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4,056건 처리시간 0.027초

수산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분석 - 제5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Change Process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Curriculum: Focusing on the 5th-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창언;주동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25-37
    • /
    • 201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change process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curriculum related with the 5th-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goal, the nature and goals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ere review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h school for special goal, characterization, and industry. And the goal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as designated to harmonize the gen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 goal. Second, the legal basis and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in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ere discussed. The legal basis of national curriculum in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was prescrib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was composed the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s. Third, the change process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national curriculum was discussed. The system of decision,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s in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national curriculum were seemingly to be studied on the basis of the autonomy or diversity. In conclusion, the concrete content of fisheries track's high school national curriculum was not changed compared to the 5th-7th revised curriculum.

영국의 지리과 국가교육과정의 제정과 그 영향 (The Establishment of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and its Effect in England)

  • 장영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40-656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교육과정 및 지리과 국가교육과정의 제정과정과 그 영향에 주목하였다. 먼저, 교사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교육과정 정책을 시행해온 영국에서 교육개혁법(1988)을 통해 국가 교육과정이 제정된 배경을 살펴보고 당시 지리과목의 역할에 대한 교육 당국외 부정적인 견해에도 불구하고 1991년 국가교육과정에 지리과목이 10대 기초교과로 선정된 배경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가교육과정의 기본 골격을 설명하고 1991년 제정된 이래 1995년과 2000년 두 차례에 걸친 개정으로 지리과 교육과정이 개선되는 과정을 정리하였으며 국가교육과정이 법령에 의해 학교 급별로 동일하게 적용됨에 따라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과 교재의 이용 및 지리과목의 지위 등의 측면에서 지리교육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지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Review on the Australian Curriculum: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 소경희;장주경;이선영
    • 비교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51-73
    • /
    • 2011
  • 호주는 오랫동안 주별 교육과정 체제를 유지해 왔으나, 최근 들어 국가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구축하고 2011년 9월부터 새롭게 개발된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예정으로 있다. 호주가 왜 그토록 오랫동안 유지해 온 전통을 깨고 국가교육과정을 도입하려고 하는가는, 이와 반대의 흐름, 즉 교육과정 결정권을 국가로부터 점차 지방이나 학교로 이양시키고자 하는 우리의 맥락에서 볼 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호주에서는 국가교육과정의 도입이 '교육혁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바, '혁명'에 상응하는 근본적인 변화가 국가교육과정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호주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국가교육과정에 대해 그것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을 검토해 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호주의 국가교육과정의 도입 및 개발 과정을 검토해 보고, 총론과 각론의 특징을 그 구조 중심으로 살펴본 뒤, 호주 국가교육과정 개발 사례가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체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해 보았다.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분석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 Curriculum in Academic High Schools)

  • 김재춘;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69-8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 curriculum in academic high school. Elective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seems to take more important status than that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he number of elective subjects of the high school increased from 60 different subjects for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o 79 different subjects fo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students can make their own courses and have a right to choose the subjects. In order to ascertain how elective subjects are being implemented and whether students can choose the subjects they wish to learn, this study conducted a nationa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Despite the empha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n the elective subjects in academic high schools,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lective subjects seems to be unacceptable. In most schools, only two typical courses such as humanities/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courses are being offered for students as elective courses, and the scope of elective subjects students can choose appears very narrow. That's why we need to do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implementation of elective subjects.

An Analytic Study on Syllabus Design fo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장복명
    • 영어어문교육
    • /
    • 제7권2호
    • /
    • pp.1-15
    • /
    • 2002
  • The English education policy of Korea has focused on cultivat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Korean students. Especially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dopted a notional-functional syllabus instead of a grammatical-structural syllabus. The syllabus design of the 7th curriculu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in that the 6th curriculum adopted just one syllabus design-the Notional-Functional syllabus, but the 7th curriculum includes various syllabus types. The present study has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is to historically survey syllabus design development in Korea : grammatical-structural syllabus(the 1st-5th curriculum), notional-functional syllabus(the 6th curriculum) and a new syllabus model(the 7th curriculum).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the syllabus desig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a) communicative functional categories, b) sample sentences. The data was collected by analyzing the 7th grade English textbooks adopted on the ba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PDF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Study on Continu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 장혜원;이화영;임미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207-223
    • /
    • 2015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내에서 '수학적 탐구하기'의 위상을 고찰하고, 수학적 내용측면에서 내용 영역의 범주 및 3~5세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세부 내용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1~2학년군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내용 영역에서 역연계 및 비연계 요소가 파악되었으며,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49-68
    • /
    • 2019
  • 초 중등학교에 있어서 교육과정은 교육의 핵심이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육자료 및 교수-학습방법을 규정한 종합적인 교육계획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초 중등학교 교육을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10차례에 걸쳐 개정한 바 있으며, 현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한국도서관협회에서는 2007년에 초 중등학교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해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있어서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체계와는 차이가 있다.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체계에 맞추어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후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제안하였다.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기본 고려 사항 (Some basic point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national mathematical curriculum)

  • 박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3호
    • /
    • pp.343-351
    • /
    • 2010
  • In this paper, we take the survey through both papers and recent reports to investigate point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national mathematical curriculum. Then we suggest that to prepare the next national mathematical curriculum, we consider the method to deduce the math-dislike, the method to increase the power of problem solving etc. and also we construct a compact curriculum which contains most of important math item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we must have lively discussion with mathematicians, and especially with teachers.

국가 교육과정에서 기초 학력으로서의 수리력 도입 방안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Numeracy as Basic Competence in the National Curriculum)

  • 김선희;이승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19-134
    • /
    • 2020
  • 초·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공통 교육과정의 역할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이 학교 학습과 실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 학력을 탐색하여 명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초 학력은 특정 교과에의 활용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여러 교과를 아우르는 총론 교육과정에 명시되고 여러 교과 학습을 통해서 체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지도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영국, 캐나다, 호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총론과 여러 교과 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리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및 수리력의 수준을 제안하고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수리력을 간단히 명시하고 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수리력 관련 내용을 암시하는 방안, 총론에서는 수리력의 개념, 구성 요소, 수준을 제시하고 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수리력 코드를 기술하는 방안 두 가지를 제안하였는데, 두 가지 안 모두 전문가들의 높은 동의를 얻었다.

제7차 수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and the Methods of Development of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이대현;최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231-242
    • /
    • 2006
  • National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nation. So,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and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gave the message about th: methods of implement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sisted in the question about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264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found the result that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has the problem in contents and management. So, this study gave not only the problem but also the various concrete methods for management of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We hope that mathematics education members research and argue about the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for next curricul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