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mus magnu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섬백리향 정유의 진통, 항염증, 정신적인 작용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Mental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Thymus magnus)

  • 김성민;석귀덕
    • 약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08-516
    • /
    • 2007
  • Thymus magnus is an endemic (Ulleung Island) species in Korea. This plant is used as diaphoretics and carminatives i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literature, few scientific assays were realized on this species, such as antibiotic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and antifungal activities. In order to clarify whether essential oil of T. magnus have pharmacological effects, anti-inflammatory, sedative, anti-depressant, analgesic, and sleep-prolonged effects were investigated using animal models.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ttained; 1) Essential oil of T. magnus did not show any acute toxicity on mice when orally administered at the dose of 2-3 g/kg body weight. 2) Essential oil of T. magnus possessed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similar to that of a positive control prednisolone. 3) Essential oil of T. magnus had excellent analgesic activity, comparable to that of aspirin. 4) The essential oil of T. magnus possessed strong sleep-prolonged effect on pentobarbital induced-sleep test in mice model. 5) In the hot plate test, the essential oil of T. magnus had moderate effect. 6) And the essential oil of T. magnus had no significant effects in forced-swimming test and open-field test.

섬백리향(꿀풀과)에 대한 선정기준표본 설정과 분류학적 검토 (Lectotypification and identity of Thymus quinquecostatus var. magnus(Nakai) Kitam. (Labiatae))

  • 임용석;김영동;신현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6
    • /
    • 2006
  • 울릉도 고유종으로 알려진 섬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var. magnus (Nakai) Kitam.)의 기준표본 선정을 위하여 동경대학교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들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표본들 가운데 Nakai가 나리분지에서 채집한 표본은 선정기준표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섬백리향의 학명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 T. quinquecostatus var. japonicus H. Hara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고, 이 분류군과 섬백리향과의 분류학적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In Vitro Inhibi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wo Korean Thymus species against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 Shin, Seung-Won;Kim, Ji-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8호
    • /
    • pp.897-901
    • /
    • 2005
  • The in vitro inhibi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hymus magnus and T. quinquecostatus as well as their main constituents were evaluated against susceptible and resistant specie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Notably,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T. magnus and its main components display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on against both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 pneumoniae, S. aureus, and S. typhimurium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ranging from 0.125 to 8 mg/mL. The differential MIC values imply that the oil fraction and its main components exhibit distinct patterns of activity against the tested bacterial species. Moreover, the disk diffusion test revealed that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oil fraction and components were dose-dependent. Data from the checkerboard titer test confirmed synergism between the antibiotic, norfloxacin, and T. magnus oil or thymol, particularly against the resistant strains of S. aureus.

섬백리향의 정유성분(精油成分) (Studies on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f Thymus magnus Nakai)

  • 한대석;김광욱
    • 생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1980
  • By means of prefractionation on a silicagel column and combination of GC-Mass spectrometry, the essential oil constituents of Thymus magnus Nakai were analysed. Ten terpenoid compounds, ${\gamma}-terpinene$, ${\alpha}-pinene$, ${\beta}-caryophyllene$, ${\beta}-bisabolene$, pcymene, 4-isopropyltropolone, thymol, carvacrol, terpinen-4-ol and Borneol, were identified by referring to the spectrums of their authentic specimens.

  • PDF

In vivo Anti-fung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from Thymus Species and in vitro Synergism with Clotrimazole

  • Kim, Ji-Hyun;Shin, Se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258-262
    • /
    • 2007
  •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from Thymus magus, and its major component thymol, against Candida albicans was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vivo. The combined effects of the oils and clotrimazole, a commonly used antifungal drug for treatment of external candidiasi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In experimental vaginal candidiasis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T. magnus resulted in relatively milder inhibition of fungal growth following the inoculation of test mice compared to clotrimazole. However, new fungal growth was not detected up to 12 days after cessation of treatment. In contrast, in a similar experiment using clotrimazole, C. albicans was detected in the $12^{th}$ day post-treatment with the sampl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 magnus oil could be a promising drug to control vaginal candidiasis. In checkerboard titer tests, the combination of clotrimazole with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T. magus or T. quinquecostatus resulted in significant synergism, with FIC indices between 0.14 and 0.27 against C. albicans, while clotrimazole combined with thymol, the major component of these oils, produced only an additive effect, with FIC indices ranging between 0.50 and 1.00. Thus, the prominent synergistic effects of clotrimazole combined with T. magus essential oil indicate that these compounds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C. albicans infections.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 조성(組成) (Essential Oils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 and Thymus magnus Nakai)

  • 김영회;이종철;최영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34-240
    • /
    • 1994
  • 우리나라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코저 SDE방법(方法)에 의해 정유(精油)를 분리(分離)한 다음 GC-MS 및 GC에서 표준품(標準品)과의 머무름 시간(時間) 비교(比較)에 의해 성분(成分)을 확인(確認)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백리향(百里香)의 정유함량(精油含量)은 건물중앙(乾物重量)으로 1.94% 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의 경우 배엽부위(輩葉部位)에서는 1.91%인데 비하여 꽃에서는 0.68%이었다. 2. 3종류(種類)의 시료(試料)에서 38종(種)의 성분(成分)이 확인(確認)되었는데 그중 백리향(百里香)에서 분리(分離)한 정유(精油)에서는 thymol(39.8%), ${\gamma}-terpinene(10.0%)$, ${\rho}cymene(9.2%)$, camphor(5.9%), ${\alpha}-terpinene+borneol(4.5%)$ 및 bornyl acetate(4.0)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에서는 thymol(54.7%), ${\gamma}-terpinene(15.8%)$, ${\rho}cymene(6.7%)$ 및 carvacrol (3.2%)등이 주성분(主成分)이 었다. 3.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을 비교(比較)했을때 ${\alpha}-pinene,\;camphene,\;camphor,\;bornyl\;acetate$${\alpha}-terpineol+borneol$ 등(等)은 백리향(百里善)에 서 많이 검출(檢出)된 반면 ${\gamma}-terpinene$, thymol은 섬백리향(百里香)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섬백리향(百里香)을 부위별(部位別)로 비교(比較)했을 때 thymol, ${\gamma}-terpinene$은 잎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나 f-cymene은 잎보다는 꽃에서 특징적(特徵的) 으로 많이 검출(檢出)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섬백리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Thymus Magnus Nakai by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사은;김성문;임원철;강기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1-17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각 추출방법에 따른 섬백리향(Thymus magnus Nakai)의 향기 성분들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본연의 향에 아주 가까우면서 맡기에 좋은 향으로 재현하고자 초임계유체추출법, 혼합 증류법, 동시증류추출법으로 정유를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초임계유체추출법의 $40^{\circ}C$ - 400 bar 조건에서 추출한 정유 성분 중 linalool (0.1%), trans-sabinene hydrate (0.9%)가 다른 조건에서 추출한 정유성분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50^{\circ}C$ - 400 bar 조건에서는 borneol (3.82%), terpinen-4-ol (0.3%), caryophyllene oxide (2.2%), $50^{\circ}C$- 300 bar 조건에서는 ${\beta}$-bisabolene (5.88%), 1-octen-3 -ol (0.31%), caryophyllene (2.91%), p-cymene (2.04%), ${\gamma}$-terpinene (0.52%), $50^{\circ}C$ - 200 bar 조건에서는 thymol (77.63%), carvacrol (5.65%)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 증류법으로 추출한 정유 성분 중에는 ${\alpha}$-bisabolol (0.17%), caryophyllene (6.46%), cis-${\alpha}$-bisabolene (1.52%), ${\beta}$-bisabolene (20.65%)이 초임계유체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 성분 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 증류추출법을 통해서는 정유를 얻지 못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각각의 추출법을 통해서 확인된 향기 성분들을 모두 취합하여 섬백리향 본연의 향에 좀 더 가깝도록 세밀하게 재현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기농 사과과원에서 초생재배를 위한 자생지피식물의 선발 (Selection of Native Ground Cover Plants for Sod Culture in an Organic Apple Orchard)

  • 허재윤;박영식;엄남용;박성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1-647
    • /
    • 2015
  • 유기농 사과과원에서 초생재배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생지피식물 선정을 위하여 세 가지 자생식물이 잡초의 발생 및 과실의 특성과 토양의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지피식물의 생육은 30 ㎝ (L) × 30 ㎝ (W) × 100 ㎝ (H) 밀도에서 측정되었으며, 조사 결과 긴병꽃풀의 초장과 건물중이 다른 식물체들에 비해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 피복율이 낮았던 섬백리향과 좀씀바귀에서의 잡초 발생빈도와 발생량은 대조구와 거의 유사하였던 반면, 토양 피복율이 높았던 긴병꽃풀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여 잡초의 발생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긴병꽃풀의 개화기는 ‘쓰가루’ 사과 품종의 개화시기 일치하여 방화곤충의 유인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착과율의 증대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지피식물의 피복에 따른 나무의 생육과 과일의 특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토양의 화학성분은 대조구에 비해 지피식물 처리구에서 유기물 함량과 인산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험결과 전반적으로 긴병꽃풀은 토양을 완전히 피복함으로써 잡초의 발생을 감소시켰고, 토양 화학성도 개선하여 사과 재배농가에 초생재배용 피복식물로서 활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