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phone survey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8초

RDD 전화조사와 주요결과 (Random Digit Dialing Telephone Survey and Major Findings)

  • 강현철;한상태;김지연;정용찬;허명회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1호
    • /
    • pp.1-22
    • /
    • 2008
  •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전화조사는 전화번호부를 표본추출의 틀로 쓰고 있는데 전화번호부의 등재율이 낮아 포함오류(coverage error)가 심각한 실정이다. 전화번호부 기반 전화조사에 대한 대안으로 미국 등에서는 임의번호걸기(RDD: Random Digital Dialing) 전화조사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우리나라 전화번호 체계에 맞는 RDD 전화조사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실제 RDD 전화조사를 시행하여 전화번호부 등재 응답자와 비등재 응답자의 사회 인구적 특성과 사회 심리적 성향을 비교해 본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화번호부의 모집단 포함율은 60% 이하로 추정되었다. 2) 비등재 가구의 소득이 등재 가구의 소득에 비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비등재 가구의 가구원 수가 등재 가구의 가구원 수에 비해 다소 많았다. 4) 비등재 번호 응답자들이 등재 번호 응답자들에 비해 개인정보에 대한 침해우려 수준이 다소 높았다. 5) 이념성향에서 비등재 번호 응답자들이 등재 번호 응답자들에 비해 진보적인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전화번호부에 기초한 표본추출이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편향된 결과를 산출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사회조사에서 조사방법에 따른 가중 칸 설정에 관한 연구: 전화조사, 인터넷 조사, 모바일 조사 (A Study on Weighting Cells by Survey Methods for Social Surveys: Telephone, Internet and Mobile Surveys)

  • 허명회;강용수;손은진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5권1호
    • /
    • pp.1-26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lies in answering the question "How to form weighting cells to enhance sample representativeness in telephone, Internet and mobile surveys\ulcorner". For this, we explored 2% raw data of Year 200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Korea looking for meaningful patterns for ownership of telephones, the usage of Internet and/or mobile phones. We found that telephone coverage rates vary significantly by household size; 84.6% for one member households, contrasting 98.5% for two-or-more member households. Thus, telephone survey samples need to be weighted differently in sub-groups by household size fo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target population. Searching socio-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Internet by C5.0 tree models, we found that education levels and the occupation (or housing type, the automobile ownership) are two most important factors in addition to gender and age. Thus, surveyor might form weighting cells by such factors at the stage of post-stratification or set quotas, a priori, proportional to size of the cells by such factors. For mobile surveys, we approached similarly and found that education levels and the occupation (or the automobile ownership, marriage status) are two additional factors that may be used in forming weighing cells or in setting quotas for cells.

  • PDF

RDD 표본 대 전화번호부 표본: 2007년 대통령 선거 예측사례 (RDD Sample versus Directory - Based Sample for Telephone Surveys: The Case of 2007 Presidential Election Forecasting in Korea)

  • 허명회;김영원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3호
    • /
    • pp.55-69
    • /
    • 2008
  •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서 전화조사를 위한 표본목록은 거의 대부분 전화번호부로부터 나왔다. 그러나 전화번호부의 모집단 포함률이 너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 대응수단으로 국제적 기준인 RDD(random digit dialing, 임의번호걸기)가 구현된 바 있다. 2007년 12월의 17대 대통령선거에 대한 예측을 위해 투표일을 $5{\sim}6$일 앞서 실시된 KBS MBC 전화조사는 표본을 반씩 나누어 절반은 RDD로, 나머지 절반은 전화번호부에서 응답자 표본목록을 추출하였다. 이 사례연구는 KBS MBC 전화조사의 RDD 표본과 전화번호부 표본을 대비시켜 공통점과 상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향후 수년 동안 전화번호부 표본과 RDD 표본이 공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 연구결과가 두 방식의 비교에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임의번호걸기와 시간균형할당표집에 의한 전화조사의 주요결과 (The Major Findings of the Telephone Survey by Random Digit Dialing and Time-Balanced Quota Sampling)

  • 허명회;한상태;김지연;성은하;강현철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2호
    • /
    • pp.77-88
    • /
    • 2011
  • 최근 우리나라의 전화조사가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벗어나 임의번호걸기(RDD)로 이행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전화조사가 지역 성 나이대 할당표집으로 수행되므로 이로 인해 재택성향이 큰 사회적 계층에 편중되기 쉽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시간균형할당표집이 제안된 바 있었으나 실증적 조사는 이제까지 부재하였다(허명회 황진모 2006). 이 연구는 TV시청환경에 대한 조사를 RDD와 통상적인 할당 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와 RDD와 시간균형할당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한다.

  • PDF

Unit Nonrespondents in a Taiwan Telephone Survey

  • Chen, Kuang-hu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3권3호
    • /
    • pp.111-130
    • /
    • 2016
  • Researchers have been perplexed by the issue of unit nonresponse since the beginning of practicing survey research and have been attentive to the causes that lead to the occurrence of unit nonresponse as well as the impact of unit nonresponse. However, because researchers have little to no information regarding unit nonrespondents, it is unlikely that they are able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respondents to estimate the loss of representativeness in the final sample compared with the target population. Therefore, the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tees complicates addressing the unit nonresponse bias in a satisfactory mann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attitudes of nonrespondents by relying 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ir spouses, which was obtained through a telephone survey conducted in Taiwan. It is found that demographic variables as well as political attitudes are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an individual becoming a unit nonrespondent in telephone surveys.

임의표집법에 의거한 전화조사의 시도 -2002년 울산시장선거의 경우- (An Exploration on Random Sampling Telephone Survey -The Case of the Ulsan Mayoral Election in 2002-)

  • 노규형;강흥수;한철수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3권2호
    • /
    • pp.77-90
    • /
    • 2002
  • 본 논문은 임의표집법(Random Sampling)에 의거한 전화조사방법을 2002년 울산시장선거조사에 적용하여 실시한 사례를 다루었다. 임의로 표집된 1,233개 가정용 전화번호에 전화하여 생일법으로 추출된 응답자를 대상으로 최대 5회에 걸쳐 접촉을 시도하였다. 최대 5회 전화시도의 접촉 차수를 분석하여 부재와 약속 등에 대한 재접촉의 효과를 살펴보고, 표집된 표본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모집단과 비교하였으며 조사결과와 실제 투표결과와의 비교도 다양하게 검토하였다. 또한 생일법을 통한 임의표집법의 어려움과 조사시간대 조정 및 지속적 재접촉 등 임의표집법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PDF

자료수집 양식의 응답효과 (Response effects of the mode of data collection)

  • 박용치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권1호
    • /
    • pp.21-43
    • /
    • 2000
  • 전화면접을 개별직접면접에 대한 매력적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두 가지 자료 수집방식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의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i)전화면접에 대한 피면접자의 선호도, 면접의 속도, 개방질문에 대한 응답의 상세성, 미응답 항목의 비율 등 직접효과 ii) 통계적 추정량 iii) 면접자의 차이와 자료수집양식 등의 관점에서 경험적 문헌검토를 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전화면접에 대한 사회적 소망성 효과, 서베이 질문에 대한 인지능력 및 양식효과와 면접자 효과로 설명될 수 있다.

  • PDF

유선 전화 가구 보급률의 변화와 동향 -핸드폰의 영향을 중심으로- (Changes and Trends in Fixed Telephone Household Coverage Rates - The Impact of Mobile Telephone -)

  • 김선웅;류제복;염준근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41-253
    • /
    • 2002
  • 198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유선 전화가 빠르게 보급되고 다양한 표본 추출 기법들이 개발되면서 자료 수집 방법으로서 전화 조사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편 1990년대 초반 이후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국가에서 핸드폰의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했고 특히 최근 수년간에 걸쳐 그 수가 급증했다. 아울러 유선 전화 대신 핸드폰만을 소유하는 전화 가구들이 증가하면서 많은 국가들에 있어 유선 전화 가구 보급률이 감소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럽 연합,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 북미 등에서 핸드폰의 증가에 따른 유선 전화 가구 보급률의 변화와 동향을 살펴보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당면할 수 있는 전화 조사상편의 문제를 다룬다.

  • PDF

전화여론조사의 예측정확도 분석 (How Accurate are the Telephone Polls in Korea?)

  • 조성겸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0권1호
    • /
    • pp.57-72
    • /
    • 2009
  • 전화여론조사는 한국의 사회조사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정확도 수준에 대해서는 파악되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전화조사의 유용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여론조사의 정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선거예측조사에서도 전화조사는 예측 정확도가 높은 경우가 있는 반면에, 1996년 총선예측처럼 반대의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 정확성을 추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2000년 총선과 2008년 총선에서는 정확도가 다소 떨어졌지만, 2004년에는 전화조사를 이용한 당선자 예측이 모두 적중했고, 출구조사와는 달리 정당별 예측편향 차이도 나타나지 않는 등 비교적 정확도가 높았다. 이 연구는 2000년 이후의 총선 예측조사에서 전화조사의 정확도 수준이 이처럼 기복을 보이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의 전화여론조사의 정확도 수준은 2000년이나 2008년의 총선예측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야 하며, 2004년에 나타난 정확도 수준은 당시 연령별 투표성향이 이례적으로 강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전화조사의 정확도 수준은 표집방법 등의 변화를 통해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화조사 상황에서 무선표집절차의 적용결과: 단계별 응답특성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Random Sampling Procedures in a Telephone Survey)

  • 조성겸;조은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1-160
    • /
    • 2010
  • 본 연구는 전화조사 상황에서 무선표집절차를 적용하여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2009년 10월 26일부터 11월 18일까지 무선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전화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화번호 수 2,454개 가운데 조사성공 637건, 조사실패 1,817건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조사성공률, 성공 및 실패사례의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응답단계별 이슈에 대한 응답특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부재중을 제외한 조사 성공비율은 45.7%로 나타났다. 조사실패의 가장 큰 원인은 부재중이었으며, 조사단계가 올라가도 젊은 층의 응답률 저조는 개선되지 않았다. 응답단계에 따라 응답자의 이슈에 대한 인지도나 능동성이 달라지지는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단계를 높일수록 다양한 시각의 응답이 포함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무선표집은 비접촉자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고 조사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해결책을 찾아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후속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