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Phas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초

우리나라 조석지각 기준 표기에 대한 고찰 (Overview of Tidal Phase-lag References Used in Korea)

  • 변도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34-238
    • /
    • 2007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선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세 가지 조석지각 기준(관측지점 경도 기준 지각, 표준시 자오선 기준 지각, 그리니치 자오선 기준 지각)을 사용하여 오고 있다. 이처럼 통일되지 않는 조석지각 정보체계는 전체적인 우리나라 조석의 특성이나 변화를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올바른 조석지각 기준의 상호전환과 관련하여, 세 가지 지각기준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에 앞서 조석 조화분해 과정에서 분조의 지각이 어떻게 계산되며, 조석예측프로그램에선 계산된 지각이 어떻게 사용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것을 바탕으로 과거 일부 연구에서 불명확하게 기술된 조석지각의 정의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조류 조화상수의 월변동성 완화 방법 고찰 (Investigating the Adjustment Methods of Monthly Variability in Tidal Current Harmonic Constants)

  • 변도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309-319
    • /
    • 2011
  •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f the feasibility of obtaining reliable tidal current harmonic constants, using one month of current observations, to verify the accuracy of a tidal model. An inference method is commonly used to separate out the tidal harmonic constituents when the available data spans less than a synodic period. In contrast to tidal constituents, studies of the separation of tidal-current harmonics are rare, basically due to a dearth of the long-term observation data needed for such experiments. We conducted concurrent and monthly harmonic analyses for tidal current velocities and heights, using 2 years (2006 and 2007) of current and sea-level records obtained from the Tidal Current Signal Station located in the narrow waterway in front of Incheon Lock, Korea. Firstly, the l-year harmonic analyses showed that, with the exception of $M_2$ and $S_2$ semidiurnal constituents, the major constituents were different for the tidal currents and heights. $K_1$, for instance, was found to be the 4th major tidal constituent but not an important tidal current constituent. Secondly, we examined monthly variation in the amplitudes and phase-lags of the $S_2$ and $K_1$ current-velocity and tide constituents over a 23-month period. The resultant patterns of variation in the amplitudes and phase-lags of the $S_2$ tidal currents and tides were similar, exhibiting a sine curve form with a 6-month period. Similarly, variation in the $K_1$ tidal constant and tidal current-velocity phase lags showed a sine curve pattern with a 6-month period. However, that of the $K_1$ tidal current-velocity amplitude showed a somewhat irregular sine curve pattern. Lastly, we investigated and tested the inference methods available for separating the $K_2$ and $S_2$ current-velocity constituents via monthly harmonic analysis. We compared the effects of reduction in monthly variability in tidal harmonic constants of the $S_2$ current-velocity constituent using three different inference methods and that of Schureman (1976). Specifically, to separate out the two constituents ($S_2$ and $K_2$), we used three different inference parameter (i.e. amplitude ratio and phase-lag diggerence) values derived from the 1-year harmonic analyses of current-velocities and tidal heights at (near) the short-term observation station and from tidal potential (TP), together with Schureman's (1976) inference (SI). Results from these four different methods reveal that TP and SI are satisfactorily applicable where results of long-term harmonic analysis are not available. We also discussed how to further reduce the monthly variability in $S_2$ tidal current-velocity constants.

제주도 동부 해안대수층의 수리특성 산정과 지하수위 예측 (Estim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he Eastern Coastal Aquifer of Jeju Island)

  • 조시범;전병칠;박은규;최광준;송성호;김기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61-672
    • /
    • 2014
  • Due to tidal force,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hydraulic parameters of high permeable aquifer near coastal area in Jeju Island. Therefore, to eliminate the impact of tidal force from groundwater level and estimate the hydraulic properties, tidal response technique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is study we have extracted 38 tidal constituents from groundwater level and harmonic constants including frequency, amplitude, and phase of each constituent using T_TIDE subroutine which is used to estimate oceanic tidal constituents, and then we have estimated hydraulic diffusivity associated with amplitude attenuation factor(that is the ratio of groundwater level amplitude to sea level amplitude for each tidal constituent) and phase lag(that is phase difference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sea level for each constituent). Also using harmonic constants for each constituent, we made the sinusoidal wave and then we constructed the synthesized wave which linearly combined sinusoidal wave. Finally, we could get residuals(net groundwater level) which was excluded most of tidal influences by eliminating synthesized wave from raw groundwater level. As a result of comparing statistics for synthesized level and net groundwater level, we found that the statistics for net groundwater level was more insignificant than those of synthesized wave. Moreover, in case of coastal aquifer which the impact of tidal force is even more than those of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nfall and groundwater yield, it is possible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using synthesized wave and regression analysis of residuals.

낙동강 하구의 조석과 유동 (Tide And Tidal Current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유청노;장선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1-77
    • /
    • 1979
  • 낙동강은 유역이 약 2.4 $10^{4}$$\textrm{km}^2$ 이고 길이가 525km에 달하는 대하천으로 농업, 공업, 생활용수 등 영남지방의 용수 공급원으로서 중요하다. 최근에는 하구역 에서 천해어장, 홍수대책, 하도개수, 간척, 매립 등 다양한 이용개발이 계획 또는 실시 되고 있다. 따라서 이 하구역의 효육적 이용과 관리를 위하여는 하구수의 유동을 지배하는 요인인 하천조석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가 불가결하다.

  • PDF

계절별로 조사한 조석에 따른 아산만의 수질 변동 (Semidiurnal Tidal Variation in Water Quality in Asan Bay during four Seasons)

  • 김세희;신용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3
    • /
    • 2020
  • 아산만은 방조제 갑문을 통한 담수 유입과 외해인 서해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하구의 특성을 나타내는 곳으로, 반일주조형 조석을 가진 조수간만의 차가 크게 발생하는 해역이다. 하구에서 조석은 단기적인 물리·화학적 수질 특성 변화 및 생물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석에 따른 수질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아산만의 고정 정점에서 계절별로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조사하여 조석에 따른 수질 변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조위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변동이 확인되었고, 염분은 특히 조위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총부유물질의 경우 표층보다 저층의 농도가 높고, 조석에 따라 농도의 차이가 특히 저층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간조 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염류인 아질산+질산성 질소도 조위 양상과 반대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상관성 분석 결과에서도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나머지 영양염류들도 다소 약하지만 유사한 형태의 변동을 보였고, 담수 유입의 영향을 받은 7월에는 반대 경향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유기물 및 총질소, 총인의 경우 조석 주기 동안의 시간 변동이 다소 크게 나타났고, 대체적으로 조위와 반대의 분포를 보여 주었다. 입자 유기물을 제외하고 대부분 염분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여 무기질 영양염류와 유사하게 담수 유입이 공급원임을 암시하고 있다. 결국 아산만에서는 용존산소, pH 등 일부를 제외한 수질인자와 영양염류 및 유기물의 시간적 변동에 조석이 관여하여 단기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Matlab T-tide를 이용한 조위예측기반의 조력발전량 산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stimate of Tidal Power Using Matlab T-tide Based on Tide Prediction)

  • 이성훈;곽희진;김종득;이은춘;김지찬;전경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048-1049
    • /
    • 2015
  • The sihwa tidal power plant is the first tidal power plant in korea and the biggest of the world. The tidal power turbine is operated by tidal energy. The tidal energy is generated by the relative motion of the earth and celestial masses specially the sun and the moon, which interact via gravitational forces. The tidal power is estimated by the predicted the tidal amplitude and phase. This paper gives a process of estimate of tidal power using Matlab T-tide based on tide prediction. The proposed method is tested using actual recorded data comparing to predicted date.

  • PDF

전동기-발전기 실험장치(Motor-Generator Set)를 이용한 조류발전 시스템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dal Current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Motor-Generator Set)

  • 안원영;임형택;이석현;김근수;조철희
    • 신재생에너지
    • /
    • 제9권4호
    • /
    • pp.19-24
    • /
    • 2013
  •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 power generation system, we measured output power in M-G Set (Motor-Generator Set) and MATLAB/Simulink. We installed M-G Set (Motor-Generator Set) and did a simulation using MATLAB/Smulink. The simulation consisted of the tidal current turbine, PMSG, converter, and three-phase PWM inverter. Also, the speed control of the generator was performed using machine side converter. And we measured output voltage, current, power of the generator and the output power of three-phase PWM inverter.

Tidal Computations For Inchon Bay

  • Choi, Byung Ho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2-122
    • /
    • 1980
  • A two-dimensional non-linear tidal model has been established to calculate the M$\_$2/ tide of Inchon Bay in the west coast of Korea. Cartesian coordinates are u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governing equations and account is taken of extensive drying boundaries (tidal flats) which are exposed at low tides. The tidal amplitudes and phases computed from the model agree well with those known from observation lying within bounds 5cm in amplitude and 5 in phase relative to the observed results. The work represents a further stage in the development including extensive sea measurements capable of application in various coastal engineering problems encountered in Inchon Bay area.

  • PDF

동적 조력 발전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 (The Study of Dynamic Tidal Power for Practical Use)

  • 박영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379-385
    • /
    • 2019
  • 조력발전의 한 종류인 동적 조력 발전은 조석의 회절효과에 의한 위상차를 이용하여 발전하기 때문에 거대한 구조물이 요구된다. 실용화를 위해서는 경제성이 가장 요구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식과 달리 여러 개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발전량의 증가를 통한 경제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다수의 구조물 주변 해역의 흐름 변화를 연구하였으며, 효율적인 발전량 증가를 위해 구조물 사이에 적절한 간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무안만의 조석비대칭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idal Asymmetric Characteristics in the Muan Bay)

  • 강주환;김양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170-179
    • /
    • 2020
  • 조석이 크게 작용하는 서해안 지역에서 천해조 성장에 기인하여 조위곡선에 비대칭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특히 목포해역의 낙조우세는 국내에서 가장 두드러지기에 국내 연구자들에 의해 낙조우세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목포해역 낙조우세의 근원은 무안만의 드넓은 조간대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조석비대칭의 정량적 해석을 위해 진폭비 및 상대지각, 조위 및 조류속 곡선의 왜도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무안만에서 보름 동안 조위를 관측함으로써 목포항과의 진폭 및 조시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무안만의 낙조시간이 목포항보다 40분 정도 짧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목포북항과 목포구 조류예보자료 역시 분석하여 결과 도출에 활용하였다. 한편, 대소조 주기별 조석비대칭의 정량적 변화를 PCA 및 SWA 지표를 통해 검토함으로써 소류사와 부유사 거동의 정성적 해석의 토대를 제공하였다. 이와 함께 목포해역 낙조우세의 장기적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조석비대칭과 관련된 이 해역의 과거-현재-미래를 아우르는 조석특성 규명의 기초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