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D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94초

대중교통중심개발(TOD) 개선효과 진단을 위한 변동부등식기반 보행네트워크 평가모형 (A Variational Inequality-based Walkability Assessment Model for Measuring Improvement Effect of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 손지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59-268
    • /
    • 2016
  • 대중교통중심개발(TOD)을 위한 핵심전략은 철도역을 중심으로 보행권내에서 고밀도의 복합토지이용을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역세권을 중심으로 보행시설의 통합정비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TOD를 효과적으로 추진해왔다. 그러나 국내는 종합적인 보행정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역세권 중심의 통합보행인프라 구축에 대한 방향설정이 부족하다. 따라서 우선 역세권 주변의 보행시설의 통합정비에 대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TOD 개선에 대한 판단근거로 활용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TOD의 효과 평가를 위해 역사 건물내부와 주변지역을 통합하여 보행의 원활한 정도를 평가하는 네트워크 모형을 제안한다. 모형은 철도 역사와 주변지역을 일체화된 보행 네트워크 상의 흐름으로 간주한다. 보행자가 선택한 경로는 최소시간 경로라고 정의하여 Wardrop의 이용자 균형(1952) 개념을 확대 적용하였다. 보행통로의 혼잡상황, 엘리베이터의 용량한계, 횡단보도의 대기와 같이 보행시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태를 고려하기 위해서 변동부등식기반의 보행자 균형배정모형을 제안한다.

기업의 보유 기술 및 제품에 기반한 기술기회발굴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Based on Firms' Technologies and Products)

  • 박현석;서원철;고병열;이재민;윤장혁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42-450
    • /
    • 2014
  •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TOD) based on technological capability is a process which identifies new product and technology items that can be developed by utilizing or improving a firm's existing products or technologie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vestment risk of R&D and its practicality, developing technological capability-based TOD methodology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for both business and research. To this end, we propose a technological capability-based TOD method and its system using TOD knowledge base. The method can support four types of TOD cases, which are based on a firm's existing technologies and products, and TOD knowledge base is developed by using func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patent documen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method and provide application examples on the four TOD cases using the prototype system.

대중교통 이용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TOD 계획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주요 지하철·전철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OD Planning Elements Affecting the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 Focused on the Subway and Railway Station in Incheon -)

  • 김기형;이주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647-6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의 주요 대중교통위주의 개발방식(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계획요소인 복합용도수준, 직주근접수준, 밀도와 순 밀도 비교 등을 통한 66개자치 시군구의 TOD계획요소 달성도, 지표를 선정하였다. 변수간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을 도출하였다. 인천광역시 역세권 회귀분석결과, 대중교통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종사자 수, 인구수, 역세권 내 버스정류장 수, 버스정류장-지하철 역 출입구 간의 거리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세권내 종사자 수, 거주인구가 많을수록 대중교통 통행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스정류장이 많을수록 버스정류장과 지하철 역사간 거리가 짧을수록 대중교통 이용객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천시 지역의 29개 지하철 및 11개 경인전철역 주변의 역세권은 이미 중요한 TOD 계획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각 지하철과 전철 역세권은 TOD가 상당부분 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TOD 계획 요소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친보행 환경의 평가 방안 (An Empirical Evaluation Scheme for Pedestrian Environment by Integrated Approach to TOD Planning Elements)

  • 주용진;하은지;전철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5-25
    • /
    • 2012
  • 최근 우리나라는 교통 혼잡, 대기오염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키는 자동차 중심의 교통 체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요를 증가시키는 대중교통중심 개발(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과 에너지 절약적인 도시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녹색 교통수단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보행 환경 및 시설에 관한 차별화된 평가 지표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평가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TOD의 주요 계획요소(토지이용 밀도 및 다양성, 보행 친화적 도시설계, 대중교통시설 유형 및 공급수준 등)에 대한 효과 분석을 통해 다위계 보행 환경평가 지표 설계와 측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OD의 주요 계획요소를 GIS로 정량화 할 수 있는 지표를 반영하고 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종로3가역과 한강진역에 보행 환경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TOD 계획 요소들의 보행 관련성을 종합하여 통행 패턴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연구에서 제시된 보행 환경 평가 지표는 실제 물리적인 보행공간을 기반으로 한 역세권 및 환승센터 등에 적용되어 보행 접근성과 대중교통 편의성 복합토지이용 패턴의 가시화에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열상감시장비의 냉각기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 of cooler in Thermal Observation Device)

  • 홍석진;정윤식;김진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32-436
    • /
    • 2016
  • 열상 감시 장비의 핵심부품인 냉각기는 검출기 온도를 낮춰서 열상 감시 장비가 제 기능을 발휘하게 해준다. 해외 도입품으로서 기준사용시간이 20,000시간으로 제시되었고 이에 맞춰서 운용하고 있다. 양산 후 운용 중에 고장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그 고장으로 인해 냉각기의 MTBF분석을 해볼 필요성을 느꼈다. 군과 방산 업체에서 열상 감시 장비의 냉각기 고장데이터를 수집하였고 221개의 납품된 냉각기 중 73개의 냉각기가 운용 중에 고장이 발생하였다. 이 고장데이터에 생존확률 함수를 모수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적합한 분포를 파악을 하였고, 로그 로지스틱 분포가 적합하다고 추정되었다. 로그로지스틱 분포의 모수를 기반으로 냉각기의 MTBF를 분석하였다. 해외 업체가 제시한 MTBF와 비교하였고 또한 냉각기의 시간대별 신뢰도를 분석해보았다. 군 운용환경 중 고장이 발생한 냉각기의 MTBF를 분석함으로써 품질보증활동의 개선점을 찾을 수 있다. 실측 MTBF는 해외 업체에서 제시한 것보다 높게 나왔지만 운용 환경과 분석 방법론에 따른 차이는 존재한다. 이 분석 결과는 군에서 해외 도입품을 운용하는 현시점에 장비 정비주기와 운영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향후 냉각기 국산화 시 보조 자료로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TOD(대중교통중심)형 도시개발 특성 및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 and Strategy of Urban Development focused on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 박천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35-641
    • /
    • 2016
  • 본 연구는 국외 TOD형 도시개발의 사례를 분석하여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개발의 특성과 발전전략을 도모함으로서, 국내 도시개발의 미래적 계획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TOD형 도시개발을 실행 할 수 있는 법 및 제도적 지원이 우선되어야 하며, 특히 밀도완화를 통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지자체의 조례개정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자금력이 있는 민간사업자의 참여는 중요하지만 공공의 역할이 축소되어서는 안 되며, 계획과 집행, 운영을 견인하는 정책리더와 부서가 존재하여야 한다. 셋째, 대중교통과 토지이용을 통합하는 도시계획체계가 중요하며, 역세권에서 복합기능의 집중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관민의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공공재원을 통한 도시기반시설의 확충이 요구되며, 사업시행시 투자비용에 대한 수익성도 검증되어야 한다.

혈관조영장비의 테이블-피사체간 거리 변화에 따른 혈관측정 정확도 연구 (Study on the Accuracy of Vessel Measurement According to Table Object Distance Changes)

  • 김승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6호
    • /
    • pp.435-440
    • /
    • 2019
  • This is to study the accuracy of the actual size according to the TOD(table object distance; TOD) change when measuring blood vessels using angiography equipment, and to help the optimal selection of the device used accordingly. Balls similar to the size of common vessels were calibrated with TOD using 30 mm, 20 mm, 10 mm, 5 mm and acrylic phantoms, catheter calibration from 0 cm to 10 cm, 20 cm and 30 cm, respectively. It was measured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The equipment used was GE Innova 3131 IQ equipment, and the image reconstruction method was GE AW4.7 post processing program. Two radiotechnologists were scanned three times by catheter calibration method and 3DRA(3dimension rotational angiography; 3DRA) volume rendering metho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showed 0.981 (p> 0.05) to verify the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observers. As a result, in case of catheter calibration, the error rate at TOD 0 mm and 10 mm is within ± 10%, but when the TOD is changed to 20 mm and 50 mm respectively, the tolerance is ± 10% except for 30 mm ball exceeded. On the other hand, 3DRA was included within the tolerance range of ± 10% overall even when the TOD was changed from 0 mm to 50 mm. In the catheter calibration method, the larger the TOD, the larger the error range, and the 3DRA method was able to measure vascular vessels accurately close to the actual measurement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TOD.

단층촬영영상을 이용한 T.O.D Calibration의 정확성과 유용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Accuracy and Usefulness of Calibration Using CT T.O.D)

  • 서정범;김동현;이정범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9-48
    • /
    • 2011
  • Uses a Tomographic scan image and Table Object Distance(TOD) price after measuring, uses accuracy and usability of blood vessel diameter(Vessel Diameter) measurement under comparison evaluating boil TOD Calibration. The patient who enforces Prosecuting Attorney abdomen Tomographic scan in the object the superior mesentery artery uses PACS View from abdomen fault image and from blood vessel diameter and the table measures the height until of the blood vessel. Uses Angio Catheter from Angiography(5 Fr.) and enforces is measured from PACS View the height until of the table which and the blood vessel at TOD Calibration price and the size of the superior mesentery artery inputs measures an superior mesentery artery building skill. Catheter Calibration input Agnio Catheter where uses in Angiography the size of the superior mesentery artery at Catheter Calibration price and they measure. Produced an accuracy from monitoring data and comparison evaluated.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SPSS. TOD Calibration accuracy was 96.53%, standard deviation is 0.03829. Catheter Calibration accuracy of 92.91%, standard deviation is 0.05085. Represe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 0). According to age and gend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05). TOD Calibr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R-squared of 88.8%, Catheter Calibration of the R-squared is 75.5%. High accuracy of both methods. Through this study, CT images using the measured distance between the table and the Object, TOD Calibration accuracy higher than two Catheter Calibration was measured. TOD and Catheter Calibration represe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 0).

  • PDF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of the cym, cmt, and tod Catabolic Genes from Pseudomonas putida KL47: Expression of the Regulatory todST Genes as a Factor for Catabolic Adaptation

  • Lee Kyoung;Ryu Eun-Kyeong;Choi Kyung-Soon;Cho Min-Chul;Jeong Jae-Jun;Choi Eun-Na;Lee Soo-O;Yoon Do-Young;Hwang In-Gyu;Kim Ch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2호
    • /
    • pp.192-199
    • /
    • 2006
  • Pseudomonas putida KL47 is a natural isolate that assimilates benzene, 1-alkylbenzene $(C_1-C_4)$, biphenyl, p-cumate, and p-cymene. The genetic background of strain KL47 underlying the broad range of growth substrates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cym and cmt operons are constitutively expressed due to a lack of the cymR gene, and the tod operon is still inducible by toluene and biphenyl. The entire array of gene clusters responsible for the catabolism of toluene and p-cymene/p-cumate has been cloned in a cosmid vector, pLAFR3, and were named pEK6 and pEK27, respectively. The two inserts overlap one another and the nucleotide sequence (42,505 bp) comprising the cym, cmt, and tod operons and its flanking genes in KL47 are almost identical (>99 %) to those of P. putida F1. In the cloned DNA fragment, two genes with unknown functions, labeled cymZ and cmtR, were newly identified and show high sequence homology to dienelactone hydrolase and CymR proteins, respectively. The cmtR gene was identified in the place of the cmtI gene of previous annotation.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in strains F1 and KL47, the todT gene is not expressed during growth on Luria Bertani medium. In minimal basal salt medium, expression of the todT gene is inducible by toluene, but not by biphenyl in strain F1; however, it is constantly expressed in strain KL47, indicating that high levels of expression of the todST genes with one amino acid substitution in TodS might provide strain KL47 with a means of adaptation of the tod catabolic operon to various aromatic hydrocarbons.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의 TOD 계획요소별 공간적 특성 분류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by TOD Planning Elements of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 최형선;김태호;이주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
    • /
    • 2013
  • 최근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이 활발해지며, 역세권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역세권은 전통적인 대중교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그러나 역세권은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나, 그러한 실증연구 분석은 다소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교통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는 고밀도의 서울시를 대상으로 역세권의 다양한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철도역으로 부터의 거리별로 TOD계획요소(밀도, 다양성, 접근성 등)를 중심으로 지표를 추출하여 요인분석과 GIS 공간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유형화된 역세권의 특성 요인을 활용하여 국내 실증분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역세권의 TOD 통합 계획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흥미로운 결과는 첫째, 토지이용과 대중교통, 연계교통수단의 특성이 별개로 유형화되며, 둘째, 역세권의 유형에 대한 유형을 명명하면, 고밀-상업, 업무형(Factor1), 소규모 획지형(Factor2), 주거밀집형(Factor3), 복합개발형(Factor4), 연계수단형(Factor5), 타역인접형(Factor6), BRT혼합형(Factor7)으로 총 7개 유형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세권의 영향요인 및 유형별로 공간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BRT혼합형(Factor7)의 경우는 서울의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분포하는 도로 부분을 중심으로 발달해 있으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역세권도 확인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각 역세권 공간적 특성 및 영향요인을 확인가능하고, GIS와 연동 가능하므로 도시 및 교통관련 정책입안자들에게 역세권의 개발 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