-379
    • /
    • 1992
  • 악성종양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특정 종양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신티그라피로 암의 조기 진단 및 영상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방사면역치료는 암의 선택적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악성종양으로 방사면역신티그라피와 방사면역치료법이 새로운 방법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진단 및 치료법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가 종양조직내에서 종양관련 항원의 농도와 분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학적 방법의 임상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in vitro quantitative autoradiography를 이용하여 종양 관련항원인 TAG-72와 CEA의 위암조직내 농도 및 분포를 측정하였다. 33예의 위암조직에서 얻은 동결절편을 $1.3\sim83.3$ nmol/liter의 $^{125}I$ 표지 항 TAG-72 단세포군 항체 B-72.3과 항 CEA 단세포군 항체 CEA-79로 반응시킨 후 이 표본들의 자가방사법 디지탈 영상을 H & E 염색과 immunoperoxidase염색 표본과 비교하였으며, 특정 단세포군 항체의 결합에 대한 컴퓨터 분석으로 조직내 항원의 농도와 분포를 측정하였다. TAG-72는 25예(75.7%)의 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8.4\sim525.3$ pmol/gram이었고, CEA는 32예 (96.9%)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8.8\sim592.9$ pmol/gram 이었다. CEA의 위암 조직내 발현농도는 중앙치가 101.7 pmol/gram 으로 TAG-72의 중앙치인 27.9 pmol/gram 보다 높았다. TAG-72의 조직내 분포는 41.4%에서 병변 부위의 암세포 분포와 일치하였고, CEA의 분포는 병변 부위의 80.5%에서 암세포와 일치하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TAG-72의 농도는 점액성 선종(mucinous adenocarcinoma)과 점액함유 선종(mucin containing adenocarcinoma)에서 다른 선종보다 더 높았다. CEA의 농도는 위암의 병리학적 종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위암조직에서 TAG-72와 CEA항원이 다양하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고 CEA는 TAG-72 보다 더 빈번하게 균일한 분포로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근접 통신 단말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 향상을 위한 자기 공진코일 시스템 (A Magnetic Resonant Coil for Enhancement of Wireless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NFC devices)

  • 김영교;김시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10호
    • /
    • pp.1-5
    • /
    • 2011
  • 근접 통신 시스템(NFC)의 전력 전송 효율과 수동형 RFID의 동작 거리 향상을 위해 자기 공명 공진코일을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방식을 근접 통신 단말에 적용하였다. 소스코일과 디바이스코일 사이에 공진코일을 배치시켜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효율을 13.56MHz 대역의 RFID 리더와 태그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3차원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RFID 리더와 태그를 통해 측정한 결과, 자기 공명 공진코일을 적용한 경우 신호의 송수신 최대 거리는 96.72%, RFID 태그의 수신된 전압은 17.95% 증가함을 보였다.

탈회된 법랑질과 복합레진계 시멘트의 접착시 레진돌기 길이에 관한 주사현미경적 연구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TAG LENGTH OF RESIN IN THE ETCHED ENAMEL CEMENTED WITH THE COMPOSITE RESIN CEMENT)

  • 박창근;장완식;양재호;이선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6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in tag length of 3 composite resin cements: Panavia, Compspan, Conclude, and the resin tag length of Panavia cemented to daliva-contaminated enamel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1. The resin tag length of panavia was $8.29{\mu}m$, compsan $8.72{\mu}m$, conclude $7.74{\mu}m$, and Panavia cemented to saliva-contaminated enamel $3.92{\mu}m$. 2.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sin tag length between Panavia, Comspan and Conclude could be observed. 3. Saliva contamination of etched enamel surface decreases the wettability of composite resin cement.

  • PDF

해쉬함수에 기반한 경량화된 RFID 인증 프로토콜 (Lightweight RFID Authentication Protocols Based on Hash Function)

  • 하재철;백이루;김환구;박제훈;문상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1-7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에서 태그와 백엔드 서버간의 안전성과 태그의 구현 효율성을 높인 두 가지 형태의 상호 인증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 제안 방법에서는 고정된 ID를 사용하여 분산 환경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두 번째 방법은 변동 ID를 사용한 것으로서 전방향 안전성(forward security)을 추가적으로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제안 방식에서 태그가 랜덤 수 발생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최소 한번 혹은 최대 3번 정도의 해쉬 연산만으로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안된 프로토콜들을 RFID 겸용 스마트 카드 칩에서 구현하고 그 동작이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청주시의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위한 무선주파수인식태그의 적용 (Application of RFID Tag to Food Wastes Disposal System of Cheongju City)

  • 이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2-7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청주시의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스템에 무선주파수인식(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태그를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청주시에서 운영하던 기존의 시스템은 월정액제로서 배출량이 다름에도 같은 수수료를 지불해야하는 형평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음식물류폐기물의 정확한 규모의 발생과 처리에 관한 현황 파악이 불가능하여 폐기물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어 정책 결정에 반영하기 어렵다. 반면에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음식물류폐기물의 처리를 종량제로 실시하면 자동으로 자료의 관리 및 분석을 할 수 있고 수거, 운반, 처리로 이어지는 음식물류폐기물의 흐름 및 감독에 매우 용이하다. 또한 태그의 복제 및 도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음식물류폐기물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고 경제적 효과와 친환경적인 폐기물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현재 정부에서 추구하고 있는 RFID/USN을 통한 u-city 건설에도 기여할 수 있다.

Quercetin Confers Tumoricidal Activity Through Multipathway Mechanisms in A N-Methylnitrosourea Rat Model of Colon Cancer

  • Ahmed, Hanaa H;Aglan, Hadeer A;Zaazaa, Asmaa M;Shalby, Aziza B;Toumy, Sayed A E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1호
    • /
    • pp.4991-4998
    • /
    • 2016
  • Objecti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mechanisms behind the potency of quercetin in inhibiting colon cancer induced in an experimental model. Materials and Methods: Forty adult male rats of Wistar strain were distributed into 4 groups; a negative control group, a colon cancer bearing group, a quercetin-treated group and a 5-fluorouracil (5-FU)-treated group. Serum TAG72 and GAL3 levels were quantified by ELISA. Colonic Wnt5a and Axin-1 gene expression was estimated by PCR. In addition, colonic tissues were subjected to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of Bax expression and histological investigation of histopathological alterations. Results: Quercetin elicited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TAG72 and GAL3 levels, in addition to significant suppression of colonic Wnt5a gene expression and amplification of colonic Axin-1 gene expression. Also, it caused moderate positive reaction for Bax in mucosal epithelium. Conclusion: The present research provides experimental evidence about the activity of quercetin in the colon cancer of rats. Inhibitory effects on cancer development might be ascribable to regulatory action on Wnt signaling and induction of apop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