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SSOCK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Biology of a predatory bug Eocanthecona furcellata Wolff (Hemiptera : Pentatomidae) on Vapourer tussock moth larvae: a major pest of tasar silkworm food plants

  • Siddaiah, Aruna Ambadahalli;Devi, Aribam Reem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0권1호
    • /
    • pp.26-30
    • /
    • 2015
  • Tropical Tasar culture is forest and agro-based activity that covers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ctivity. Tasar silk is produced by the silkworm, Antheraea mylitta which is polyphagous in nature. A large number of pests are reported to attack both the host plant as well as silkworm. As the rearing is conducted outdoor silkworms are exposed to attack of various pests during their life cycle. Eocanthecona furcellata (Hemiptera: Pentatomidae) is the major predator of tasar silkworm during young age rearing. Both nymphs and adults of the stink bug suck the heamolymph of silkworm leading to death.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study the life cycle of E. furcellata on larvae of vapourer tussock moth which is a major pest of tasar host plants. The incubation period, nymphal duration and total developmental period from egg to adult was $8.0{\pm}0.45d$, $16.0{\pm}3.24$ and $22.0{\pm}4.20d$, respectively. Pre-oviposition, oviposition and longevity of male and female stink bug was $3.20{\pm}0.38$, $17.60{\pm}1.86$, $42.40{\pm}1.94$, $37.00{\pm}3.18d$,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cycle of the predator when provided silkworm and vapourer tussock moth larvae as hosts. Which clearly indicates that E. furcellata can multiply on vapourer tussock moth larvae during non rearing periods. Adoption of recommended pest control measures for defoliators of tasar host plants during non-rearing periods will help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host plant pests and also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stink bug during rearing season. During the study it was also observed that larvae semilooper, boll headed caterpillar and nymphs of leaf hopper serve as alternate/secondary hosts to E. furcellata during non rearing seasons.

Molecular phylogeny of Indonesian Lymantria Tussock Moths (Lepidoptera: Erebidae) based on CO I gene sequences

  • Sutrisno, Har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7-16
    • /
    • 2014
  • Many species of Lymantria are important forestry pests, including L. dispar which is well known distributed from Asia to North America as an invasive species. Like of most other genera of moths, the systematic of this genus is still in dispute, especially on the monophyly and the relationship within this genus due to the fact that genus is very large and varied. This genus was morphologically defined only by a single aphomorphy. To clarify the monophyly of the genus Lymantria, to reveal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 Indonesian species, and to establish the genetic characters of Indonesian Lymantria, we analyzed 9 species of Indonesian Lymantria involving 33 other species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based on nucleotide sequence variation across a 516-bp region in the CO I ge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se composition of this region was a high A+T biased (C: 0.3333).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monophyly of Lymantria was not supported by bootstrap tests at any tree building methods. Indonesian species was distribut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but the relationship among them was still in dispute. It indicates that relationships among the basal nodes (groups) proposed here were least valid due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pecies may not be enough to represent the real number of species in the nature. Moreover CO I gene sequences alone were not able to resolve their relationships at the basal nodes. More investigations were needed by including more species and other genes that the more conserved.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 Yoon, Ji-Hyun;Kim, Heung-Tae;Nam, Jong-Min;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2호
    • /
    • pp.223-235
    • /
    • 2011
  • Juncus effusus is mostly found in freshwater wetlands and is widely used for landscaping and creating artificial wetlands due to its high ecological value. J. effusus tends to dominate during the early stage (3-10 years) of the second succession in abandoned paddy fields. This study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J. effusus to create habitat for an endangered species, Nannopya pygmaea, which lives in wetlands dominated by J. effusu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J. effusus and N. pygmaea, 63 quadrats at eight wetlands were investigated between May and June 2006 during the critically dry period. Fifty-three species from 28 families co-occurred with J. effusus, and Persicaria thunbergii was the most abundant (63.5%). The optimal ranges of distribution (ORD) for the water variables were water depth, -2 to 10 cm; dissolved oxygen, 0.99-3.55 mg/kg, conductivity (CON), 23.40-115.40 ${\mu}s/cm$, total dissolved solid, 12.53-57.60 mg/L; pH, 5.00-6.87; $K^+$, 0.11-1.46 mg/L; $Ca^{2+}$, 1.53-5.85 mg/L; $Na^+$, 3.16-7.47 mg/L; $Mg^{2+}$, 0.11-1.96 mg/L; $NO_3$-N, < 0.001-0.072 mg/L; $NH_4$-N, 0.005-0.097 mg/L; and $PO_4$-P, 0.006-0.047 mg/L. ORDs for the soil variables were water content, 1.05-2.96%; loss-on ignition method (LOI), 5.07-7.81%; CON, 23.70-59.70 ${\mu}s/cm$; pH, 4.40-5.16; extracted (e) $K^+$, 4.34-15.73 cmol/kg; $eCa^{2+}$, 31.56-191.56 cmol/kg; $eNa^+$, < 0.01-2.61 cmol/kg; eMg, 0.04-19.82 cmol/kg; $eNO_3$-N, 0.514-1.175 mg/kg; $eNH_4$-N, 0.033-0.974 mg/kg, $ePO_4$-P, 0.491-11.552 mg/kg; total nitrogen, 0.016-0.200%; and total carbon, 1.06-2.37%. The appearance of rush during early succession indicated relatively lower levels of these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that ORDs should be maintained for the J. effusus community.

울릉도 산림식생유형과 생활형조성 (Forest Vegetation types and Its Life-form Composition in Ulleung Island, Korea)

  • 이중효;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82-290
    • /
    • 2006
  • 울릉도 산림식생의 유형은 총 232개 조사구를 토대로 식물사회학과 TWINSPAN분석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유형별 생활형조성이 분석되었다. 이 지역의 산림식생유형은 모두 22개 식생단위로 나타났으며, 크게 산지식생과 해안식생의 2개 광역그룹으로 대별되고, 전자는 4개 군락, 11개 군, 7개 소군, 후자는 2개 군락, 5개 군의 체계를 나타내었다. 산지식생과 해안식생의 생활형조성 특성을 보면 전자는 교목성과 초본성식물, 반지중식물, 바람에 의한 산포와 자연낙하기관형, 직립형식물 등의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후자는 관목성식물, 지표식물, 바람과 동물에 의한 산포기관형, 좁은 범위에 연락체를 만드는 유형과 포복경식물의 구성비가 높았다. 특히 산지식생형의 하위단위에 속하는 말오줌나무군락(A6)은 교란의 영향으로 바람에 의한 산포기관형, 약간 넓은 범위에 연락체를 만드는 유형과 덩굴형의 식물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났다.

간척지(于拓地)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분포의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해석연구(解析硏究) (Weed Distribution and Its Plant Sociological Aspects on the Polder Land)

  • 이종영;구자옥;장호상;배성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5-142
    • /
    • 1984
  • 간척지(干拓地)의 개답년차(開沓年次) 진전(進展)에 따른 합리적(合理的) 잡초방제안(雜草防除案)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을 목적(目的)으로 계화도간척지(界火島干拓地) 지표분석(指標分析)을 하였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조사지(調査地)의 토양염분온도(土壤鹽分濃度)는 대부분(大部分) 0.2% 이하(以下)로, pH는 5.5~6.5의 범위(範圍)로 변동(變動)되어 있었다. 2. 조사지(調査地)의 발생초종(發生草種)은 17종(種)으로서 매자기가 우점(優占)하고 있었으나 숙답화(熟畓化)와 함께 물달개비 쇠털골 알방동산이 등의 출현(出現)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염온도(鹽溫度)가 낮아지고 pH가 5.5~6.5 범위(範圍)로 가까워질수록 발생초종수(發生草種數), 발생본수(發生本數), Biomass, 종다양도(種多樣度), 균재도(均在度), Sociability index가 커지는 반면에 군락특이도(群落特異度)는 작아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4. 숙답화(熟沓化)가 진전(進展)될수록 온도잡초(溫度雜草), 다년생사초과(多年生莎草科), 근경횡주형(根 莖橫走型)의 잡초종(雜草種)이 줄고 일년생광엽잡초(一年生廣葉雜草)로서 풍수전파형(風水傳播型) 단립형(單立型)의 잡초종(雜草種)이 늘어가는 경향(傾向)이었다. 5. 숙답화(熟畓化)에 따른 잡초종(雜草種)의 천이(遷移) 다양화(多樣化) 다량화(多量化)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식생수준(植生水準) 및 유입전파(流入傳播)의 예방 대책이 요구(要求)될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광릉숲 양치식물의 분포와 생활형 (The Distribution and Life-form of Ferns in Gwangneung Forest)

  • 이강협;여경택;정승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2-597
    • /
    • 2006
  • 광릉숲 양치식물을 중심으로 한 집중적인 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을 정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광릉숲에는 9과 17속 43종 3변종 총 46종류의 양치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별 출현식물을 보면, 쇠뜨기, 고사리삼 등 26종류가 광릉숲 전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꿩고비, 지리개관중 등 5종류가 소리봉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림동물원 계곡부를 중심으로 낚시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 등이 분포하였고, 왕지네고사리, 참새발고사리 등은 외국수목원 일대에 국한된 분포역을 형성하고 있었다.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mancy form)은 H(Hemicryptophyte)의 비율이 56.5%로 가장 높았으며, HH(Hydatophyte)가 2.2%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번식형(Propagation form)의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대부분이 근경이 짧게 분지하고 가장 좁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_3$으로 39.1%이며, 근경이 옆으로 벋고 약간 넓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_2$가 2.2%이었고,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은 모두 포자가 바람이나 물에 의해 운반되는 $D_1$이었다. 생육형(Growth form)은 t(Tussock)와 e(Erect)가 각각 67.4%와 32.6%로 나타나 광릉숲 양치식물의 대표적인 생활형은 $H-R_{3}-D_{1}-t$로 정리되었다. 광릉숲의 양치식물계수(Ptph.-Q.)는 1.28로 한반도 중부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이 학술림으로서 안정적으로 보전 관리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계단식 묵논습지에서의 물이끼 서식 특성: 안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Inhabitation Characteristics of Sphagnum palustre in Abandoned Paddy Terrace Wetland: a Case Report in Ansan)

  • 홍문기;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78
    • /
    • 2013
  • 계단식 묵논습지에서의 물이끼류(Sphagnum spp.) 서식이 경기도 안산시에서 최초로 확인되었다. 2011년 6월, 현장조사를 통해 인질산이나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 등의 수질 분석을 위한 채수를 수행하였으며, 더불어 물이끼류의 분포 특성 및 동반종 파악을 위해 식생도 및 지형도를 작성하고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안산 습지에 서식하는 물이끼류는 물이끼(S. palustre)로 확인되었으며 3,200 $m^2$의 습지 중 약 8%에 해당하는 면적에 분포돼 있었다. 물이끼는 주로 사초과나 벼과 등의 초본류에 의해 형성된 사초기둥(74%)이나 소나무류의 수관에 의한 차광이 이뤄지는 습지 주변부 경사면(26%)에서 미소지형을 형성하며 서식하고 있었다. 안산 습지는 고층습원 습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인질산(유효태인산, $0.02{\pm}0.0$; 질산태질소, $0.25{\pm}0.3$; 암모니움태질소, $0.06{\pm}0.1$)과 더불어 물이끼 생육에 핵심적인 제한 요소인 칼슘($0.45{\pm}0.2$) 및 마그네슘($1.48{\pm}0.6$) 이온양이 굉장히 적어 물이끼의 서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 전문종인 제비동자꽃(Lychnis wilfordii (Regel) Maxim.) 개체군의 내적동태 (Internal Dynamics of Wetland Specialist, Population of Lychnis wilfordii (Regel) Maxim.)

  • 채현희;김영철;곽명해;남기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7-255
    • /
    • 2021
  • 제비동자꽃(Lychnis wilfordii (Regel) Maxim.)은 주로 고위도의 이탄습지에 분포하는 전문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개 지역에 고립되어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육지 특성, 생장특성 및 자가화합성 그리고 안정적인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는 용늪습지보호지역에서 개체군의 지속에 관여하는 내적 동태를 평가하였다. 분포지의 식생환경은 용늪습지보호지역과 평창군 대관령면 분포지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화분매개충의 방문에 의해 종자의 생산이 촉진되기는 하지만 자가화합성을 함께 소유하였다. 토양의 유기물함량이 높은 조건에서 다수의 겨울눈을 생성하였고, 줄기 수, 열매 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그렇지만 유기물함량이 낮은 조건에서도 생장하고 개화하여 종자를 생산하였다. 용늪습지보호지역에서 제비동자꽃은 고층습원에는 분포하지 않았고 뚝사초가 형성하는 사초기둥이 발달한 저층습원에 분포하였다. 제비동자꽃은 이 공간에서도 사초기둥의 상단부에 주로 분포하였다. 따라서 뚝사초가 형성하는 사초기둥의 생성, 성장 및 소멸은 이 공간에 분포하는 식물의 정착, 성장, 소멸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용늪습지보호지역은 제비동자꽃이 분포하는 사초기둥이 발달한 공간이 넓게 분포하고 있고 소멸과 재정착의 과정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현재와 같은 생태적 과정이 잘 유지된다면 용늪습지보호지역의 제비동자꽃 개체군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