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도서생물지리설의 관점에서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a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 서인수;최병미;김미향;윤재성;박재영;이상엽
    • 환경생물
    • /
    • 제28권4호
    • /
    • pp.179-187
    • /
    • 2010
  • 본 연구는 가거도, 소화도 및 독도해역에 대한 2009년 8월의 조하대 암반조사를 통해서 해양생태계의 중요 구성생물 중의 하나인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생물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도서생물지리설(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의 관점에서 3개섬에 서식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의 유사성 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04종, 7,176개체(399 inds. $m^{-2}$)와 27,120.68 g (1,506.70 g $m^{-2}$)이었다. 연체동물류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에 있어서 각각 전체의 44.23%, 41.19% 및 90.32%를 점유하여 가장 우점하는 생물군이었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와 생체량을 근거로 상위 10위까지의 우점종을 선정하였다. 개체수에 기초한 상위 10위 우점종들이 차지하는 밀도는 4,820개체로 전체의 67.17%를 점유하였다. 특히 절지동물 갑각류의 미동정 옆새우류(Amphipoda spp.)와 연체동물 이매패류의 개적구(Modiolus agripetus)는 각각 1,580개체, 22.02%와 1,228개체, 17.11%를 점유하여 단일 종으로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생체량에 있어서도 상위 우점종들이 나타내는 생체량은 25,942.80 g으로 전체의 95.66%를 차지하였다. 이 가운데 이매패류의 홍합 (Mytilus coruscus)과 태생굴(Striostrea circumpicta)은 각각 15,167.64 g과 4,781.16 g을 나타내 55.93%와 17.63%의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초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그룹 1에는 가거도 정선 2의 하부 수심 정점을 제외한 가거도와 독도의 모든 정점이 포함되었고, 그룹 2는 이를 제외한 정점들로 구성되었다. 연구해역에서 갑각류의 미동정의 옆새우류, 바다대벌레류 및 성구동물의 상어껍질별벌레(Phascolosoma scolops)가 공통적으로 우점하였다. 이를 제외하면, 그룹 1에서는 다모류의 고리털갯지렁이(Eunice antennata), Syllidae unid., 갑각류의 만각류에 속하는 빨강따개비(Megabalanus rosa) 및 홍합의 밀도가 높았다. 반면 그룹 2에서는 갑각류의 집게류에 속하는 갯가게붙이(Petrolisthes japonicus), 연체동물 복족류의 햇살밤고둥 (Lirularia pygmaea) 및 완족동물의 세로줄조개사돈(Coptothyris grayi)이 대표적인 생물이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출현 종수는 소화도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거도와 독도의 순이었다. 각 해역의 면적과 육지와의 떨어짐 정도를 기초로 도서생물지리설에 근거하면, 연구해역에서의 생물다양성은 도서생물지리설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잘 부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서생물지리학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도서지역의 조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f Avian Species in the Islands of Korea based on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547-552
    • /
    • 2010
  •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has influenced strongly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ssues of species diversity in the islands. The theory has not limited to islands in the ocean, but expanded to isolated and fragmented areas in the forests and urban. This study has a rare opportunity to explore the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birds in the islands of Korea. A total of 151 islands in the west and south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area of islands were highly significant (P<0.000) 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distance from the mainland showed not so strong relationship. This indicated that bird species diversity has more influenced by the size of the islands not the distance. This can be from the study species of birds that can fly long distance, and also natural characteristics of migratory and resident status. Species-area curve showed that the z-value was 0.21 indicating the area and the bird species are strongly correlated. The long-term monitoring of bird species presence in the islands should be followed for a proper management plan.

파편화된 서식처 복원을 위한 기초이론 고찰 (The Basic Theories for Restoration of Fragmented Habitats)

  • 김명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2-61
    • /
    • 2001
  • At least, there are intense pressures on the natural habitats from various disturbance, including urbanization, extension of industrial area, and road construction. These human land use result in fragmentation of landscape and natural habitat. The ecological consequences of habitat fragmentation include the direct effects of habitat los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reduced inter-patch dispersal. The decline of biological diversity has been rapidly declined by the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Conservation strategist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habitat amount of that must be preserved, but also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habitat across the landscape. But, the paucity of available data for most species forces landscape ecologists to develop the concept, model, and theory. The developed theories are often misused in academic papers and practical applications. The development history, presumption of concept, model, theory is ignored. This tendency have leaded to failure of landscape restoration and the use of theory in conservation practice have come under increasing attacks. This paper will highlight the ecological theory that have proven the most influential in landscape ecology,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the theory of nested subset analysis, minimum viable population(MVP), the theory of metapopulation dynamics. And, it find the problem and usefulness of four theory in application to real world. Consequently, the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implication about landscape ecological theory is required. We must carefully apply the theory after examining the problem and availability of various theory because of no existence of only one general theory.

  • PDF

한반도 도서지역 나비 종 수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섬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최고 고도의 역할- (Study on the Ecological Influences on the Butterfly Fauna of Islands in Korea - Roles of Island Area, Isolation, Latitude and Maximum Elevation -)

  • 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18권2호
    • /
    • pp.237-246
    • /
    • 2000
  • 섬 생물지리학에서 평형설(equilibrium theory)은 섬의 면적과 본토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이입율과 절멸율의 작용에 의해 섬에 분포하고 있는 종 수가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여러 생태학적인 요인들인 섬의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섬의 최고 고도로 표시한 서식지 다양성과 나비의 종 수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71개의 섬에서 기록된 나비의 종 수와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비 종 수는 섬 면적($r^2$=0.405, P<0.005) 및 고도로 표시한 서식지 다양성($r^2$=0.341, P<0.005)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본토와의 거리 ($r^2$=0.018, P>0.05)및 섬 위도($r^2$=0.040, P>0.05)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와 이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한반도 부속도서의 나비 종 수는 섬의 면적, 식생 그리고 최고 고도와 같은 생태적 변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요약된다.

  • PDF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Island Biogeography and Habitat Fragmentation Theory to the Conservation of Protected Areas in Korea)

  • 김용식;마이클모운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24
    • /
    • 1992
  • 우리나라에 있는 보호지역의 보존 및 관리에 대한 제반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 접근방법으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최근 생물적 다양성의 파괴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보호지역내 자연 서식처에 대한 적절하고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제반 검토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식물상은 주로 인간의 간섭에 의해 계속 변화할 것이다. 다양한 내용의 위협에 처해 있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이의 바람직한 해결을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동, 식물상 또는 집단이나 종 등의 개별적인 접근이 아닌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서식처, 종 및 집단의 관리에 대한 위협의 종류, 유효성과 잠재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전략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및 주연부효과 이론 등의 적용은 현존의 서식처 패치에 대한 격리 및 분획화등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용이하게 해주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근방법은 우리나라 식물상의 분포특성 및 현상에 대한 제반 지식에 기초를 둔 식물의 보존책의 하나로 이는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적용을 기초로 하여 최소활성화집단의 규모 등의 개념 도입은 식물과 서식처 보존의 보다 바람직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한 방법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관한 연구 (Study on Minimum Viable Population of Seed Bank in Pine Forest)

  • 이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7-506
    • /
    • 2018
  • 본 연구는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 시 적정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2010년 8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매토종자 발아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면적과 초본 종수가 0.6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서생물지리학의 이론에 따라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적용하여 면적과 유의성이 있는 네 변수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목본 종수, 목본 개체수, 초본 종수 및 초본 개체수 모두 5% 이내에서 유의하며, 회귀함수의 설명력은 58.3%였다. 종수와 개체수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한 개의 함수가 유의하였으며 함수의 설명력은 82.4%이고, 유의수준 1% 이내에서 정준함수의 정준근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 개체군의 크기는 면적 $64m^2$이상, 종수 21종 이상, 개체수 120개체 이상을 권장하며 초본 종수의 영향에 따라 매토종자 군집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의 적용 시 초본 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서식처 분획화에 따른 식물군집의 크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ze of Plant Community in Fragmented Habitats)

  • 신현탁;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7-155
    • /
    • 1998
  • 본 연구는 서식처 분획화에 따른 식물군집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1997년 3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상주시, 점촌시. 경기도 안성시. 평택시, 여주시, 양평시, 충청남도 논산시. 전라북도 익산시 등 31개의 조사지역에 118개의 조사구를 조사하였다. 상관관계분석결과 면적과 목본식물종수가 0.7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서생물지리학의 이론을 서식처 분획화에 적용하기 위해 면적과 유의성이 있는 네 변수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목본식물종수, 목본식물개체수, 초본식물종수, 초본식물개체수 모두 유의수준 5% 이내에서 유의하며, 회귀함수의 설명력은 71%였다. 종수군과 개체수군간의 정준상관분석결과 한 개의 함수가 도출되었으며, 함수의 설명력은 88.76%이며. 유의수준 1% 이내에서 정준함수와 정준근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및 도서생물지리학의 제반 이론을 응용한 식물군집의 크기는 400$m^2$, 종수는 30종, 개체수는 4,000개로서. 이때부터 종, 개체수의 기울기 증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도시화. 산업화로 야기되는 고립된 생태계의 보전문제나 생물서식공간조성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보이며 서식지 분획화가 일어나고 있는 모든 지역에 관리 방향과 보전대책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생태통로 식재수종의 현황 및 문제점 고찰 (The Exis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Ecological Corridor in Korea - Focusing on Planting Species -)

  • 김명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26
    • /
    • 2005
  • Ecological corridor is the facility to connect two habitats fragmented by roads, dam, housing and industrial area. Critics of faunal corridors have suggested that they are simply an untested application of unproved island biogeography theory. But, everyone agree that ecological corridor is important useful structural components that help animal movement in fragmented landscapes. There are 52 ecological corridors in Korea. We investigated 43 ecological corridors of these and recorded the size of corridor, planting species, management and growth condition. We compared planting species to nearby exiting vegetation species and structure. We found that there are no considerations for many aspects of planting, for example, planting species, structure, animal migration and behavior, surrounding vegetation etc. Expecially, It was ignored management of plants, difference of surrounding vegetation, lacks of diverse planting species and structure. We suggest planting the native species of tall tree, shrub and ground cover, edge planting for transitional space between road and natural habitat, planting for foraging and breeding of target animal, diverse layer vegetation, and open space of center for rapid animal dispersal.

보전가치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지표의 활용 및 적용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y Indicators for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 이동근;윤소원;김은영;전성우;최재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conservation value of forests and cultivated areas from the landscape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main focus of landscape ecology estimates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patterns and ecological processes. This paper sets the criteria for conservation value and classify the conservation value based on the criteria. Forests and cultivated areas in Seo-Gu, Incheon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as the case study area. In this research, factors such as patch size and connectivity have been selected in order to consider the landscape ecological aspect, gradient for the environmental physics aspect and to consider the environment-ecological aspect, grade of environmental-oriented land suitability analysis Map developed by the ROK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utilized. GIS methodologies have been adopted to calcul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bove variabl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adopted: (1) based on island biogeography and metapopulation dynamics theory, patch size criteria are set 2ha and 10ha; (2) connectivity was set the degree of connection with surrounding grids; and (3) gradient of 20 degrees. Conclusively, this paper suggests that local conditions, landscape ecology and physical environment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n estimation framework of the conservation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