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difference of arrival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35초

송신 신호의 도달 시간차(TDOA)를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의 구현 (Position Measuring System Design using Time Difference of Arrival)

  • 김동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94-397
    • /
    • 2001
  •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measuring position. For example GPS, AOA, TDOA and using radio camera. In this Paper I used TDOA method in position measuring system. TDOA method uses arrival time difference. In position measuring system, three transfers which is placed in different position transfer signal to receiver in fixed time interval and receiver records arrival time of signal. Because receiver knows idle signal's arrival time, receiver can calculate the difference of the signal's arrival time between idle and real. When we obtain time difference we can know the receiver position by Newton Raphson method.

  • PDF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도착 시간 차 기반 소총화기 탄착점 추정 시스템 (Impact point estimation system of the rifle based on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thod using microphone array)

  • 원종성;박규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06-214
    • /
    • 2018
  • 본 논문은 마이크로폰 음향 센서를 이용한 소총화기 탄착점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 신호 도착시간(Time of Arrival, ToA) 방식을 신호 도착 시간 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방식으로 확장 발전시켜 시간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였고, 실제 사격 실험을 통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제 탄착점과 알고리즘으로 연산된 탄착점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안 시스템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정확히 탄착점을 추정하고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균방법에 근거한 DOA와 지연시간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A and Delay Time Presumption based on Average Method)

  • 이관형;송우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2
    • /
    • 2004
  • This paper estimated the arrival angle and electric wave delay time using the space method law and the directions of arrival (DOA) estimation algorithm in case of signal correlation. Space method law is the method used to repress cross correlation before applying the weight value to the receiving signal. The values of the diagonal elements in the correlation matrix were averaged to replace as the diagonal elements value. In the area of wireless communication or mobile communication, there are high correlations in case of low delay time difference in multiple waves. This causes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to drop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desired signal elements. This paper estimated the arrival angle and electric wave delay time using the space method law and the MUSIC algorithm. With the arrival angle algorithm, the arrival angle cannot be estimated below 5 in case of signal correlations because the angle resolution capacity decreases accordingly. The super resolution capacity was estimated to determine the arrival angle below 5 in this paper. In addition, the proposed algorithm estimated the short delay time difference to be below 20ns.

  • PDF

Adaptive Threshold Detector를 이용한 펄스 위치 계산 (Pulse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Adaptive Threshold Detector)

  • 장재원;이상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63-170
    • /
    • 2017
  • 독립 협동형 감시시스템인 이차감시레이더(SSR)의 위치 정보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다변측정감시시스템(MLAT)이 항공 감시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다변측정감시시스템은 쌍곡선(hyperbola) 또는 쌍곡면(hyperboloid) 위치 측정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4개 이상의 지상 수신기에서 TOA (time of arrival)값을 측정하고 이를 중앙처리장치에서 각 수신기 상호간의 수신시각차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다변측정감시시스템의 위치 측정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항공기에 탑재된 트랜스폰더에서 송출된 신호가 수신기에 수신되는 시간인 TOA(time of arrival)를 정밀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변측정감시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으며 TOA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ATD (adaptive threshold detector)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다. ATD는 동일 신호에 대한 수신기간 수신한 신호의 진폭 차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위치 편차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ATD의 종류 중 LAS (level adjuster System)과 CDS (constant-fraction discriminator system)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기본적인 임계값을 적용한 펄스 위치 계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ATD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클럭 표류 영향을 고려한 양방향 거리 인지 기반의 TOA/TDOA 추정 방안 (TOA/TDOA Estimation Method Based on Two Way Ranging with Considering Clock Drift Effect)

  • 박운용;박철웅;최성수;이원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C호
    • /
    • pp.608-615
    • /
    • 2007
  • 일반적으로 양방향 전송을 통한 TOA(Time Of Arrival) 정보는 두 디바이스간의 정확한 RTT(Round Trip Time) 정보로부터 도출되지만 디바이스간의 서로 다른 클럭 표류의 영향으로 인하여 RTT 측정 시 요구되는 응답 시간이 길 경우 매우 심각한 TOA 오차를 야기 시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클럭 표류의 영향을 줄이면서 TOA와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IEEE 802.15.4a Task Group에서 제시한 단방향 전송을 통한 측위 방안과 비교하였으며 제안된 방안이 기존 방법들보다 개선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Fast Time Difference of Arrival Estimation for Sound Source Localization using Partial Cross Correlation

  • Yiwere, Mariam;Rhee, Eun Joo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3호
    • /
    • pp.105-114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fast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estimation for sound source localization. TDOA i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arrival times of a signal at two sensors. We propose a partial cross correlation method to increase the speed of TDOA estimation for sound source localization. We do this by predicting which part of the cross correlation function contains the required TDOA value with the help of the signal energies, and then we compute the cross correlation function in that direction only. Experiments show approximately 50% reduction in the cross correlation computation time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of TDOA computation. This makes it very relevant for real world surveillance.

Moving-Target Tracking Based on Particle Filter with TDOA/FDOA Measurements

  • Cho, Jeong-A;Na, Han-Byeul;Kim, Sun-Woo;Ahn, Chun-Soo
    • ETRI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260-263
    • /
    • 2012
  • In this letter, we propose a moving-target tracking algorithm based on a particle filter that uses the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 (FDOA) measurements acquired by distributed sensors. It is show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based on the particle filter, outperforms the one based on the extended Kalman filter. The use of both the TDOA and FDOA measurements is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moving-target tracking. It is proven that the particle filter deals with the nonlinear nature of the movingtarget tracking problem successfully.

상용 휴대폰을 이용한 LBS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LBS used cellular phone)

  • 이경규;이용우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 /
    • pp.185-190
    • /
    • 2007
  • This article describes a development CDMA LBS in order to apply to "Control System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 Fire Accident" which one of U-City Projects of Seoul City. Our goal guides taking shelter of the sufferer it will not be able to use a GPS when the fire occurs from subway station. There are Location measurement methods which measures the AOA(Angle of Arrival) of the signal which it sends with the MS(Mobile station) from the BS(Base station), an electronic delivery time (TOA:Time of Arrival) and the relative difference of electronic arrival time from Base stations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This time the error due to a multiplex course error and near-far problem and NLOS(Non Line of Sight). We are planning to construct the Test Bed which is an error below 1 meter.

  • PDF

도착시간차가 존재하는 페이딩 채널에서 시공간부호화된 DS-CDMA시스템을 위한 적응간섭제거 복합수신기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a Space-time Coded DS-CDMA System in Ending Channels with Arrival Time Difference)

  • 이주현;이재흥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49-152
    • /
    • 2002
  • In this paper, an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er (AIC) Is applied to the space-time coded DS-CDMA system in fading channels with arrival time difference from multiple transmit antennas In a CDMA system, arrival time difference causes not only inter-antenna and Inter-symbol interference but also multiple-access Interference even in a downlink. To mitigate the effect of the Interferences an AIC and ML decoding joint scheme Is proposed fur a space-time coded DS-CDMA system in which an adaptation process of tile AIC is merged in the Viterbi decoding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receiver is evaluated for the system with two transmit antenna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receiver achieves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the ML decoding receiver without the AIC

  • PDF

마이크로셀 구조에서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이동체 위치 추정 방법 (Mobile Location Estimation scheme Using Fuzzy Set Theory in Microcell Structure)

  • 이종찬;이문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10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AOA(Angle of Arrival)와 TOA(Time of Arrival) 그리고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의 추정값을 이용한 위치 추정 기법들을 설명하고 분석하였다 이들 기법들을 다중경로 페이딩 (mutipath fading)과 shadowing을 갖는 마이크로셀 환경에 적용한다면, 빠르고 예측할 수 없는 신호 레벨 의 변화로 인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정확히 추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신 신호 세기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이외에 이동체와 기지국간의 거리, 이동체의 이동방향, 이동체의 이전위치와 같은 부정확한 다수의 파라미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퍼지 다기준(multi-criteria) 의사 결정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동체의 방향과 속도의 영향을 분석한다.

  • PDF