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ning slash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숲가꾸기 산물의 이동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for Analysis of Moving Characteristics of Thinning Slash)

  • 전계원;이호진;연규방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19-722
    • /
    • 2008
  • Forest management is done to keep ecological health of forest and to enhancement of its function. Nowadays, the abnormal climate and heavy rain happen frequently. Therefore, there are opinions that the thinning slash allowed in the mountain is flowed in rivers, which can influence in flood damage. This study, we grasp moving characteristics of thinning slash through field survey and achieved basic study about the effect of thinning slash on the discharge capacity of rivers and stream structure.

  • PDF

산불피해지역에서 숲 가꾸기 실행유무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 이시영;이명욱;염찬호;권춘근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53-156
    • /
    • 2008
  •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was studied in this work.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nning slash in forest fire, Gangneung-si Wangsan-myeon, Ulgin-gun Wonnam-Myeon, Samchok-si Gagok-Myeon, in which forest fire broke out, were selected. As a result that investigated forest fire danger ratio between thinning slash and non-thinning slash, leeward scorching ratio(36%), crown damage ratio(29%), mortality of branch at the former are higher than those at the latter, leeward scorching ratio of tree, where thinning slash is around, is 10%-20% higher than that of independent tree. So I estimate that thinning slash has a some effect on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And the result to investigate damage of forest fire according to tree species shows that leeward scorching ratio of conifer is 5% higher than that of non-conifer, and mortality of branch of the former is 19%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It is considered that forest fire may affect directly to a tree trunk if it diffuse to piled thinning tree because there was no space between thinning trees and tre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re-ignition had a chance to occur due to lots of piled thinning trees.

  • PDF

숲가꾸기 산물의 적재형태에 따른 산불위험도 분석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accumulation types of the leaving of thinning slash)

  • 이시영;이명욱;채희문;김영환;박흥석;권춘근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223-230
    • /
    • 2007
  • Nowaday, for the promotion of producing forest trees, production of excellent timbers, and build-up of public forest area, it is on the increase of the thinning-forest for artificial forest, natural forest, eco-friendly forest, and the forest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forest resources nationwide. Even though the thinning-forest is applied around 180,000ha every year, the quantity of collected/used products is only 18,000ha $(240,000m^3)$ which is 10% of the whole thinning-forest area. Meanwhile, some reports represent that the left products after thinning-forest might increase the severity of forest fire and the waste of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accumulated products after thinning-forest and forest fire, and providing a preparation plan for the forest fire.

  • PDF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 이시영;이명욱;염찬호;권춘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2-39
    • /
    • 2009
  • 본 연구는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에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강릉시, 삼척시 및 경북 울진지역에 총18개소의 세부조사구를 선정하여 숲 가꾸기 실행 유무, 피해수종,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율, 수관피해율, 임목밀도, 지하고, 숲 가꾸기 산물의 방치유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조사사면의 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숲 가꾸기 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24.7%인 반면, 미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60.2%로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35.5% 높게 나타났고, 수종별로는 소나무가 참나무류 보다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임목고사율의 경우도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41.4%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숲 가꾸기 실행지의 산물들이 근접해 있는 임목이 그렇지 않은 임목에 비하여 10${\sim}$20%의 편면연소 피해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임목주변에 숲 가꾸기 산물이 있을 경우, 독립적으로 있는 임목보다 연소물량이 많아 산불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적재된 간벌목이 산림 내에 많이 쌓여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숲 가꾸기 산물을 임외로 걷어 내리거나 다른 용도로의 활용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숲가꾸기 산물의 적재형태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Accumulation Types of the Leaving of Thinning Slash)

  • 이시영;이명욱;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5-53
    • /
    • 2008
  • 본 논문은 숲가꾸기 산물인 간벌목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즉, 간벌목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강원도 양양군과 인제군, 경기도 가평군의 숲가꾸기 실행지와 미실행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 조사대상지에 대하여 수종, 입지특성, 간벌강도, 숲가꾸기 종류, 간벌재의 적재행태 및 산불위험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지인 양양군 5개소, 가평군 4개소, 인제군 5개소 총 14개 조사구에 대하여 숲가꾸기 실행지 9개소, 미실행지 5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숲가꾸기 미실행지 5개소는 숲가꾸기 실행지와 인접한 조사지역을 선정하였고, 숲가꾸기 실행지와의 산불위험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숲가꾸기 실행지의 산물인 간벌목의 적재높이는 1 m 미만으로 적재되어 있어 산불연소시 수관부로 전파될 위험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적재된 간벌목과 임목간의 거리가 거의 붙어 있어 적재된 간벌목에 산불이 붙을 경우 임목 줄기부(수간)에 직접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적재된 간벌목이 많이 쌓여 있을 경우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낙엽송 간벌 임분의 공간 이미지 분석 (Spatial Images toward Thinning Systems on Larix Forest Stands)

  • 송형섭;명재갑;박민우;손종은;이선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5-12
    • /
    • 2000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spatial image information toward forest thinning process in Larix forest stands. Thirteen different alternatives were simulated to visualize on the basis of actual thinning work photos. The options were illustrated as photos produced by photoshop program. Each alternatives were evaluated by forest visitor group with total 244 respondents after reliability test. Spatial images of 13 thinning photos were measured by 12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s broad -narrow, ordered-tangled, friendly-unfriendly, monotonous-divers, dry-refreshing, relieved -stifling, healthy-sickly, uniform-scattered, dead-alive, opened-closed, bent-straight, and beautiful-ugly. In comparison with thinning stands and natural stands, thinning works were visual improvement effects of spatial images. Seemingly, this trend is due to definite form beauty, straight and clear length form of coniferous forest, As can be expected, slash and downwood were negatively related to improvement effects of spatial images. The 60% ratio of stem/ tree height and 450-950 trees/ha was positive in attraction of spatial images. Results indicate how to conduct forest thinning system for spatial images on Larix forest stands.

  • PDF

산림풍치자원관리(山林風致資源管理)를 위한 산림시업특성별(山林施業特性別) 시각선호도(視覺選好度) 평가(評價)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on Forest Working Systems' Characteristics for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 송형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09-319
    • /
    • 1999
  • 본 연구는 산림 시업에 따른 풍치 관리 정보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상 임분은 현재 산림무육작업 요구도가 높은 낙엽송 인공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촬영된 임분 사진의 모의조작을 통하여 산림작업별로 구분된 35매의 임분 경관이 이용되었다. 각 경관은 신뢰성 검정을 통해 얻은 3개 집단, 전체 593명의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각 선호도 평가는 1 - 10 point 평점값을 이용하였다. 이들 평점값의 보정은 RMRATE의 SBE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되었다. 시각 선호도와 이미지 척도와의 관련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13매의 간벌 임분을 대상으로 어의 구별척을 이용하여 공간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무육 전의 자연 임분 보다는 작업 후의 쾌적하고 질서 정연한 임분을 높게 선호하고 있었다. 시각 선호도는 나지 면적과 폐잔재 면적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임목 밀도, 지하고, 지피식생과 높은 관련이 있었다. 소규모 개별지의 벌구 모양은 곡선보다는 직선 모양을 선호하고 있었다. 시각 선호도는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들은 산림풍치관리를 위한 시업 수행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강원도 산지계류 내 유목의 기원과 현존량 (Origin and Storage of Large Woody Debris in a Third-order Mountain Stream Network, Gangwon-do, Korea)

  • 김석우;전근우;서정일;임영협;남수연;장수진;김용석;이재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9-258
    • /
    • 2020
  • 이 연구는 강원도 산림유역 내 수계(총 11개 계류)를 대상으로 유목의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유목의 발생기원 추적과 함께 하천차수별 현존량과 분포형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산림유역관리기술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207개 유목의 개체목 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 수간만 있는 것 1,142개(95%) 및 수간과 근주가 함께 있는 것 65개(5%), (2) 자연목 1,015개(84%) 및 벌채목 192개(16%), (3) 침엽수 1,050개(87%) 및 활엽수 157개(13%)로 나타났다. 유목의 현존량(㎥/ha)은 1차수 105.4, 2차수 71.3 및 3차수 35.6으로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유목의 총량에 대한 유목군의 비율은 1차수 11%, 2차수 43% 및 3차수 49%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유목의 현존량을 해외의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비록 각 국가·지역별로 기후·지형·산림토양·임분의 구조와 생장량·산림의 교란정도와 관리상태가 다르지만, 유목의 현존량은 임령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목을 산림생태계의 산물이자 산지수변림 교란의 지표로서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는 산림유역의 생태계뿐만 아니라 하류의 수계환경까지 고려하여 숲가꾸기 산물의 처리나 수변지역의 임분밀도관리 등을 포함한 산림관리기술이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