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FRC Flow Contro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실시간 트래픽 전송을 위한 RTP/RTCP의 TFRC 흐름제어 기법 (TFRC Flow Control Mechanism based on RTP/RTCP for Real-time Traffic Transmission)

  • 최현아;송복섭;김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57-64
    • /
    • 2008
  • 지연시간으로 인한 부정확한 네트워크 상태정보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방향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정확한 지연정보로 네트워크 상황을 판단하고 TFRC 흐름제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상태변화에 따란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흐름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시뮬레이션 결과, 네트워트 상태 정보 측정을 위해 RTT와 $OWD{\times}2$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약 12% 차이를 보였다. RTT를 사용하였을 경우 TFRC가 TCP보다 약 32%정도 더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였으며, OWD를 사용하였을 경우 3%정도의 오차를 보이고 링크의 공정한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황을 판단하고 TFRC 기반으로 네트워크 상태변화에 따라 TCP와 공정한 대역폭을 사용하면서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맞게 전송율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자들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EEE 802.11에서 멀티미디어 QoS 보장을 위한 무선 측정 기반 TFRC 기법 (Wireless Measurement based TFRC for QoS Provisioning over IEEE 802.11)

  • 변재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4B호
    • /
    • pp.202-20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first-hop 무선 채널을 갖는 무-유선망에서 채널 특성에 따라 코딩 비트율을 조절할 수 있는 동적 TCP-friendly 비트율 제어방식 (TFRC)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비트율 제어 기법은 무선망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플로우의 QoS 성능 저하 현상을 피하기 위해 패킷 손실 통계자료를 이용한 새로운 무선 손실 구별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이 알고리즘은 무-유선망에서 TCP 플로우와 함께 백본 대역폭을 공유하는 동안 TCP-friendly하도록 비트율을 생성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비트율 제어방식의 시스템은 TFRC 흐름 제어에서 무선 손실의 영향을 제거하고 신뢰성이 낮은 무선 링크에 의해서 발생되는 비디오 스트림의 갑작스런 품질 저하 현상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지연 축소를 위한 TCP 친화적 하이브리드 혼잡제어 기법 (A TCP-Friendly Congestion Control Scheme using Hybrid Approach for Reduction of Transmission Delay for Real-Time Video Stream)

  • 김형진;조정현;나인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04-309
    • /
    • 2004
  • 최근 인터넷의 발전으로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UDP로 전송할 경우 TCP와 같은 혼잡제어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경로에 TCP 트레픽 궁핍을 일으켜 혼잡붕괴 및 막대한 전송지연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전송지연 축소와 혼잡제어를 위한 새로운 전송기법과 프로토콜에 대한 다각적 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TCP 친화적 혼잡제어 기법은 크게 일반적인 혼잡윈도우 관리기능을 이용하는 윈도우 기반 혼잡제어와 TCP 모델링 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전송율을 직접 조절하는 율 기반 혼잡제어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은 윈도우 기반과 율 기반을 복합적으로 다룬 하이브리드형 TCP-friendly 혼잡제어 기법에서 전송율 개선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NS를 사용하여 제안된 TEAR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TEAR가 TCP보다 적은 율 변동과 공정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