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LC bioassa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삼나무 정유의 표재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Cryptomeria japonica against dermatophytic fungi)

  • 김선홍;이수연;홍창영;정한섭;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76-28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표재성 진균에 의한 피부질환 개선용 소재로의 개발을 위해 삼나무 정유의 표재성 알레르기성 진균, Trichophyton schoenleinii, Trichophyton tonsuran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interdigitale), Trichophyton rubrum, Epidermophyton floccosum, Aspergillus fumigatu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여 삼나무 정유의 표재성 진균에 의한 피부질환 개선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진균 활성 평가는 삼나무 정유의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과 TLC bioassay, 한천희석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활성 성분의 주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GC/MS 분석을 실시하였다. 삼나무 정유 crude oil의 MIC는 모든 균에서 500 ppm 이하의 농도 값을 나타냈으며, TLC bioassay를 통해 spot 1에서 항진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한천희석법을 통한 항진균 활성은 A. fumigatus를 제외한 모든 진균에 대해 삼나무 정유 crude oil의 경우, 500 ppm 이상에서 100%의 활성을 나타냈고, 분획 D의 경우, 100 ppm에서도 100%의 활성을 나타냈다. TLC bioassay를 통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 spot 1과 한천희석법을 통해 활성을 나타낸 분획 D를 GC/MS로 분석한 결과 주성분은 elemol, ${\gamma}$-eudesmol, ${\beta}$-eudesmol이었다. 따라서 elemol, eudesmol 등은 표재성 진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개선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알팔파 꽃 추출물의 Autotoxicity와 돌피에 대한 Allelopathy (Autotoxicity of alfalfa flower extract and its allelopathy to Echinochloa crus-galli)

  • 정일민;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21-832
    • /
    • 1997
  • 본 실험은 알파파 꽃 추출물로부터 Allelopathy와 Autotoxicity에 관련되는 활성물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알팔파 꽃 200g을 80% MeOH로 추출하여 $CHCl_3$층을 silica gel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microcrystalline cellulose thin layer chromatography (MCTLC)와 droplet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DCCC)의 분획을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행하고 DCCC의 생물검정에서 가장 억제력을 보였던 분획 5와 6은 HPLC로 활성물질을 동정하였다. HPLC분석 결과 분획 5에서는 ferul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rutin, narringin 이, 분획 6에서는 ferul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rutin, coumarin이 동정되었다. 이들 동정된 물질을 이용한 알팔파와 돌피에 대한 발아실험에서도 모두 알팔파와 돌피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중 coumarin의 처리가 가장 억제적이었다. 따라서 이들 물질이 알팔파와 돌피의 autotoxicity와 allelopathy에 관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생물방제균 Pseudomonas fluorescens 2112의 고추 근권정착능과 Quorum-sensing 기능 (Root Colonization and Quorum Sensing of the Antagonistic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2112 involved in the Red-pepper Rhizosphere)

  • 정병권;김요환;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5-111
    • /
    • 2013
  • 다기능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PGPR)인 P. fluorescens 2112 균주가 고추의 생물방제와 성장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생물막을 형성하여 근권에 정착하는 colonization이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근권정착능에 주요한 생물막 형성에 필요한 quorum sensing의 신호분자인 AHLs의 생산 유무를 조사한 결과, petri dish bioassay에서 AHLs를 생산하여 푸른색환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P. fluorescens 2112 균주의 생장곡선에서 대수증식기 중반에서 정체기 초반에 가장 많은 AHLs를 생산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소길이가 6개인 AHLs를 생산한다는 사실을 TLC bio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추의 뿌리 및 근권토양에서의 정착밀도를 Double layer filter paper와 Ahmad와 Baker 법으로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뿌리 상단과 말단에서 각각 $3{\times}10^5$ CFU/g root와 $8{\times}10^3$ CFU/g root로 확인되었으며, 근권토양에서 균주는 표면으로부터 가까운 1 cm 깊이에서는 $3.5{\times}10^6$ CFU/g soil의 높은 밀도로 존재하였으나, 먼 5 cm 깊이의 근권토양에서는 $1.1{\times}10$ CFU/g soil의 낮은 밀도로 존재하였다.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고추 뿌리의 표피 및 말단에서 처리한 균주가 생물막 형태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 fluorescens 2112 균주가 AHLs를 생산하여 quorum sensing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고추의 뿌리에 생물막과 유사한 군집을 형성하여 고밀도로 colonization이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P. fluorescens 2112 균주의 특징인 다양한 항진균 물질과 auxin을 생산함과 동시에 colonization을 통해 고추의 생육촉진이나 생물방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천연물로부터 Quorum Sensing 저해제의 탐색 (Detection of a Quorum-Sensing Inhibitor from the Natural Products)

  • 김태우;차지영;이준승;민복기;백형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6-212
    • /
    • 2008
  • 인간이 서로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를 사용하듯이, 세균의 경우도 외부 환경 변화를 신속히 감지하여 서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주변 세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세균만의 독특한 화학적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정 세포 농도에 도달했을 때 자체적으로 생산된 화학적 신호를 통해 개체 수를 인지하고 그에 따라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동시에 조절하는 quorum sensing (QS) 기작은 다양한 세균 종들에서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천연물 추출물들을 대상으로 QS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는데 QS 지시균주인 Agrobacterium tumefaciens NT1과 화학적으로 합성한 QS autoinducers을 사용한 bio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양배추, 파, 양파의 추출물들에서 QS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고, recycling preparative HPLC (prep-HPLC)를 통한 정제 과정을 통해, 83분 지점의 peak에 해당하는 성분들이 공통으로 QS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그 QS 저해 성분을 QSI-83으로 지정하고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를 통해 P. syringae pv. tabaci의 autoinducers 합성을 저해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에 대한 안정성과 세균 생장에서의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QSI-83은 열에 안정하며 세균의 생장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새로운 성분이 QS 저해제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마비성 패류 중독의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ities of the paralytic shellfish poison)

  • 이종태;손혜숙;문덕환;이채언;김성천;배기택;김준연;김용완;백낙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163-171
    • /
    • 1988
  • 1986년 3월 29일부터 동년 4월 2일까지의 5일간에 걸쳐 부산의 모 폐선 해체 작업장에서 집단적으로 발생하였던 마비성 패류 중독(Paralytic shellfish poisoning)에 대하여 그 독소(Paralytic shelfish poison; PSP) 함유량 및 성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사고 당시 중독의 원인으로 인정되었던 홍합(일명 진주담치, Blue mussel)에서 추출한 PSP에 대하여 동물학적 실험(mouse bioassay, A.O.A.C. method)에 의한 PSP 함유량 산정과 화학적 실험(TLC, IR 및 $^{1}H-NMR$)에 의한 독소성상 분석을 병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비성 패류 중독의 PSP함유량은 패육 100gm당 평균 $1,207.8{\mu}g$이었고, mouse의 평균 치사시간은 5분 16초(4분 51초$\sim$5분 53초)이었다. 2. TLC, IR 및 $^{1}H-NMR$ 등의 화학적 분석 결과 PSP의 주성분은 Gonyautoxin(GTX)류 이었다.

  • PDF

식물정유 7종의 항산화능 분석 및 Candida albicans 생장 억제 정유의 생리활성 성분 구명 (Antioxidant Properties of 7 Domestic Essential Oils and Identifica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Essential Oils against Candida albicans)

  • LEE, Sang-Youn;LEE, Da-Song;CHO, Seong-Min;KIM, Jong-Chan;PARK, Mi-Jin;CHOI, In-Gy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23-4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 7종의 정유 중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온주밀감, 육계나무 정유 2종을 선별하였고, 피부염을 유발하는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평가를 통해 식물정유의 항미생물 활성성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SC50값이 온주밀감 정유 0.010 mg/mL, 육계나무 정유 0.09 mg/mL을 나타냈으며,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온주밀감 정유 0.09 mg/mL, 육계나무 정유 0.06 mg/mL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는 육계나무 정유 1.25 mg/mL, 온주밀감 정유 5 mg/mL 값으로 육계나무 정유에서 뛰어난 항미생물 활성이 나타났다.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bioassay를 통해 2종 정유의 성분 분획에 따른 C. albican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평가하였고, preparative TLC (prep. TLC)를 통해 활성분획을 획득하고, 동일 Rf값을 가지는 성분들에 대해서 GC/MS 분석을 수행하여 항미생물 활성성분을 구명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각각 육계나무 정유의 경우 cinnamyl acetate, eucalyptol, linalool, citral 온주밀감 정유의 경우 linalool이었다. 2종 정유에 공통적으로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낸 분획부 성분분석 결과 linalool은 항산화, cinnamyl acetate, eucalyptol, citral, geranyl acetate은 항산화와 항미생물 능력이 있다고 사료된다.

Antioxidant Activity of Anthraquinones from Morinda elliptica

  • Ismail, Nor Hadiani;Mohamad, Habsah;Mohidin, Amran;Lajis, Nordin Hj.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48-51
    • /
    • 2002
  • Antioxidative properties of fifteen anthraquinone derivatives, including eleven atural anthraquinon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Morinda elliptica and four from synthetic origin were evaluated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ferric thiocyanate (FTC) and thiobarbituric acid (TBA) methods. Five of the compounds, nordamnacanthal, damnacanthal, 2-formyl-1-hydroxyanthraquinone, morindone and alizarin showe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standard natural antioxidant, ${\alpha}-tocopherol$, on the FTC assay. Morindone and alizarin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from the bioassay using TBA method correlated well with the results of the FTC method.

균근균(菌根菌), Pisolithus tinctorius가 생산(生産)하는 Gibberellin양(樣) 활성(活性) (Gibberellin-like Activities Produced by mycorrhizal fungus, Pisolithus tinctorius)

  • 박근형;강성훈;김동연;김관;이종욱;정지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1호
    • /
    • pp.40-44
    • /
    • 1984
  • 고등식물(高等植物)이 균근균(菌根菌)과 공생관계(共生關係)를 이루면 생장촉진(生長促進)의 특이현상(特異現象)을 보이는데, 이러한 생리현상(生理現象)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침엽수의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주형성균(主形成菌)인 Pisolithus tinctorius가 생산(生産)하는 GA활성(活性)을 검색(檢索)하였다. P. tinctorius 배양액(培養液)에서 추출(抽出), 용매분획(溶媒分劃), Sephadex LH-20관(管)크로마토그래피, Silica gel분배(分配) 크로마토그래피, TLC에 의(依)해 분획(分劃), 정제(精製)된 추출물(抽出物)을 단은방주(短銀坊主)를 사용(使用)한 생물검정(生物檢定)에 의(依)해 GA활성(活性)을 조사한 결과 Silica gel 분배(分配) 크로마토그래피의 초산(醋酸)에칠 $30{\sim}60%$ 용출구(溶出區)와 TLC의 Rf $0.1{\sim}0.4,\;0.6{\sim}0.8$에서 GA활성(活性)을 나타냈다. GA활성(活性)은 유묘개체당(幼苗個體當) 배양추출액(培養抽出液)의 처리양을 증가하면 활성(活性)도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활성(活性)은 P. tinctorius 100ml당(當) $GA_3$ 0.1ng에 상당(相當)하였다.

  • PDF

Botrytis cinerea로부터 분리한 두 개의 새로운 phytotoxin의 구조 결정 및 생물활성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Two New Phytotoxins Isolated from Botrytis cinerea)

  • 김금정;윤미영;김홍태;최경자;장경수;최용호;박명수;차병진;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2-119
    • /
    • 2009
  • Botrytis cinerea가 생산하는 phytotoxin이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던 중에 두 개의 새로운 phytotoxin을 발견하였다. 1994년과 1996년에 여러 식물체로부터 분리한 Botrytis cinerea 균주들을 기주별, 지역별, 형태적 특성별로 25개의 균주를 선별한 후 단포자 분리를 실시하였다. 22균주는 오이, 토마토, 고추 담배, 배추 등 5가지 식물에 대해 강하거나 중간 정도의 병원성을 보였다. 그러나 KJ 균주를 포함한 3균주는 병원성이 매우 약하였다. 식물에 대한 phytotoxicity를 조사하기 위하여 25균주의 배양 여액을 담배잎에 leaf-wounding assay를 실시한 결과 2-16균주가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2-16 균주의 배양액을 ethyl acetate로 추출한 후 flash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및 preparative HPLC 등을 통하여 두 개의 phytotoxin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phytotoxin을 질량분석과 핵자기 공명분석을 통해 구조동정을 실시한 결과 3-O-acetyl botcinol과 3-O-acetyl botcinolide로 동정하였다. 두 개의 물질은 leaf-wounding bioassay에서 잎에 괴사를 일으켰으며, 또한 담배 잎에서 심각한 전해질 누출을 일으켰다. 두 생물검정에서 3-O-acetyl botcinol이 3-O-acetyl botcinolide보다 강한활성을보였다. B. cinerea가 생산한 두 개의 phytotoxin에 대해서는 본 논문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해조류의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eaweed Extracts)

  • 전영은;윤성복;임순성;정차권;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3-44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으로써 여러 가지 해조류 추출물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 및 AChE 저해활성을 살펴보았다.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최종농도 40 ${\mu}g$/mL에서 지충이(91.3%), 모로우붉은실(90.7%), 감태(89.9%), 큰비쑥(85.9%)이 80% 이상의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AChE 저해활성에서는 최종농도 10 ${\mu}g$/mL에서 큰비쑥 추출물(30.2%)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김 추출물(26.6%), 쇠미역(25.3%), 참홑파래(23.4%), 감태(21.7%), 구멍쇠미역(20.4%), 지충이(19.9%) 순으로 총 7종의 해조류가 약 20% 이상의 ACh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7종의 해조류를 가지고 TLC bio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여러 compound들에 의해 AChE 저해 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치매치료제 및 억제를 위한 신규의 생물 소재로 해조류가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